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1900년 이후의 미술사 = Art since 1900 : 모더니즘, 반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 / 지은이 : 할 포스터,로잘린드 크라우스,이브-알랭 부아,벤자민 H.D. 부클로,데이비드 조슬릿 ;옮긴이 : 배수희,신정훈,오유경,김홍기,오윤정,조현정,김일기,유정아
1900년 이후의 미술사 = Art since 1900 : 모더니즘, 반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1900년 이후의 미술사 = Art since 1900 : 모더니즘, 반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 / 지은이 : 할 포스터,로잘린드 크라우스,이브-알랭 부아,벤자민 H.D. 부클로,데이비드 조슬릿 ;옮긴이 : 배수희,신정훈,오유경,김홍기,오윤정,조현정,김일기,유정아
  • ·판사항 3판
  • ·발행사항 서울 : 세미콜론 :사이언스북스, 2016
  • ·형태사항 895 p. :삽화(일부천연색), 초상 ;29 cm
  • ·주기사항 원표제:Art since 1900 :modernism, antimodernism, postmodernism
    원저자명: Hal Foster, Rosalind Krauss, Yve-Alain Bois, Benjamin H. D. Buchloh, David Joselit
    감수: 김영나
    세미콜론은 사이언스북스의 브랜드임
    참고문헌과 색인 수록
    영어자료를 한국어로 번역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83717818  03600: \100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609.05  듀이십진분류법-> 709.04  
  • ·주제명 미술사(역사)[美術史]모더니즘[modernism]포스트 모더니즘[post modernism]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지은이: 할 포스터,로잘린드 크라우스,이브-알랭 부아,벤자민 H.D. 부클로,데이비드 조슬릿 ;옮긴이: 배수희,신정훈,오유경,김홍기,오윤정,조현정,김일기,유정아 2016 SE0000551252 609.05-20-2 인문예술자료실(1층) 대출 가능 0 - 인쇄자료(책자형) 
지은이: 할 포스터,로잘린드 크라우스,이브-알랭 부아,벤자민 H.D. 부클로,데이비드 조슬릿 ;옮긴이: 배수희,신정훈,오유경,김홍기,오윤정,조현정,김일기,유정아 2016 SE0000567248 609.05-20-2=2 인문예술자료실(1층) 대출 가능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목차

이 책의 구성-12
이 책을 읽기 전에-14
서론-16
1. 모더니즘과 정신분석학 HF-17
2. 예술사회사의 모델과 개념 BB-24
3. 형식주의와 구조주의 YAB-34
4. 후기구조주의와 해체 RK-42
5. 세계화, 네트워크, 그리고 취합이라는 형식 DJ-51

1900-1909
1900a. 지그문트 프로이트가 『꿈의 해석』을 출간한다. 
빈에서 구스타프 클림트, 에곤 실레, 오스카 코코슈카의 표현적인 미술이 
정신분석학과 더불어 등장한다-64
1900b 앙리 마티스가 오귀스트 로댕의 파리 작업실을 방문하지만 선배 
조각가의 양식을 거부한다-69
1903 폴 고갱이 남태평양 마르키즈 제도에서 사망한다. 
고갱 미술에서 보이는 부족 미술과 원시주의의 환상들이 앙드레 드랭, 
앙리 마티스, 파블로 피카소, 에른스트 루트비히 키르히너의 초기 작업에 
영향을 미친다
상자글·이국적인 것과 나이브한 것-76
1906 폴 세잔이 프랑스 엑상프로방스에서 생을 마감한다. 세잔의 죽음과 1년 전 
개최된 빈센트 반 고흐와 조르주 쇠라의 회고전을 계기로 후기인상주의가 역사 
속으로 사라지고 야수주의가 그 뒤를 잇는다
상자글·로저 프라이와 블룸즈버리 그룹-82
1907 양식적으로 일관성이 없고 원시적 충동이 드러난 「아비뇽의 아가씨들」을 
통해 파블로 피카소는 미메시스적 재현에 가장 강력한 공격을 가하기 시작한다
상자글·거트루드 스타인-90
1908 빌헬름 보링거가 『추상과 감정 이입』에서 추상미술을 세계에서의 후퇴로, 
재현미술을 세계로의 개입으로 대조한다. 독일 표현주의와 영국 소용돌이파는 
이렇게 상반된 심리 상태를 나름의 방식으로 형상화한다-97
1909 필리포 톰마소 마리네티가 최초의 미래주의 선언을 《르 피가로》1면에 
발표한다. 아방가르드는 처음으로 매체와 결합했으며, 스스로를 역사와 전통에 
저항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상자글·에드워드 마이브리지와 에티엔-쥘 마레-102

1910-1919
1910 앙리마티스의 「춤 Ⅱ」와 「음악」이 파리의 살롱 도톤에서 비난받는다. 
