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수몰을 거슬러 역사를 사랑하는 마을 원천 / 집필진 : 한양명,이상현,정연상,이용범,신호림,강윤정,안상학,박선미,한정훈,강석민
수몰을 거슬러 역사를 사랑하는 마을 원천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수몰을 거슬러 역사를 사랑하는 마을 원천 / 집필진 : 한양명,이상현,정연상,이용범,신호림,강윤정,안상학,박선미,한정훈,강석민
  • ·발행사항 서울 : 민속원, 2020
  • ·형태사항 304 p. :삽화, 지도 ;25 cm
  • ·총서사항 (안동의 마을민속 ;08)(민속원 ;1776)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28514298  94380: \28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911.82  듀이십진분류법-> 951.95  
  • ·주제명 향토 문화[鄕土文化]지방사[地方史]안동(경상북도)[安東]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집필진: 한양명,이상현,정연상,이용범,신호림,강윤정,안상학,박선미,한정훈,강석민 2020 SE0000577276 911.82-20-7 인문예술자료실(1층) 대출 가능 0 - 인쇄자료(책자형) 
집필진: 한양명,이상현,정연상,이용범,신호림,강윤정,안상학,박선미,한정훈,강석민 2020 SE0000577277 911.82-20-7=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발간사 -4
머리말 -6

마을의 역사와 경관 | 강윤정
1. 들어가는 말 -25
2. 행정 공간과 자연지리 -27
3. 진성이씨의 마을 개창과 확장 -30
4. 마을의 농지 규모 -33
5. 신문화의 수용과 마을의 변화 -35
6. 일제강점기 항일투쟁 -39
7. 댐건설 이후 원촌마을 경관 -43

원천리의 문중조직과 친족 활동의 특징 | 이상현
1. 들어가며 : 원천리 마을 개관 -47
2. 원천리 주요 성씨와 문중조직 -49
3. 문중 조직과 활동 -51
4. 나가며 : 주요 성씨 문중 성원의 문중 활동의 양상과 의미 -61

세시풍속의 전통과 변환 | 강석민
1. 마을사회의 동향과 기록의 정형 -67
2. 세시전통의 양상과 특징 -71
3. 재형된 풍속과 조건의 변화 -75
4. 존속의 어려움과 그 대응 -80

마을 공동체 제의의 과거와 현재 | 이용범
1.개요 -85
2. 원촌의 당고사 -86
3. 내살미의 당고사 -97

옛 원촌의 축제와 놀이 | 한양명
1. 머나먼 마을, 원촌 -111
2. 육사 형제의 기억 속에 남은 유소년놀이 -114
3. 양반의 풍류, 뱃놀이船遊와 산놀이遊山 -119
4. 남녀노소가 함께 즐긴 윷놀이 -123
5. 상하가 함께한 동제 -129
6. 맺음말 -132

원천마을 여성들의 일상과 여가 | 한정훈
1. 서론 -135
2. 결혼과 원천마을의 첫 풍경 -136
3. 며느리들의 하루와 시집살이 -140
4. 며느리들의 제사 지내기 -147
5. 생활 공간의 확장과 세계 인식의 확대, 장날과 여행 · 관광 -149
6. 사회적 관계맺음과 여성들의 계모임 -154
7. 현재 원천마을 여성들의 일상 -157
8. 결론 -160

원천 마을과 전설 | 신호림
1. 마을과 전설의 관계 -163
2. 전설 자료의 존재 양상 -165
3. 전설의 통해 본 원천리의 특징 -210

일상음식과 잔치음식 문화의 전통 | 박선미
1. 1970년대 수몰의 기억과 생업환경 -217
2. 민가의 일상음식 전통과 상차림 -221
3. 민가의 잔치풍경과 상차림 -228
4. 원촌종가의 '선비정신'과 일상 상차림 -234
5. 원촌종가의 잔치음식과 제사음식 -236
6. 원천리 음식문화의 전통 -241

마을의 공간 구조와 주거 공간의 특성 | 정연상
1. 마을의 형성 및 공간구조 -243
2. 주거유형 및 공간구조 -253

이육사 문학과 고향 원촌마을 | 안상학
1. 들어가는 말 -275
2.「황혼黃昏」-277
3.「초가草家」-284
4.「청포도靑葡萄」-289
5.「절정絶頂 」-298
6. 나오는 말 -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