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문학과 예술에서) 재난을 말하다 / 지은이 : 한국서양문화교류연구회,홍덕선,박규현,이윤종,황정현,이규영,박정만,신종락
(문학과 예술에서) 재난을 말하다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문학과 예술에서) 재난을 말하다 / 지은이 : 한국서양문화교류연구회,홍덕선,박규현,이윤종,황정현,이규영,박정만,신종락
  • ·발행사항 고양 : 산과글, 2020
  • ·형태사항 233 p. :삽화 ;23 cm
  • ·주기사항 색인 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89024109  03800: \20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809.9  듀이십진분류법-> 809.9  
  • ·주제명 재난[災難]문학(예술)[文學]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지은이: 한국서양문화교류연구회,홍덕선,박규현,이윤종,황정현,이규영,박정만,신종락 2020 SE0000554462 809.9-20-13 인문예술자료실(1층) 대출 가능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들어가며 
 제1장 재난 문학의 탄생 | 홍덕선 
 재난의 스펙트럼 17 
재난의 글쓰기 21 
재난 문학과 포스트 묵시록 문화 22 

제2장 모리스 블랑쇼, ‘재난’의 경험으로서의 글쓰기 | 박규현 
 재난의 의미 25 
재난의 다른 이름 : 죽어감의 수동성 29 
재난과 사유의 관계 33 
오토비오-타나토그라피로서의 재난의 글쓰기 36 
재난의 글쓰기와 아우슈비츠 39 

제3장 재난과 영상 스펙터클: 지구 종말과 할리우드 SF 서사 | 이윤종 
 공상 과학 영화의 핵심은 재난 41 
산업 근대의 세계 종말 영화 45 
성찰적 근대의 SF 유토피아와 디스토피아: 〈블레이드 러너〉 52 
포스트 위험 사회의 지구 종말 영화: 〈인터스텔라〉 65 
 SF 영화 패러다임의 전환 73 

제4장 망해가는 세상에서 살아남는 법 | 황정현 
21세기 한국과 재난의 서사화 77 
재난의 상품화 81 
재난 포르노 85 
일상의 재난화, 재난의 일상화 87 
暗夜行: 파국 뒤에 오는 것 92 

제5장 재난 서사와 영화적 상상력: 영화 〈러시아 방주〉 | 이규영 
 재난 서사의 특징: 파국의 양상 97 
현실과 가상의 세계로서 〈러시아 방주〉 103 
망각의 재난에 대한 묵시록적 사유 114 
재난에 대한 인식 125 

제6장 파우제방의 『구름』에 나타난 재난 서사와 국가 권력 | 신종락 
 현대 사회 고발 127 
재난 문학의 특성 131 
재난시 국가 권력 136 
재난 문학의 영향 151 

제7장 원폭의 순간, 영원한 현재로서 재난의 기억: 〈비키니 섬의 세 스핑크스〉 | 박정만 
 아름다움과 파멸, 재현된 진리의 두 모습 155 
「희랍 항아리에 부치는 송시」: 아름다운 것은 영원한 기쁨 157 
〈비키니 섬의 세 스핑크스〉: 영원한 현재로서 재난의 기억 165 
예술의 종언? 175 

제8장 파국의 상상력: 포스트 묵시록 문학과 재난 문학 | 홍덕선 
 묵시록 서사 181 
코맥 맥카시의 『로드』(The Road): 지워지지 않는 파국의 흔적을 증언하기 186 
편혜영의『재와 빨강』: 출구 없는 미로 속의 불안 200 
포스트 묵시록 서사와 재난 서사 214 

제9장 코로나19와 차별 | 신종락 
 전염병과 차별 217 
페스트와 유대인 차별 219 
코로나 19와 국내에서의 차별 221 
코로나 19와 글로벌 사회 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