'장식' 개념을 극단으로 밀고 나간 이 작품들에서는 한눈에 파악하기 힘들 만큼 
방대한 색면이 펼쳐진다-112
1911 파블로 피카소가 '빌렸던' 이베리아 석조 두상을 원래의 소장 기관인 루브르 
박물관에 돌려준다. 원시주의 양식을 변화시킨 피카소는 조르주 브라크와 함께 
분석적 입체주의를 전개한다
상자글·기욤 아폴리네르-118
1912 상징주의 시, 대중문화의 부흥, 그리고 발칸 전쟁에 대한 사회주의의 저항 등, 
서로 충돌하는 여러 상황과 사건들이 영감을 주는 가운데 입체주의 콜라주가 창안된다-124
1913 로베르 들로네가 베를린에서 '창' 연작을 전시한다. 유럽 전역에서 초기 추상의 
패러다임과 문제점이 구체적으로 그 모습을 드러낸다-130
1914 블라디미르 타틀린은 입체주의의 변형으로서 구축 작품을 발전시키고 마르셀 
뒤샹은 입체주의와의 단절로서 레디메이드를 제안하며 상호보완적인 방식으로 전통
적인 미술 매체를 비판한다
상자글·곰의 가죽-137
1915 카지미르 말레비치가 페트로그라드에서 열린 《0.10》전에 절대주의 캔버스를 
출품하면서 러시아 미술과 문학의 형식주의 개념들이 한곳에 모인다-142
1916a 제1차 세계대전의 종전과 함께 미래주의와 표현주의의 도발에 대한 이중 
반작용으로 취리히에서 국제적인 운동 '다다'가 시작된다
상자글·다다 저널-147
1916b 폴 스트랜드가 앨프리드 스티글리츠의 잡지《카메라 워크》에 참여한다. 사진을 
비롯한 기타 예술들 사이의 복잡한 관계 속에서 미국 아방가르드가 형성된다
상자글·아머리 쇼-154
1917a 피에트 몬드리안이 2년 동안의 집중적인 연구 끝에 추상을 돌파하고 신조형주의 
나아간다-160
1917b 1917년 10월 테오 판 두스뷔르흐가 네덜란드 레이던에서 《데 스테일》을 창간한다.
이 저널은 1922년까지는 매달, 그 이후에는 부정기적으로 발행된다. 1932년 마지막 호는
판 두스뷔르흐의 사망 직후 헌정의 의미로 발행된다-166
1918 뒤샹이 마지막 회화 작품인 「너는 나를/나에게」를 완성한다. 여기서 뒤샹은 자
신의 출발점이 됐던 우연의 사용, 레디메이드, '지표'로서의 사진 개념 모두를 집약한다
상자글∙로즈 셀라비-172
1919 파블로 피카소가 13년 만에 파리에서 첫 번째 개인전을 개최한다. 그의 작업에서 
혼성모방이 시작된 시기는 반(反)모더니스트적인 회귀 운동이 널리 퍼져나간 시기와 
일치한다
상자글∙세르게이 댜길레프와 발레 뤼스
상자글∙질서로의 복귀-178

1920-1929
1920 베를린에서 다다 페어가 열린다. 아방가르드 문화와 문화적 전통의 양극화로 
예술 작업은 정치화되고 포토몽타주가 새로운 매체로 등장한다-186
1921. 모스크바 미술문화연구소의 회원들이 구축주의를 새로운 공동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논리적 실천으로 규정한다
상자글∙소비에트 기관-198
1922 한스 프린츠호른이 『정신병자의 조형 표현』을 출판하고 파울 클레와 막스 에른
스트는 '광인의 미술'을 탐구한다-204
1923 20세기 모더니즘 미술과 디자인에 가장 많은 영향을 준 바우하우스가 독일 바이
마르에서 첫 공식 전시회를 개최한다-209
1924 앙드레 브르통이 창간한 잡지《초현실주의 혁명》을 계기로 초현실주의 미학의 
기초가 마련된다
상자글∙초현실주의 저널-214
1925a 파리에서 열린 아르 데코 전시가 근대적 키치의 탄생을 공식화한 반면, 르 코르
뷔지에의 기계 미학은 모더니즘의 악몽이 되고 알렉산드르 로드첸코의 노동자 클럽은 
인간과 사물의 새로운 관계를 주창한다
상자글∙블랙 데코-220
