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인간을 위한 미래 : 우리는 어떤 미래를 설계할 것인가 : 대한민국 석학 8인이 대전환기 인류의 미래를 통찰한다 / 김도현,이재열,김홍중,김도년,김대식,강형구,정유신,김재인 지음
인간을 위한 미래 : 우리는 어떤 미래를 설계할 것인가 : 대한민국 석학 8인이 대전환기 인류의 미래를 통찰한다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인간을 위한 미래 : 우리는 어떤 미래를 설계할 것인가 : 대한민국 석학 8인이 대전환기 인류의 미래를 통찰한다 / 김도현,이재열,김홍중,김도년,김대식,강형구,정유신,김재인 지음
  • ·발행사항 서울 : 클라우드나인, 2020
  • ·형태사항 269 p. :삽화(일부천연색), 도표 ;23 cm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89430870  03320: \17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31.544  듀이십진분류법-> 303.49  
  • ·주제명 미래 사회[未來社會]미래 도시[未來都市]인공 지능[人工知能]한국 사회[韓國社會]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김도현,이재열,김홍중,김도년,김대식,강형구,정유신,김재인 지음 2020 SE0000557523 331.544-20-24 일반자료실(2층) 대출중 0 2024-07-06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서문 인간의 미래: 인간만이 더 나은 미래를 꿈꾼다-7
(김도현, 국민대 경영학부 교수)
미래가 어떻게 바뀔지가 아닌 어떻게 바꿀지를 논의하자 -11
대한민국의 갈등과 불신 해결 방법 -13/ 인공지능과 인간 -14/금융시장의 변화 -15/ 미래의 도시 -16

1장 미래의 조건
: 미래의 부가 아닌 미래의 행복을 설계하자 -23
(이재열,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

1. 왜 한국은 부유한데 분노 사회가 됐는가 -27
왜 지갑은 풍족해졌는데 행복하지는 않은가 -27
그 어떤 열망이 광장의 촛불을 켰는가 -31
왜 현실은 불만족스럽고 미래는 불안한가 -33
지속가능한 사회의 조건은 부가 아닌 소셜 퀄리티다 -35
이제 불신사회에서 탈출해 지속가능한 사회로 가자 -39

2. 사회의 품격이 있어야 행복해질 수 있다 -43
왜 북유럽 국가들의 소셜 퀄리티가 높은가 -43
복지사회의 조건은 돈이 아니라 투명성이다 -47
국가는 국민의 외로움까지 해결해야 한다 -49

3. 경제적 성장과 사회적 행복 둘 다 필요하다 -51
이익과 사회적 가치를 동시에 추구해야 한다 -51
깨어 있는 자본주의 시대는 존경받는 기업을 원한다 -55
누군가 이익을 보면 누군가 희생해야 한다는 관점에서 벗어나자 -58
시장 가격으로 표시되지 않는 가치를 평가해야 한다 -60

2장 미래의 원동력 
: 미래의 주역 밀레니얼 세대를 응원하자-63
(김홍중,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
1. 청년 세대가 꾸는 꿈이 우리의 미래이다 -67
왜 청년 세대를 주목해야 하는가 -67
왜 386세대와 밀레니얼 세대는 그토록 다른가 -70
왜 진정성은 생존주의로 바뀌었는가 -72

2. 왜 청년 세대는 서바이벌을 향해 질주하는가 -74
1980년대 까치 세대가 낳은 2000년대 장그래 세대 -74
청년 세대에게 한국은 모든 게 경쟁인 오디션 사회이다 -76
청년 세대는 자신의 자아와 ‘투자’ 관계를 맺는다 -78

3. 우리는 청년의 미래를 어떻게 응원해야 하는가 -81
청년 세대는 생존, 공존, 독존, 탈존을 지향한다 -81
왜 청년 세대는 네트워크 시대에 ‘디스커넥트’를 꿈꾸는가 -83
청년 세대의 핵심적 도덕 가치는 공정과 안전이다 -85
청년 세대에게 행위의 공간을 허용해야 한다 -86

3장 미래의 생태계
: 미래 도시는 협력의 생태계여야 한다 -89
(김도년, 성균관대 건축학과·미래도시융합공학과 교수)

1. K-스마트 시티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93
한국에는 40년 후의 미래 도시가 있다 -93
산업은 도시의 엔진이고 문화는 도시의 에너지다 -98
도시는 시대의 문제를 풀며 진화한다 -102

2. 스마트 시티의 본질은 협력 공동체이다 -106
21세기 제조업의 귀환과 도시 생태계의 재생 -106
도시 생태계는 ‘우연한 협력’으로 살아 움직인다 -109
스마트 인프라가 충족해야 할 5가지 조건 -114
용산전자상상가의 실험 ‘공간은 창조를 지원한다’ -116

