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1960년대 박정희 정권의 농업 정책 / 김민석 저
1960년대 박정희 정권의 농업 정책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1960년대 박정희 정권의 농업 정책 / 김민석 저
  • ·발행사항 서울 : 선인, 2020
  • ·형태사항 459 p. ;23 cm
  • ·총서사항 (현대사총서 ;059)
  • ·주기사항 참고문헌과 색인 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60684063  93910: \40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911.074  듀이십진분류법-> 951.95043  
  • ·주제명 박정희 정부[朴正熙政府]농업 정책[農業政策]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김민석 저 2020 SE0000557311 911.074-20-3 인문예술자료실(1층) 대출 가능 0 - 인쇄자료(책자형) 
김민석 저 2020 SE0000557312 911.074-20-3=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Ⅰ. 서론 -21
1. 문제제기 -23
2. 연구사 검토 -27
3. 연구 개요와 구성 -32

Ⅱ. 정책 주체와 농업 정책의 수립 -39
1. 1960년대 초반 농촌과 농가경제 -41
2. 정책 주체의 구성과 변화 -53
1) 군부와 전문 관료 -53
2) 지식인과 위원회 -75
3. 1·2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과 농업 정책 -85
1) 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과 농업 정책 -85
2) 2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과 농업 정책 -96
4. 소결 -105

Ⅲ. 농업구조 개선사업과 관련 입법 -109
1. 농업구조 개선의 논의와 방향 -111
2. 농업구조 개선사업의 실시 -123
1) 협업개척농장의 운영과 성격 -123
2) 자립안정농가 조성사업의 운영과 성격 -139
3. 농업구조 개선의 입법화 -152
1) 농업기본법 제정 -152
2) 농지법 제정 추진 -158
4. 소결 -166

Ⅳ. 농업기관의 설립과 농촌지도체제의 확립-169
1. 지역사회개발사업의 변화와 농촌진흥청의 설립-171
1) 지역사회개발사업의 개편-171
2) 농촌진흥청의 설립과 운영-182
2. 농업협동조합의 개편과 운영-200
1) 농업협동조합과 농업은행의 통합-200
2) 농업협동조합의 조직과 업무-222
3. 새농민운동과 농어촌개발공사의 설립-235
1) 농업협동조합의 새농민운동-235
2) 농어촌개발공사의 설립과 운영-242
4. 소결-252

Ⅴ. 농업 생산력 증대정책-257
1. 농가경제 지원-259
1) 농촌 고리채 정리-259
2) 비료공급 관수일원화-271
2. 토지개량사업의 실시-281
1) 토지개량사업의 재편-281
2) 토지개량사업의 변화-287
3. 농산물 가격 정책-293
1) 농산물가격유지법의 제정-293
2) 이중곡가제 실시-307
4. 소결-315

Ⅵ. 농촌사회의 변화와 성격-319
1. 농지세 물납제의 실시와 농촌통제-321
1) 농지세 물납제의 실시 배경과 운영-321
2) 농지세 물납제의 연장과 농촌통제-334
2. 농업 생산력의 한계와 미곡유통체계의 왜곡-342
1) 농업 생산력 증대와 한계-342
2) 미곡유통체계의 왜곡과 서울특별시 양곡시장조합의 설립-351
3) 서울특별시 양곡시장조합 해체와 미곡유통 정책의 변화-369
3. 농가경제의 궁핍과 이농-383
1) 농가소득 증대와 한계-383
2) 이농의 확산-395
4. 소결-401

Ⅶ. 결론-405

부표-417
참고문헌-429
색인-4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