1925b 큐레이터 구스타프 F. 하르트라우브가 만하임 미술관에서 최초의 신즉물주의 
회화전을 기획한다. 이 새로운 '마술적 리얼리즘'은 '질서로의 복귀'라는 당시의 세계적 
흐름을 반영하는 것으로 독일 표현주의와 다다에 종말을 예고한다-226
1925c 오스카 슐레머는 『바우하우스의 무대』를 출간하고 마네킹과 오토마톤을 현대적
연기자의 이상으로 제시한다. 다른 미술가들, 특히 다다에 관여했던 여성 작가들이 인
형과 꼭두각시의 알레고리적 가능성을 탐색한다-232
1925d 5월 3일 아방가르드 영화 공개 상영회 〈절대 영화〉가 베를린에서 열린다. 이 프
로그램에는 영화의 방식으로 추상화 기획을 이어 나간 한스 리히터, 비킹 에겔링, 발터
루트만, 페르낭 레제의 실험 작품들이 있다-238
1926 옐 리시츠키의 「제품 시연실」과 쿠르트 슈비터스의 「메르츠바우」가 독일 하노버
에 설치된다. 이 구축주의자와 다다 미술가는 아카이브로서 미술관 건축을, 멜랑콜리아
로서 모더니즘 공간의 알레고리를 변증법적으로 구상한다-244
1927a 브뤼셀에서 상업미술가로 활동하던 르네 마그리트가 파리의 초현실주의 운동에 
가담한다. 광고 기법을 활용한 그의 미술은 언어와 재현의 모호한 관계를 탐색한다-248
1927b 콘스탄틴 브랑쿠시가 스테인리스 스틸로 「신생」을 제작한다. 그의 조각「공간 속
의 새」를 둘러싸고 미국에서 벌어진 공판에서 고급예술과 산업 생산 모델 간의 경쟁이 
본격화된다-252
1927c 찰스 실러가 포드 사로부터 의뢰를 받아 새로 신축한 리버 루즈 공장의 모습을 
기록으로 남긴다. 북미 모더니스트들이 기계시대에 서정적으로 접근하자 조지아 오키프
는 이를 자연 세계로 확장한다
상자글∙뉴욕근대미술관과 앨프리드 H. 바-256
1928a 블라디슬라프 스트르제민스키가 『회화의 유니즘』을 발표하자 구축주의의 국제화
가 절정에 달한다. 뒤이어 1931년에 블라디슬라프 스트르제민스키와 카타르지나 코브로
가 공동 저술한 조각에 관한 책 『공간의 구성』이 출간된다-262
1928b 얀 치홀트의 『신타이포그래피』출판은 소비에트 아방가르드가 서유럽 자본주의 
국가의 북디자인과 광고에 미친 영향을 공인하고 국제양식이 출현하는 틀을 마련한다-268
1929 1929년 독일공작연맹의 주관으로 5월 18일부터 7월 7일까지 슈투트가르트에서 개
최된 《영화와 사진》전이 세계의 다양한 사진 작업과 논의를 보여 준다. 20세기 사진사에
서 하나의 분기점이 된 이 전시는 사진 매체에서 새로 등장한 비평 이론과 역사 서술에 
주목한다-274

1930-1939
1930a 20∼30년대 바이마르 독일에서 등장한 대중 소비자와 패션 잡지가 사진의 제작과 
배포에 대한 새로운 구조를 만들면서 여성 사진가들의 등장을 돕는다-282
1930b 조르주 바타유가 《도퀴망》에 『원시 미술』에 관한 비평문을 쓴다. 이를 계기로 아
방가르드와 원시주의의 관계, 그리고 초현실주의 내부에 존재하던 뿌리 깊은 분열의 기미
가 표면화된다
상자글∙카를 아인슈타인-287
1931a 알베르토 자코메티, 살바도르 달리, 앙드레 브르통이 "상징적으로 기능하는 오브제"
에 대한 글을 잡지《혁명을 위한 초현실주의》에 게재한다. 초현실주의가 물신주의와 환상
의 미학에서 오브제-만들기의 영역으로 확장된다-292
1931b 호안 미로는 "회화를 암살한다."는 자신의 결심을 다시 공언하고 알렉산더 칼더의
섬세한 모빌은 둔중한 스태빌로 대체된다. 더불어 유럽의 회화와 조각은 조르주 바타유의 
'비정형' 개념을 반영하는 새로운 감수성을 드러낸다-297
1933 디에고 리베라가 록펠러 센터 벽화에 그린 레닌 초상화를 둘러싼 스캔들이 불거진다. 