3. 도시는 어떻게 미래에 대응하는가 -120
기술만으로 좋은 도시가 완성되지 않는다 -120
미래의 문제는 현재의 문제로 풀면 된다 -122
시대정신을 담은 인프라가 곧 도시의 품격이다 -125
스마트 시티의 경쟁력은 시민의 공감에서 시작된다 -128

4장 미래 기술과 격차
: 인공지능에 과학, 사회학, 철학을 탑재하자 -131
(김대식, 카이스트 전기 및 전자공학부 교수)

1. 학습하는 기계와 학습당하는 인간의 세상이 온다 -135
인공지능의 이해능력은 데이터 학습능력이다 -135
인공지능이 정보를 이해하는 시대가 온다 -138
인공지능이 직접 데이터 생산을 한다 -140
인공지능의 발전은 어두운 미래를 상상하게 한다 -142
왜 인공지능 판사가 인간 판사보다 위험한가-146

2. 인공지능 시대에 어떻게 민주주의를 보완할 것인가 -148
누가 기술을 통제할 것인가를 논의해야 한다 -148
구글과 페이스북은 새로운 자본주의의 시작점이다 -150
가짜가 범람하는 포스트 트루스 시대가 시작됐다 -152

3. 4차 산업혁명이 가져올 격차를 줄여보자 -155
미래 사회의 불평등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155
인공지능이 민주주의에 미칠 파괴적 영향을 대비하자 -158
인공지능에 과학, 사회학, 철학을 결합해야 한다 -160

5장 미래 기술과 협업
: 인공지능은 인간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다 -163
(강형구, 한양대 경영학과 교수)

1. 인공지능 금융투자는 어디까지 와 있을까 -167
왜 인공지능 전문가들이 금융회사로 갈까-167
인공지능을 이용하면 금융투자에 성공할까 -170
어떻게 인공지능을 금융투자에 활용할 것인가 -172

2. 인간과 인공지능은 경쟁인가, 협력인가 -174
금융투자 장벽을 낮추는 시장충격모형 알고리즘 -174
‘차원의 저주’를 무시한 로보어드바이저의 문제 -177
인간과 인공지능의 협업은 IT의 기회다 -180

3. 기회와 변수 사이에 놓인 인간의 의사결정 -184
인공지능에 행동경제학의 관점을 담다 -184
선행적 위험관리가 가능해진다 -187

6장 미래의 돈
: 돈의 디지털 전환이 가져올 기회를 잡자 -185
(정유신 서강대 기술경영대학원 교수)

1. 누가 금융의 본질을 바꿨을까 -199
4차 산업혁명의 본질은 유통 혁명이다 -199
무형의 금융이 유형의 서비스로 전환한다 -201
유니콘은 빠르게 움직이는 금융의 산물이다 -203
실물의 그림자에서 벗어나 혁신의 리더가 된다 -205

2. 금융의 재부팅으로 빅블러 시대가 열렸다 -208
쪼개고 합치고 자유롭게 이동한다-208
은행도, IT도, 유통도 금융 플랫폼을 꿈꾼다-211
마이데이터로 정보 비대칭이 깨진다 -215
경계를 넘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해야 한다 -218
금융의 미래는 핀테크와 디지털 플랫폼의 결합이다 -222
핀테크의 최대 성장 잠재력을 가진 시장은 동남아다 -223

3. 새로운 돈의 시대에도 금융의 본질은 신뢰다 -225
‘신뢰’라는 자산이 더 큰 기회를 만든다 -225
기술을 규제 말고 기술로 규제한다 -227

7장 미래의 신뢰
: 신뢰를 탑재한 스마트 콘트랙트 시대가 온다 -231
(김재인 경희대 비교문화연구소 학술연구교수)

1. 왜 미래 사회는 새로운 신뢰를 원하는가 -235
왜 중앙의 권위는 신뢰를 잃었을까 -235
왜 블록체인은 미래의 핵심 기술로 주목받을까 -238
블록체인에는 허가형과 비허가형이 있다 -241

2. 블록체인 기술은 어떻게 신뢰를 만드는가 -245
블록체인은 소프트웨어 통신 네트워크다 -245
블록체인의 핵심 기술은 원장, 보안, 공유, 분산이다 -248
위조 확률은 우주가 수천만 번 탄생하면 한 번 가능하다 -250
원장의 공유와 분산으로 더 완전한 블록을 만든다 -252
블록체인의 신뢰는 ‘합의’다 -255
블록체인으로 세계가 하나의 컴퓨터처럼 작동할 수 있다 -257

3. 기술은 기술 밖 신뢰를 보장하지 못한다 -261
블록체인은 여전히 권한 남용의 문제를 안고 있다 -261
오라클이 주는 교훈, 신뢰는 결국 사람의 문제다 -263
블록체인은 인간에게 더 자유로운 세상을 안겨줄까 -265
기술의 신뢰와 기술 밖 신뢰는 다르다 -2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