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근대 프랑스의 공자 열광과 계몽철학 = The 'Confucius frenzy' and the enlightenment philosophy in modern France / 황태연 지음
근대 프랑스의 공자 열광과 계몽철학 = The 'Confucius frenzy' and the enlightenment philosophy in modern France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근대 프랑스의 공자 열광과 계몽철학 = The 'Confucius frenzy' and the enlightenment philosophy in modern France / 황태연 지음
  • ·발행사항 서울 : Nexen Media, 2020
  • ·형태사항 571 p. :삽화, 초상 ;23 cm
  • ·총서사항 (넥센미디어 황태연 학술총서 ;3)
  • ·주기사항 참고문헌과 색인 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90583039  93150: \60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166.4  듀이십진분류법-> 194  
  • ·주제명 프랑스 철학[--哲學]계몽 철학[啓蒙哲學]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황태연 지음 2020 SE0000548583 166.4-20-4 인문예술자료실(1층) 대출 가능 0 - 인쇄자료(책자형) 
황태연 지음 2020 SE0000572649 166.4-20-4=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황태연 지음 2020 SE0000572650 166.4-20-4=3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목차

▶머리말-6 
▶서론-16 

제1장 공자와 프랑스 계몽철학자들 

제1절 라 모트 르 베예와 ‘중국의 소크라테스’ 공자 
1.1. 기독교신앙 없이 구원받은 철인치자로서의 공자제자들-23 
■ 공자철학의 분석-25 
■ 중국과 일본의 문화적 대비와 비교종교학적 불교논의-29 
1.2. 라 모트 르 베예와 베르니에의 공자 추앙-31 
■ 라 모트 르 베예의 공자 추앙-31 
■ 프랑수아 베르니에의 공자 숭배-33 

제2절 피에르 벨의 무차별적 관용론과 무신론적 공자해석 
2.1. 무신론적 중국관과 무차별적 관용론-36 
■ 무신론자들의 ‘무제한적 관용과 덕성의 나라’ 중국-36 
■ 극동사회의 종교적 본질: 유신론과 무신론의 초월-39 
■ 공자의 무제한적 관용론-43 
■ 기독교적 불관용에 대한 벨의 비판과 무신론적 불교이해-46 
■ 데카르트주의자들의 공자 비판과 벨의 반격-54 
■ 벨의 무신론적 공자이해-57 
2.2. ‘종교적으로 미적지근한’ 유럽적 관용사회의 비전-64 
■ ‘종교적으로 미적지근한’ 무신론사회의 개념-64 
■ 무차별적 관용과 유럽의 세속적 근대사회 비전-68 
■ 벨의 마음속에 감춰진 무신론적 극동사회-77 
■ 강제개종 활동에 대한 반대-81 
■ 벨의 무차별적 관용론의 국제적 영향과 파장-86 
2.3. 벨의 중국 동경과 계몽군주론-89 
■ 보댕의 주권론에 대한 제한군주론적 해석과 호평-90 

제3절 유럽중심주의적 위정척사파의 저항 
3.1. 페넬롱의 헬레니즘적 반反공자주의-104 
■ 「공자와 소크라테스의 대화」-105 
■ 대화에 대한 분석-115 
■ 『텔레마크』와 페넬롱의 정치적 몰락-126 
3.2. 말브랑쉬의 신新교부철학적 중국성리학 비판-130 
■ 말브랑쉬의 배경과 그의 신학적 철학의 요지-130 
■ 『기독교철학자와 중국철학자의 대화』의 집필 배경-135 
■ 『대화』의 내용-144 
■ 리理와 기氣 개념의 재再정의를 통한 ‘신의 본성’의 정의-166 
■ ‘리理’를 신과 등치시키려는 말브랑쉬의 기도-169 
■ 『독자를 위한 조언』의 내용-171 
3.3. 몽테스키외의 유럽중심주의와 중국 비방-176 
■ 몽테스키외의 중국비방에 대한 그간의 학술적 평가-178 
■ 몽테스키외 정치철학의 복고반동성-191 
■ 몽테스키외의 자의적 전제정론과 자가당착적 중국전제정론-199 
■ 풍토결정론적 중국전제정론과 그 이론적 파탄-234 
■ 중국인 비방: “지구상에서 가장 사악한 국민”-243 
■ 자기부정-246 
■ 중국의 규범혼합론과 중국선교 불가론-251 