멕시코 벽화 운동에 자극을 받아 미국 곳곳에서 정치적인 공공 벽화가 생산되면서 미국의 
정치적 아방가르드미술의 선례가 마련된다-303
1934a 소비에트 작가총동맹 제1차 회의에서 안드레이 즈다노프가 소비에트 사회주의 리
얼리즘 강령을 선언한다-308
1934b 헨리 무어가 「조각가의 목표」를 통해 구상과 추상, 초현실주의와 구축주의 사이에서 
작업하는 영국 직접 조각의 미학을 명료하게 드러낸다-314
1935 발터 벤야민이 「기계 복제 시대의 예술 작품」의 초안을 마련하고, 앙드레 말로는 
"벽 없는 미술관"을 구상하며, 마르셀 뒤샹은 「여행용 가방」의 제작에 착수한다. 사진을 
통해 예술 영역에서 표면화된 기계 복제의 충격이 미학 이론, 미술사, 작품 제작의 관행에
서도 감지된다-319
1936 프랭클린 D. 루스벨트가 실행한 뉴딜 정책의 일환으로 워커 에번스와 도로시어 랭을 
비롯한 일군의 사진가들이 대공황에 빠진 미국 농촌을 기록한다
상자글∙공공사업진흥국-324
1937a 유럽 열강들이 파리만국박람회의 국가별 미술, 무역, 선전 전시관에서 경쟁하는 사이 
나치는 뮌헨에서 모더니즘 미술을 맹렬히 비난하는 《퇴폐 '미술'》전을 개최한다-329
1937b 나움가보, 벤 니콜슨, 레슬리 마틴이 런던에서 『서클』을 출간하며 기하 추상의 제도화
를 공고히 한다-334
1937c 파블로 피카소의 『게르니카』가 파리만국박람회 스페인관에 전시된다-338

1940-1944
1942a 클레멘트 그린버그와 《파르티잔 리뷰》의 편집자들이 마르크스주의와의 결별을 선언
하면서 미국 아방가르드의 비정치화는 돌이킬 수 없는 일이 된다-348
1942b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수많은 초현실주의자들이 프랑스에서 미국으로 망명한다. 
뉴욕에서 개최된 두 전시는 서로 다른 방식으로 이런 망명의 상황을 반영한다
상자글∙추방과 망명
페기∙구겐하임-353
1943 할렘 르네상스가 인종적 자각과 그 유산에 대한 인식을 고취시킬 무렵, 제임스 A. 포터
는 미국 흑인 미술에 대한 최초의 연구서인 『근대 니그로 미술』을 뉴욕에서 간행한다-358
1944a 피에트 몬드리안이 「승리 부기-우기」를 완성하지 못하고 사망한다. 이 작품에서 회화를 
통해 파괴라는 관념을 추구했던 몬드리안 고유의 기획을 보여 준다-364
1944b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마티스, 피카소, 브라크, 보나르 같은 근대미술의 '거장'들은 
야만성에 대한 저항의 표시로 나치에게 점령된 프랑스를 떠나지 않은 채 그대로 머문다. 전쟁 
중에 거장들이 발전시킨 양식이 전후에 알려지면서 신세대 예술가들을 자극한다-369
라운드 테이블 20세기 중반의 미술-374

1945-1949
1945 데이비드 스미스가 「일요일의 기둥」을 제작한다. 구축 조각은 전통적인 미술의 수공예 
원리와 근대 제조업의 산업적 원리를 동시에 보여 준다-388
1946 장 뒤뷔페가 곧 '앵포르멜'이라 불리는 전후 프랑스 미술의 새로운 분변적 경향을 보여주는 
「오트 파트」를 전시한다
상자글∙아르 브뤼-393
1947a 라슬로 모호이-너지가 시카고에서 사망한 지 1년 후에, 요제프 알베르스가 노스캐롤라이나
블랙마운틴 칼리지에서 '변형' 회화를 시작한다. 미국에 수입된 바우하우스 모델이 다양한 예술적
명령과 제도적 압력에 의해 변형된다-399
1947b 뉴욕에서 창간된 《파서빌리티스》가 추상표현주의가 하나의 운동으로 결성했음을 알린다-404
1949a 《라이프》지가 잭슨 폴록에 대해 "그가 미국의 가장 위대한 생존 화가인가?"라고 묻는다. 
