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부동산 논쟁의 마침표 / 김남정 지음
부동산 논쟁의 마침표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부동산 논쟁의 마침표 / 김남정 지음
  • ·발행사항 서울 : 좋은땅, 2020
  • ·형태사항 226 p. ;21 cm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65368517  03320: \14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21.326  듀이십진분류법-> 333.33  
  • ·주제명 부동산 정책[不動産政策]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김남정 지음 2020 SE0000556436 321.326-20-7 일반자료실(2층) 대출 가능 0 - 인쇄자료(책자형) 
김남정 지음 2020 SE0000556437 321.326-20-7=2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서문

1장 부동산시장을 둘러싼 오해와 편견, 논쟁들
1. 부동산가격 폭등은 강남만의 문제가 아니었다
2. 대도시의 아파트가격은 상승할 수밖에 없다
3. 서울시 주택가격은 인구감소와 주택보급률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4. 서울시 부동산문제는 규제만으로 해결할 수 없다
5. 아파트가격은 어느 정도 상승해야 탈이 안 날까?
6. 신혼부부 특별공급, 그것만으로는 저출산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
7. 부동산 거품? 팔리는 부동산에 거품이란 없다
8. 가끔은 엉뚱한 언론기사가 부동산시장을 뒤흔든다

2장 인기 있는 지역, 가격이 상승하는 부동산은 따로 있다
1. 부동산가격은 쓰임새와 창출되는 경제적 효용의 크기로 결정된다
2. 인기 있는 부동산은 그만한 이유가 있다
3. ?아파트를 너무나 사랑하는 대한민국, 가격 상승은 지속될 수밖에 없다
4. ?재개발??·??재건축 사업으로 부동산가격이 상승하지 않으면 그것이 더 큰 문제이다
5. 부동산시장은 항상 경제 상황의 눈치를 본다
6. 더 이상의 기대가치가 없을 때, 부동산가격은 하락한다 
7. 선택의 여지가 없는 수요가 부동산시장을 흔든다
8. 서울시 공간가치 변화로 강북이 다시 부상하고 있다

3장 독기 오른 정부, 그러나 시장의 반응이 녹록지 않다
1. 시장은 결코 정부를 이길 수 없다
2. 그나마 정부의 부동산시장 개입으로 아직은 살 만한 것이다
3. 정부가 부동산 전쟁에서 사용하는 무기는 무엇일까?
4. 어차피 부동산정책은 쳇바퀴처럼 돌고 돌고 또 돈다
5. 정부의 부동산정책은 과연 누구의 편일까?
6. 정부의 열정에도 국민은 정부를 신뢰하지 않는다
7. 분양가 상한제는 양날의 칼이다
8. 3기 신도시가 안고 있는 자족성 확보의 딜레마

4장 10년 뒤 부동산시장을 위해 지금 당장 해야 할 일들
1. 공공지분형 분양주택으로 불로소득 문제를 해결하자
2. 용적률 상향도 필요하지만 주택의 다양성 회복이 더 시급하다
3. ?10년 뒤 행복주택에서 쏟아져 나오는 신혼부부를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
4. 밀려오는 1인 가구, 지금 당장 부동산정책의 1순위로 올려야 한다
5. 기존 부동산의 이용가치를 높여야 도시와 사람이 숨을 쉴 수 있다
6. 때로는 중앙정부가 지자체의 주택정책을 배워야 한다
7. 이제 부동산관리청을 신설할 때가 되었다
8. 투기지역, 투기과열지구의 용어만큼은 당장 바꾸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