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포항지진 그 후 : 재난 거버넌스와 재난 시티즌십 / 김진희,김기흥,김철식,정채연,김용찬,김은혜,김의영,노진철,서미혜,임기홍 지음
포항지진 그 후 : 재난 거버넌스와 재난 시티즌십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포항지진 그 후 : 재난 거버넌스와 재난 시티즌십 / 김진희,김기흥,김철식,정채연,김용찬,김은혜,김의영,노진철,서미혜,임기홍 지음
  • ·발행사항 파주 : 나남, 2020
  • ·형태사항 407 p. :삽화 ;23 cm
  • ·총서사항 (포스텍 융합문명연구원 문명과 담론 총서 ;06)
  • ·주기사항 참고문헌과 색인 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30040686  94330: \28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50.83  듀이십진분류법-> 353.95  
  • ·주제명 재난 관리[災難管理]거버넌스[governance]지진[地震]포항[浦項]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김진희,김기흥,김철식,정채연,김용찬,김은혜,김의영,노진철,서미혜,임기홍 지음 2020 SE0000560056 350.83-20-7 일반자료실(2층) 대출 가능 0 - 인쇄자료(책자형) 
김진희,김기흥,김철식,정채연,김용찬,김은혜,김의영,노진철,서미혜,임기홍 지음 2020 SE0000560057 350.83-20-7=2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프롤로그 5 
제1부 재난 거버넌스와 재난 시티즌십: 이론과 사례 

1장 공동체 중심 재난 거버넌스의 필요성과 재난 시티즌십(노진철) 
1. 들어가며 25 
 2. 재난공동체의 집단 트라우마와 집단 고통 32 
 3. 국가 중심 재난관리에서 공동체 중심 재난 거버넌스로 43 
 4. 재난공동체의 복원력 51 
 5. 사회적 취약성과 재난 시티즌십 58 
 6. 나가며 70 

 2장 1990년대 중반 이후 일본 지진과 재난 거버넌스-시티즌십의 변화(김은혜) 
1. 들어가며: 1990년대 중반 이후 일본의 광역·복합재난 85 
 2. 일본의 재난 거버넌스-시티즌십 88 
 3. 재난 거버넌스: 재난 대비-대응-관리체계 102 
 4. 재난 시티즌십: 재난피해와 시민사회의 재구축 114 
 5. 나가며: 일본 지진 대비 경험을 넘어서 122 

제2부 포항지진과 재난 거버넌스, 재난 시티즌십 

3장 포항지진과 시민인식론(김기흥) 
1. 들어가며 135 
 2. 포항지진 원인을 둘러싼 논쟁 139 
 3. 논쟁의 종식과 불확실성 155 
 4. 누가 공적 지식을 결정하는가?: 시민인식론과 과학지식의 형성 172 
 5. 나가며 177 

 4장 지역 커뮤니케이션 자원과 재난상황에서의 시민관여(김용찬ㆍ서미혜ㆍ김진희) 
1. 들어가며 189 
 2. 재난상황에서의 시민참여 192 
 3. 커뮤니케이션 하부구조이론, 재난, 시민참여 195 
 4. 연구방법 200 
 5. 연구결과 204 
 6. 나가며: 결과에 대한 논의와 결론 211 

 5장 포항지진과 지역 기반 소셜미디어 의존(김진희ㆍ서미혜ㆍ김용찬) 
1. 들어가며 221 
 2. 자료수집 방법 225 
 3. 지역 기반 소셜미디어로서의 ‘포놀’ 의존 요인들 226 
 4. 지역 기반 소셜미디어 ‘포놀’에 대한 의존 양상 240 
 5. 지역 기반 소셜미디어, ‘포놀’ 의존의 결과 246 
 6. 나가며 256 

 6장 포항지진과 사회운동(김철식) 
1. 들어가며 265 
 2. 시민사회 대응 분석을 위한 주요 개념 검토 268 
 3. 포항지진에 대한 시민사회운동의 대응: 시기별 전개과정 271 
 4. 재난복구의 사사화와 스케일의 불일치 294 
 5. 나가며: 시민사회운동과 지역공동체 재난 복원력의 전망 301 

 7장 포항지진 복구의 정치적 동학(임기홍ㆍ김의영) 
1. 들어가며 307 
 2. 재난 거버넌스와 참여 313 
 3. 지진복구 과정의 전개 및 시기별 특징 316 
 4. 지진특별법 제정과정의 담론 분석 326 
 5. 국가 담론의 인식적?제도적 기반 332 
 6. 나가며 344 

 8장 재난에 대한 다학제적 연구의 법적 수용(정채연) 
1. 들어가며 351 
 2. 재난법 연구를 위한 다학제적 이론 기초 353 
 3. 재난연구의 관점에서 〈포항지진특별법〉에 대한 논평 378 
 4. 나가며: 포스트-재난공동체로서 포항사회 392 

찾아보기 399 
저자소개 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