잭슨 폴록의 작품이 선진 미술의 상징으로 등장하다-411
1949b 코펜하겐, 브뤼셀, 암스테르담 출신의 젊은 미술가 모임인 코브라가 동명의 잡지를 발간하고
'생명의 핵심 근원'으로 복귀할 것을 주장한다. 한편, 영국의 뉴브루탈리스트들이 전후 세계의 내핍
한 상황에 적합한 일종의 벌거벗은 미학을 선보인다-416

1950-1959
1951 바넷 뉴먼의 두 번째 개인전이 실패로 돌아간다. 동료 추상표현주의자들에게 버림받은 그는 
미니멀리즘이 등장한 후에야 비로소 선구자로 추앙받게 된다-424
1953 작곡가 존 케이지가 로버트 라우셴버그의 작업「타이어 자국」에 참여한다. 라우셴버그, 엘스
워스 켈리, 사이 톰블리의 다양한 시도를 통해 지표의 흔적이 표현적인 자국에 대항하는 수단으로 
발전한다-430
1955a 구타이 그룹의 미술가들이 도쿄에서 열린 자신들의 첫 번째 전시에서 제안한 잭슨 폴록의
뿌리기 작품에 대한 새로운 독해는 일본 전통 미학과 닿아 있으며 '액션 페인팅'을 문자 그대로 해
석한다-435
1955b 파리의 드니즈 르네 갤러리에서 열린 《움직임》전과 함께 키네티시즘이 시작된다-441
1956 영국 팝아트의 선구자인 인디펜던트 그룹이 전후 시기의 미술, 과학, 기술, 상품 디자인, 대중
문화 간의 관계를 연구한다. 이들의 성과는 런던에서 열린 전시《이것이 내일이다》에서 절정을 이
룬다-447
1957a 문자주의 인터내셔널과 이미지주의 바우하우스라는 소규모의 두 전위 그룹이 통합돼 전후 
예술 운동 중 가장 정치 참여적이었던 상황주의 인터내셔널이 결성된다
상자글∙『스펙터클의 사회』의 두 명제-453
1957b 애드 라인하르트가 「새로운 아카데미를 위한 열두 개의 규칙」을 쓴다. 유럽에서 아방가르드
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열리던 무렵 미국에서는 라인하르트, 로버트 라이먼, 아그네스 마틴이 모노크
롬과 그리드를 탐색한다-460
1958 재스퍼 존스의 「네 개의 얼굴이 있는 과녁」이 《아트뉴스》표지에 실린다. 프랭크 스텔라 같은 
미술가들에게 존스는 형상과 배경이 하나의 이미지-사물로 융합된 회화 모델을 제시했으며, 다른 
이들에게는 일상의 기호들과 개념적 모호함을 사용하는 가능성을 열어 주었다
상자글∙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466
1959a 루치오 폰타나가 첫 번째 회고전을 가진다. 키치 연상물들을 사용하여 이상적인 모더니즘에 
문제를 제기한 그의 비판은 이후 후계자인 피에로 만초니에게로 계승된다-473
1959b 샌프란시스코 미술협회에서 브루스 코너가 사형 제도에 반대하기 위해 어린이용 식탁 의자에 
절단된 신체가 놓인 「어린이」를 발표한다. 뉴욕과 파리를 비롯한 다른 지역에서도 이와 유사한 작업
이 있었지만 이들보다 훨씬 과격했던 서부 연안의 브루스 코너, 월리스 버먼, 에드 키엔홀츠 등의 미
술가들은 아상블라주와 환경 작업을 발전시킨다-477
1959c 뉴욕근대미술관에서 《인간의 새로운 이미지》전이 열린다. 실존주의 미학이 알베르토 자코메티, 
장 뒤뷔페, 프랜시스 베이컨, 윌렘 데쿠닝 등의 작품에 나타난 구상에 관한 냉전의 정치로 확장된다
상자글∙미술과 냉전-483
1959d 리처드 에이브던의 『관찰』과 로버트 프랭크의 『미국인들』이 뉴욕사진학파의 변증법적인 두 
항을 이룬다-488
1959e 리우 데 자네이루에서 「신구체주의 선언」이 일간지 《호르날 두 브라질》의 두 페이지에 걸쳐
발표된다. 이로써 당시 널리 퍼져 있던 기하 추상의 합리주의적 해석이 현상학적 해석으로 대체된
다-494

1960-1969
1960a 비평가 피에르 레스타니가 파리의 다양한 미술가를 모아 누보 레알리슴 그룹을 결성한다. 
이 그룹은 콜라주, 레디메이드, 모노크롬의 패러다임을 재정의한다
상자글∙네오아방가르드-504
1960b 클레멘트 그린버그가 「모더니즘 회화」를 발표한다. 그의 비평이 방향을 바꾸어 60년대 새로
운 논쟁들을 만들어 낸다
상자글∙레오 스타인버그 - 평판 화면-509
1960C 로이 리히텐슈타인과 앤디 워홀이 회화에 만화와 광고를 사용하기 시작하고, 제임스 로젠퀴
스트나 에드 루샤 등이 그 뒤를 따른다. 미국의 팝아트는 이렇게 탄생한다-515
