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아동·청소년 성격장애 치료 : 관계적 접근 / Efrain Bleiberg 저 ;이문희,이은진,유성경 공역
아동·청소년 성격장애 치료 : 관계적 접근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아동·청소년 성격장애 치료 : 관계적 접근 / Efrain Bleiberg 저 ;이문희,이은진,유성경 공역
  • ·발행사항 서울 : 학지사, 2018
  • ·형태사항 438 p. ;24 cm
  • ·주기사항 원표제:Treating personality disorder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 relational approach
    참고문헌(p. 367-427)과 색인 수록
    영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99716751  93180: \21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186.5  듀이십진분류법-> 616.89  
  • ·주제명 심리 치료[心理治療]인격 장애[人格障碍]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Efrain Bleiberg 저 ;이문희,이은진,유성경 공역 2018 SE0000555136 186.5-21-3 인문예술자료실(1층) 대출 가능 0 - 인쇄자료(책자형) 
Efrain Bleiberg 저 ;이문희,이은진,유성경 공역 2018 SE0000590531 186.5-21-3=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 역자 서문 
■ 저자 서문
■ 감사의 글

제1장 도입 
아동이 성격장애를 가질 수 있는가
아동과 청소년의 반사회성, 자기애성, 연극성 그리고 경계선 성격장애 
극적 성격장애 아동의 임상적 증상
자기애성 성격장애의 전형
경계선 성격장애의 전형
통합적 시각: 발달적 정신병리의 관점

제2장 애착과 성찰기능
육아에서 유령과 애착패턴
인간과 영장류의 애착과 박탈
해리에 대한 두뇌의 조직화
인간 유아의 성찰기능과 ‘심리적 탄생’
성찰기능의 획득

제3장 심리적 조직화와 정신적 표상의 세계
경험의 패턴화와 조직화
스턴의 초기-이야기 봉투와 애착패턴
암묵적-절차적 형태에서 명시적-성찰적 형태로의 변화: 상징화의 기적
애착, 성찰기능 그리고 상징적 처리
발달과 성찰기능

제4장 외상, 취약성 그리고 중증 성격장애의 발달
외상, 경험의 조직 그리고 상징적 처리
취약성과 초기 경험
중증 성격장애로 가는 경로

제5장 반사회성 그리고 자기애성 아동과 청소년
잔혹한 자기애성 아동
잔혹함으로 가는 길
병리적인 자기애적 조절과 자기애성 장애
거대자기와 거짓 자기

제6장 연극성 및 경계선 아동과 청소년
경계선 아동·청소년의 곤경 
자기와 타인에 대한 불안정한 인식
주관적 통제 불능감, 자기-희생화 그리고 숨겨진 전능감

제7장 치료의 시작단계: 안전기지의 마련과 표상의 부조화
기본 원칙과 목표
개념적 그리고 임상적 통합
포괄적인 치료
집중적 그리고 장기 과정
파트너로서 양육자
치료와 가족의 문화적 전통
치료진의 특성
성찰기능을 강화하는 목표
표상의 부조화를 촉진하기
암묵적인 표상의 부조화

제8장 치료의 초기단계: 동맹을 형성하고 성찰기능을 강화하기
치료동맹
성 찰기능과 충동 조절을 강화하고 타인의 정신 상태를 자각하는 개입
역전이를 활용하기

제9장 치료의 중간 그리고 마지막 단계: 연결을 통해 통합으로 나아가기
치료 개입과 치료 계약을 촉진시키기
가족치료: 양육자의 유능함과 민감성을 증진시키기
종결을 향해: 애도하고 발달을 재개하기

제10장 거주형 치료 그리고 서비스의 연속체
거주형 치료에 대한 필요
중증 성격장애를 가진 아동·청소년을 위한 거주형 치료모델
통합치료팀 그리고 지역사회에 기반을 둔 서비스

제11장 약물치료
감정조절장애, 우울증 그리고 행동조절장애에 대한 약리학적 개입 
실제적인 고려사항
요가 수행자, 인민위원 그리고 연금술사

■ 참고문헌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