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민속지식의 인문학 / 글쓴이 : 배영동,김재호,이상현,임재해,천혜숙,이영배,이용범,이진교
민속지식의 인문학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민속지식의 인문학 / 글쓴이 : 배영동,김재호,이상현,임재해,천혜숙,이영배,이용범,이진교
  • ·발행사항 서울 : 민속원, 2020
  • ·형태사항 490 p. :삽화(일부천연색) ;24 cm
  • ·주기사항 기획: 안동대학교 대학원 민속학과 BK21플러스 사업팀
    참고문헌과 색인 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28514786  93380: \42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88  듀이십진분류법-> 398  
  • ·주제명 민속학[民俗學]민속 문화[民俗文化]한국 민속[韓國民俗]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글쓴이: 배영동,김재호,이상현,임재해,천혜숙,이영배,이용범,이진교 2020 SE0000553677 388-20-1 일반자료실(2층) 대출 가능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머리말 -4

1부|민속지식 연구의 시선과 성과 활용 -13

분류적 인지의 민속지식 연구의 가능성과 의의 |배영동| -15
1. 민속의 기초로서 지식 -16
2. 분류적 인지의 민속지식 실제 -20
3. 분류적 인지의 주체별 차이 -35
4. 분류적 인지의 민속지식 연구 의의 -40

옹기 장인들의 불에 대한 민속지식과 민속분류 |김재호| -47
1. 지식의 개념과 옹기 장인들의 민속지식 -48
2. 옹기 소성과정과 불의 민속분류 -51
3. 불에 대한 민속분류와 민속지식의 관계 -60
4. 옹기 장인들의 불 분류가 갖는 의의 -71

옹기장인의 옹기제작기술과 전통지식 |김재호| -75
1. 전통지식의 개념과 선행연구검토 -76
2. 재료 준비과정상의 전통 기술과 지식 -80
3. 성형과정상의 전통 기술과 지식 -86
4. 소성 과정상의 전통 기술과 지식 -92
5. 옹기장인의 전통지식의 범주와 분류 -96
6. 옹기장인의 전통지식이 갖는 특징과 의의 -100

민속지식의 취업 현장 활용을 위한 독일민속학계의 노력과 연구 |이상현| -103
1. 시작하며 -104
2. 전공학생 취업에 대한 이론적 논의: Volkskunde와 문화분석 -108
3. 전공학생 취업을 위한 방법론: 독일민속학회와 개별 연구소의 활동 -119
4. 마무리 -130

2부|민속지식 인식의 국면과 다양성 -135

민속지식의 세계 인식과 구비문학의 지식 기능 |임재해| -137
1. 새 지식으로서 민속지식을 포착하는 길 -138
2. 민속학의 열쇠말로서 ‘민속지식’의 자리매김 -143
3. 지식체계의 고정관념을 극복하는 민속지식의 세계 -152
4. 외국지식과 전문지식에 대한 민속지식의 가치인식 -158
5. 오래된 미래의 민속지식과 구비문학의 미디어 기능 -166
6. 구술자료의 네 층위 인식 및 정보와 지식의 분별 -176
7. 구비역사와 구비문학에 담긴 구비철학의 지식 기능 -181
8. 구비문학의 지식 읽기와 해석 역량의 독창성 -193
9. 기억되고 상상된 구비문학 지식의 인문학적 가치 -200
10. 박물관과 도서관을 겸하는 구비문학 지식 기능 -208

탯줄과 출산문화로 본 민속지식의 태아생명 인식 |임재해|- 215
1. 언어적 질문과 탯줄의 문화적 상상력 -216
2. ‘새끼’와 ‘금줄’의 일반화 오류와 금줄문화 -221
3. 탯줄 이전의 태아인식과 ‘3신’ 논의의 비약 -231
4. 삼신본풀이로 본 민속지식의 태아생명 인식 -238
5. 삼신본풀이의 아기받기와 삼 가르기 민속지식 -247
6. 육아 민속지식의 전통과 만나는 애착육아법 -255
7. 새끼와 탯줄에 얽힌 신화적 갈래 인식의 착종 -262
8. 주술적 반어법 ‘새끼’의 몰이해에 따른 착종 -273
9. 민속지식이 포착한 출산문화와 태아생명 인식 -278

여성 민속지식의 전승과 그 소외 또는 순치의 국면 |천혜숙| -283
1. 민속지식과 여성 -284
2. 여성 민속지식의 전승맥락과 양상 -287
3. 여성 민속지식의 소외 또는 순치馴致의 국면 -309
4. 마무리 -319

1960~80년대 운동권 지식인의 민요 인식과 민속학자의 민중 인식 |이상현| -323
1. 들어가며 -324
2. 운동권 지식인의 문화운동과 민요 인식 -327
3. 민속학자의 민속전승과 민중 인식 -337
4. 나오며 -352

3부|민속지식의 논리와 전승 원리 -355

한식韓食에 담긴 전승문화적 논리와 지식 그리고 가치 |배영동| -357
1. 한국문화의 일부로서 한식 -358
2. 한식의 성립과 전형성 -362
3. 한식에 담긴 문화적 논리와 지식 -365
4. 한식에 담긴 문화적 가치 -380
5. 한식 정책은 한식의 문화적 가치 살리기 -386

공동지식의 재현으로서 구술기억의 의미망과 분석 실제 |이영배| -391
1. 구술기억의 구성 문제와 논제 설정-392
2. 구술기억의 다중적 의미망과 경향성 -393
3. 기억이 닻을 내린 장소의 속성들 -403
4. 회상을 매개로 형성된 원형기억 -407
5. 망자숭배의 성聖화된 사후기억 -412
6. 기억의 분기分岐와 갈등, 또는 정치 -416
7. 기억의 선별 문제와 경계의 횡단 -423

무속 치병治病의례의 유형과 치병 원리 |이용범| -427
1. 무속 치병 원리에 대한 관심 -428
2. 무속 치병의례의 유형과 치병 원리 -430
3. 무속 치병의례의 중심 원리 -441
4. 무속 치병 원리의 의의 -448

1899년, 가뭄과 기우제 그리고 전차 폭동 |이진교| -449
1. 가뭄과 기우제 -450
2. 가뭄의 전개와 사회적 갈등의 심화 -454
3. 전차 폭동과 국행 기우제 -461
4. 사회적 갈등과 봉합의 드라마 -469

참고문헌 -473
찾아보기 -487
글쓴이 소개 -4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