1961 12월에 클래스 올덴버그가 뉴욕의 이스트 빌리지에 「가게」를 연다. 「가게」는 하나의 '환경'으
로서 주위에 널린 저렴한 가게들의 진열 방식을 흉내 냈으며, 모든 품목은 판매를 위한 것이었다. 겨
울부터 이듬해 봄까지 10개의 다양한 '해프닝'이 「가게」부지에 위치한 올덴버그의 레이건 극장에서 
수행된다-520
1962a 서독의 비스바덴에서 조지 마키우나스가 플럭서스 운동의 형성을 알리는 일련의 국제적 행사
중 첫 번째 이벤트를 조직한다-526
1962b 빈에서 귄터 브루스, 오토 뮐, 그리고 헤르만 니치 등 일군의 예술가들이 모여 빈 행동주의를 
결성한다-534
1962c 커밀라 그레이의 『위대한 실험 : 러시아 미술 1863∼1922』의 출판으로 인해, 블라디미르 타틀
린과 알렉산드르 로드첸코의 구축주의 원리들에 대한 서구의 관심이 되살아난다. 댄 플래빈, 칼 안드
레, 솔 르윗 등과 같은 젊은 미술가들이 이 원칙들을 다른 방식으로 정교하게 다듬어 낸다
상자글∙《아트포럼》-540
1962d 클레멘트 그린버그가 처음으로 초기 팝아트의 추상적 면모를 인정한다. 이 특징은 이후 팝 주
창자들과 그 추종자들의 작품에서 되풀이되어 나타난다-545
1963 게오르크 바젤리츠가 오이겐 쇠네베크와 함께 두 개의 선언문을 발표한 후, 베를린에서 「수포로 
돌아간 위대한 밤」을 전시한다-551
1964a 히틀러에 대항해 일으킨 슈타우펜베르크의 쿠데타가 실패한 지 20년이 되던 7월 20일, 요제프 
보이스는 가짜 자서전을 출판하고, 서독 아헨에서 열린 '뉴 아트 페스티벌'에서 대중 폭동을 일으킨다-556
1964b 앤디 워홀의 「13명의 지명 수배 1호」가 뉴욕세계박람회 미국관 전면에 일시적으로 설치된다-562
1965 도널드 저드가 「특수한 사물」을 발표한다. 저드와 로버트 모리스가 미니멀리즘 이론을 정립한다
상자글 모리스 메를로-퐁티-568
1966a 마르셀 뒤샹이 필라델피아 미술관에 「주어진」설치를 완성한다. 점점 커져 가던 젊은 예술가들에 
대한 그의 영향력은 사후에 공개된 이 새로운 작품과 더불어 절정에 이른다-572
1966b 《기이한 추상》전이 뉴욕에서 열린다. 여기서 루이즈 부르주아, 에바 헤세, 구사마 야요이 등의 
작품이 미니멀리즘 조각 언어에 대한 표현적인 대안을 제시한다-576
1967a 「뉴저지 퍼세이익 기념비로의 여행」을 발표한 로버트 스미스슨이 60년대 후반 미술 작업의 개념
으로서 '엔트로피'를 제시한다-581
1967b 이탈리아 비평가 제르마노 첼란트가 첫 번째 아르테 포베라 전시를 연다-585
1967c 프랑스 BMPT 그룹의 네 명의 미술가는 각자가 선택한 단순한 형태를 캔버스마다 정확하게 반복
해서 그림으로써 대중 앞에서 첫 번째 선언을 한다. 그들의 개념주의 회화 형식은 전후 프랑스의 '공식적
인' 추상미술에 가해진 잇따른 비판들 가운데 최후의 것이다-591
1968a 60년대 유럽과 미국의 선진 미술을 소개하는 데 주력했던 두 개의 미술관, 아인트호벤의 반 아베 
미술관과 묀헨글라드바흐의 압타이베르크 미술관에서 베른트 베셔와 힐라 베셔 부부의 전시가 열린다. 
여기서 그들은 개념주의 미술과 사진의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한다-597
1968b 개념미술이 솔 르윗, 댄 그레이엄, 로렌스 와이너에 의해 출판물의 형식으로 등장하고, 세스 시
겔롭이 첫 번째 개념미술 전시를 기획한다
상자글∙미술 저널
상자글∙탈숙련화-603
1969 베른과 런던에서 열린 《태도가 형식이 될 때》전이 포스트미니멀리즘의 발전 양상을 살펴본 반면, 
뉴욕에서 열린 《반(反)환영 : 절차/재료》전은 프로세스 아트에 초점을 맞춘다. 이 프로세스 아트의 세 
가지 주요한 양상이 리처드 세라, 로버트 모리스, 에바 헤세에 의해 정교하게 발전한다-610

1970-1979
1970 마이클 애셔가 「포모나 대학 프로젝트」를 설치한다. 장소 특정적 작업이 등장하면서 모더니즘 
조각과 개념미술이 논리적으로 연결된다-616
1971 뉴욕의 구겐하임 미술관이 한스 하케의 전시를 취소하고 제6회《구겐하임 국제전》에 출품된 다니
엘 뷔랭의 작품을 철거한다. 제도 비판 작업이 미니멀리즘 세대의 저항에 부딪힌다
상자글∙미셸 푸코-621
1972a 마르셀 브로타스가 「근대미술관, 독수리 부, 구상 분과」를 서독 뒤셀도르프에 설치한다-625
