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1인가구 주거공동체 및 사회적 관계 활성화 방안 / 책임연구원 : 김영정
1인가구 주거공동체 및 사회적 관계 활성화 방안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1인가구 주거공동체 및 사회적 관계 활성화 방안 / 책임연구원 : 김영정
  • ·발행사항 서울 : 서울시여성가족재단, 2019
  • ·형태사항 xiv, 173 p. :도표 ;26 cm
  • ·총서사항 (2019 정책연구 ;10)
  • ·주기사항 위촉연구원: 구화진
    권말부록: 1인가구의 공동체주거 생활 설문조사지
    참고문헌 수록
    영어 요약 있음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89763558  93330: \13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32.277  듀이십진분류법-> 306.81  
  • ·주제명 일인 가구[一人家口]공동 주거[共同住居]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책임연구원: 김영정 2019 SE0000576021 정책 332.277-20-5 정책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책임연구원: 김영정 2019 SE0000582954 정책 332.277-20-5=2 정책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Ⅰ 서론
1.연구 배경 및 필요성 -3
1) 1인가구 주거문제와 사회적 관계 욕구 -3
2) 1인가구 주거 대안으로서 공동체주거 부상 -5
3) 공동체주거 생활실태 및 정책요구 분석 필요 -5

2.연구 목적 및 연구문제 -6

3.연구 내용 -7
1) 공동체주거의 정의와 연구대상 범위 -7
2) 연구 방향 및 내용 -8

4.연구 방법 -9
1) 문헌조사 -9
2) 설문조사 및 FCI -9
3) 전문가 자문 -11
4) 과제수행체계 -12

Ⅱ 1인가구와 공동체 주거:개념과 현황
1.1인가구와 주거 -15
1) 1인가구의 증가와 주거문제의 심화 -15
2) 1인가구의 공동체주거 욕구와 필요성 -21
3) 1인가구의 삶과 새로운 관계성 실천 -23

2.공동체주거의 개념과 가치 -25
1) 공동체주거의 가치 : 공동체의식, 소통, 자치 -25
2) 공동체주거의 정의와 유형 -27

3.서울시 공동체주택 정책 현황 -35
1) 서울시 공동체주택 활성화 사업 추진현황 -35
2) 서울시 공동체주택 지원 제도 -38]
3) 서울시 공동체주택 사업의 의의와 한계 -40

4.국외 공동체주거 사례 -42
1) 국외 공동체주거의 공동체활용 -42
2) 국외 사례의 시사점 -47

5.소결 -48
 
Ⅲ 1인가구의 공동체주거 생활실태
1.1인가구의 공동체 주거 생활경험 설문조사 결과 -53
1) 조사 개요 -53
2) 1인가구의 삶 -56
3) 공동체주거 생활 -61
4) 입주자 공동체활동 -79
5) 공동체주거 인식 -96

2.공동체주거 생활실태 FGI 결과 -102
1) 조사 개요 -102
2) 1인가구의 공동체주거 생활 동기와 장점 -107
3) 공동체주거 내 관계의 실제 -117
4) 공동체활동의 내용 -127
5) 공동체주거 지원 환경 -136

3.소결 -143
 
Ⅳ 결론:1인가구를 위한 공동체주거 정책 개선 방안 -147
1.정책 방향 -149
2.세부 과제-150
1) 입주자 확대와 공동체주거 이해 심화 -150
2) 공동체 프로그램 활성화 -153
3) 지원환경 조성 -155

참고문헌 -158

Abstract -161

부록 -1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