1972b 서독 카셀에서 열린 국제전《도큐멘타 5》를 통해서 유럽이 개념미술을 제도적으로 수용했음을 
알린다-630
1972c 『라스베이거스로부터 배우기』가 출간된다. 팝아트와 라스베이거스로부터 영감을 받아 건축가
로버트 벤투리와 데니즈스콧 브라운은 조각적 형태로서의 건물인 '오리' 대신, 팝 상징들이 전면에 등
장한 '장식된 가건물'을 택함으로써 포스트모던 디자인의 양식적 용법을 정립한다-636
1973 비디오·음악·무용을 위한 '키친 센터'가 뉴욕에 생긴다. 시각예술과 퍼포먼스 아트, 텔레비전과 
영화 사이에서 비디오 아트가 제도적인 지위를 주장한다-644
1974 크리스 버든이 폭스바겐 비틀에 자신을 못으로 고정시킨 「못 박힌」을 선보이면서 미국의 퍼포먼
스 아트가 신체적 현존의 극단에 도달한다. 이후 많은 추종자들은 행위 미술을 포기하거나 완화하거나 
변형한다-649
1975a 영화감독 로라 멀비가 「시각적 쾌락과 서사영화」를 발표하자, 주디 시카고와 메리 켈리 같은 페
미니즘 미술가들이 여성의 재현에 관해 다양한 입장을 전개한다
상자글·이론 저널-654
1975b 일리야 카바코프가 모스크바 개념주의의 기념비적 작업인 「열 개의 캐릭터」 앨범 연작을 완성
한다-660
1976 뉴욕에 P.S.1이 설립되고, 《투탕카멘의 보물》전이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서 열린다. 대안 공간의 
설립과 블록버스터 전시의 출현이라는 두 가지 사건은 미술계의 제도 구조에 중요한 변화가 일어났음을 
알린다-668
1977a 《그림들》전이 차용의 전략과 독창성 비판을 통해 미술에 '포스트모더니즘' 개념을 발전시킨 젊은
미술가들을 소개한다-672
1977b 하모니 해먼드가 《헤러시스》 창간호에서 페미니즘적 추상을 옹호한다-676

1980-1989
1980 메트로 픽처스가 뉴욕에 문을 연다. 일군의 새로운 갤러리들이 등장하여 사진 이미지와 그것이 뉴
스나 광고, 패션에서 사용되는 방식을 문제 삼는 젊은 미술가들의 작품을 전시한다
상자글·장 보드리야르-688
1984a 빅터 버긴이 「현전의 부재 : 개념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이란 제목의 강연을 한다. 이 강연 내용이 
책으로 출간되고, 또 앨런 세큘러와 마사 로즐러의 논문들이 발표되면서 영미에서 전개됐던 사진개념주의
와 사진의 역사, 사진 이론에 관한 새로운 글쓰기 방식이 등장한다-692
1984b 프레드릭 제임슨이 「포스트모더니즘 혹은 후기 자본주의의 문화 논리」를 발표한다. 이로써 포스트
모더니즘 논쟁은 미술과 건축을 넘어 문화정치학으로 확장되고, 두 개의 상반되는 입장으로 나뉘게 된다
상자글·문화 연구-698
1986 《마지막 한 판 : 최근 회화와 조각에 나타나는 지시와 허상》전이 보스턴에서 열린다. 몇몇 작가들은 
조각이 상품으로 전락하고 있는 상황을 다루는가 하면, 다른 작가들은 디자인과 디스플레이가 부상하고 있
음을 주목한다-702
1987 액트-업 그룹의 활동이 시작된다. 미술에서 공동 작업을 하는 단체가 등장하고 정치적 개입이 표면
화되면서 에이즈 위기에 자극받은 미술의 행동주의가 다시 불붙고 새로운 퀴어 미학이 전개된다
상자글·미국의 미술 전쟁-707
1988 게르하르트 리히터가 「1977년 10월 18일」을 그린다. 독일 미술가들이 역사화의 부활 가능성을 타진
한다
상자글·위르겐 하버마스-714
1989 전 세계의 미술을 한데 모아 놓은 《대지의 마술사들》전이 파리에서 열린다. 후기식민주의 담론과 
다문화주의 논쟁이 현대 미술의 전시뿐만 아니라 제작에도 영향을 미친다
상자글·애보리진 미술-719

1990-1999
1992 프레드 윌슨이 볼티모어에서 「박물관 채굴하기」를 선보인다. 제도 비판은 미술관 너머로 확장되고 
다양한 부류의 미술가들이 현지 조사에 근거한 프로젝트 미술이라는 인류학적 모델을 사용한다
상자글·상호학제성-726
1993a 근대 철학의 시각에 대한 폄하를 다룬 마틴 제이의 연구서『다운캐스트 아이즈』가 출간된다. 많은 
현대미술 작가들이 이 시각성에 대한 비판을 탐구한다-732
1993b 런던 동부 지역 연립주택을 콘크리트 주물로 뜬 레이첼 화이트리드의 「집」이 헐린다. 당시 일군의 
혁신적인 여성 미술가들이 영국 미술의 전면으로 부상한다-737
1993c 아프리카계 미국 미술가들이 정치화된 미술의 새로운 형식을 한창 선보이던 차에 뉴욕에서 열린 
휘트니 비엔날레가 정체성을 강조한 작업을 전면에 내세운다-741
1994a 중견 작가 마이크 켈리의 전시가 당시 널리 퍼져 있던 퇴행과 애브젝션에 대한 관심을 집중 조명
하고 로버트 고버와 키키 스미스를 비롯한 다른 미술가들이 조각난 신체의 형상들을 이용해 섹슈얼리티와 
필멸성의 문제를 제기한다-747
1994b 「망명중인 펠릭스」를 완성한 윌리엄 켄트리지는 레이몬드 페티본 등의 미술가들과 함께 드로잉의 
새로운 중요성을 다시 입증한다-752
1998 빌 비올라의 거대한 비디오 프로젝션 전시가 여러 미술관을 순회한다. 영사된 이미지가 현대미술의 
보급판이 된다
상자글·미술의 스펙터클화
상자글·맥루언, 키틀러, 뉴미디어-764

2000-2015
2001 뉴욕근대미술관에서 중견 작가 안드레아스 구르스키의 전시가 열린다. 디지털 기법을 이용하곤 하는
회화적 사진이 새로운 패권자로 등장한다-773
2003 베니스 비엔날레가 《유토피아정거장》과 《위기의 지대들》과 같은 전시를 통해 최근의 미술 작업과 
전시 기획에서 드러난 비형식적이며 담론적인 성격을 예시한다-778
2007a 파리 음악의 전당에서 열린 대규모 회고전을 통해 미국 미술가 크리스천 마클레이가 파리에서 아방
가르드 미술의 새로운 역사를 쓴다. 프랑스 외무부는 소피칼을 베네치아 비엔날레의 프랑스대표 작가로
선정함으로써 프랑스 아방가르드 미술의 미래에 대한 믿음을 드러낸다. 한편 부루클린 음악학교는 남아프
리카공화국의 윌리엄 켄트리지에게 「마술피리」공연을 위한 무대디자인을 맡긴다.
상자글·브라이언 오도허티와 '화이트 큐브'-784
2007b 〈기념비적이지 않은: 21세기의 오브제〉전이 뉴욕 뉴 뮤지엄에서 열린다. 이 전시는 젊은 세대 조각
가들이 아상블라주와 집적에 새롭게 주목하고 있음을 드러낸다-790
2007c 데미언 혀스트가 「신의 사랑을 위하여」라는 작품을 전시한다. 실제 사람의 두개골을 백금으로 주조
해 1400만 파운드어치 다이아몬드로 장식한 이 작품이 5000만 파운드에 팔리면서, 미디어의 주목과 시장
의 투자 가치를 노골적으로 내세운 미술이 등장한다-798
2009a 타니아 부르게라는 멀티미디어 컨퍼런스 〈우리들의 무미건조한 속도〉에서 「자본주의 일반」이라는
퍼포먼스를 선보인다. 이 퍼포먼스는 미술 관람자들 간의 공감대를 위반함으로써 역으로 이들 사이에 신
뢰와 동질감에 기초한 공감대와 네트워크가 전제돼있음을 보여 준다-804
2009b 뉴욕 리나 스폴링스 갤러리에서 열린 유타 쾨더의 전시 〈룩스 인테리어〉가 퍼포먼스와 설치를 회
화의 핵심 의미로 도입한다. 가장 전통적인 미학적 매체인 회화에까지 미친 네트워크의 영향력이 유럽과
미국 작가들에게 널리 퍼진다-810
2009c 하룬 파로키가 쾰른의 루트비히 미술관과 런던의 레이븐 로우 갤러리에서 전쟁과 시각을 주제로 
한 작품을 전시하여 비디오 게임 같은 뉴미디어 엔터테인먼트의 대중적 형식과 현대적 수행 사이의 관
계를 보여준다-818
2010a 아이웨이웨이의 대규모 설치 작업 「해바라기 씨」가 런던 테이트 모던의 터빈 홀에 전시된다. 중
국 미술가들은 중국의 풍부한 노동시장을 활용해 그 자체가 사회적 대중고용 프로젝트가 되는 작업들
을 선보임으로써 중국의 빠른 현대화와 경제 성장에 반응한다-824
2010b 프랑스 미술가 클레어 퐁텐이 노스마이애미 현대미술관에서 열린 대규모 회고전에서 미술의 경제
학을 극적으로 드러낸다. 그녀는 두 명의 조수들에 의해 '조종'되는데, 이 사실 자체가 분명한 노동분업
이다. 이 전시를 통해 아바타가 새로운 형태의 미술 주체로 떠오른다-830
2015 테이트 모던, 뉴욕현대미술관,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이 확장을 계획하고 휘트니 미술관이 새 건물을
개관하면서, 퍼포먼스와 무용을 포함한 근·현대미술을 위한 전시 공간이 국제적으로 급증하는 시대가 본
격화된다-836 

라운드 테이블 
오늘의 미술이 처한 곤경-842
용어 해설-857
참고 문헌-866
유용한 웹사이트-876
도판 출처-878
찾아보기-8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