제4절 볼테르의 ‘중국이상국가론’과 혁명적 공자철학 
4.1. 중국의 경제·기술에 대한 볼테르의 정보 부족-260 
■ 중국 과학기술에 대한 볼테르의 무지-261 
■ 진실: 중국의 과학기술적 우위-264 
4.2. 볼테르의 중국 예찬과 몽테스키외 비판-272 
■ 볼테르의 수많은 공자 논의와 중국 논고들-272 
■ 볼테르의 몽테스키외 비판-274 
4.3. 볼테르의 근대기획: 유교적 인도주의와 관용 이념-282 
■ 볼테르의 지극한 공자 숭배-282 
■ 볼테르의 유교적 인도주의와 관용 이념-288 
■ 『예수회 회원들의 중국으로부터의 추방 이야기』의 분석-296 
4.4. 유교문명에 대한 볼테르의 찬양과 변호-303 
■ 볼테르의 유신론적 중국관-303 
■ 볼테르의 중국선교 폐지론과 유교적 유럽혁명의 이념-308 
■ 『중국의 고아』와 유교문명 예찬-313 

제5절 ‘유럽의 공자’ 케네와 근대경제학의 탄생 
5.1. 근대적 중농주의 자유경제론의 창시자 케네-319 
■ 케네의 중농주의 경제학과 마르크스의 평가-319 
■ 케네의 중농주의 자유경제론과 중국경제의 관계-321 
5.2. 케네의 중국모델과 중농주의적 자유경제론-323 
■ 케네의 경제연구와 중국문화와의 접촉-323 
■ 『경제표』의 모델로서의 중국경제-326 
■ 튀르고의 중국인들과 『부의 형성과 분배에 관한 성찰』-328 
■ 케네의 중농주의 모델은 중국이라는 것에 대한 정황증거-334 
■ ‘자연의 도’(무위이치)와 ‘레세페르’의 복잡한 관계-348 
■ 케네의 자유시장 개념에 영향을 미쳤을 여러 서적들-353 
5.3. 케네의 『경제표』와 그 분석-359 
■ ‘경제표’-360 
■ 자유시장을 통한 물가안정의 절대적 요청-366 
■ ‘경제표’의 경제정책의 중국적 유래-372 
5.4. 『중국의 계몽전제정』과 유럽 대개혁: 유럽제국의 중국화-375 
■ 케네가 『중국의 계몽전제정』에서 직접 인용하는 주요서적들-376 
■ 유럽 ‘계몽군주정’의 모델로서의 중국의 ‘법치적 전제정’-376 
■ 중국예찬-379 
■ 공자경전과 탈脫희랍적 중국화의 소망-385 
■ 중국의 자유상공업에 대한 예찬-390 
■ 중국인들의 ‘사기성’ 악명에 대한 변호-392 
■ 황제의 권력에 대한 중국헌법의 견제장치들-393 
■ 중국의 과잉인구에 대한 케네의 오판과 그릇된 방책 제시-399 
■ 프랑스의 중국화로서의 프랑스 대개혁론-405 
■ 중국은 유럽의 계몽주의적 모델이자 케네의 모델-409 

제6절 루소의 중국 칭송과 비방의 자기분열 
6.1. 루소의 중국 비방과 자기분열증-414 
■ 중국의 평화주의와 군사적 허약성에 대한 루소의 비난-414 
■ 전쟁기술과 무용의 고양은 문명이 아니라 전쟁의 산물-416 
■ 중국의 평화주의-418 
■ 루소의 ‘복고적 군국주의’와 중국 평화주의에 대한 비방-423 
6.2. 루소의 중국 찬양-428 
■ 『정치경제론』과 『에밀』에서의 중국찬양-428 
■ 루소를 단순한 중국비방자나 중국모방자로 보는 오류-430 
6.3. 루소의 정치경제론과 중국의 영향-431 
■ 가정과 국가의 구분론-431 
■ 루소의 자기모순: 가정비유적 국가론-433 
■ 루소의 ‘중국 표절’-435 

제2장 ‘필로소프들’의 공자숭배와 중국열광 

 제1절 중농주의자들과 기타 중국예찬자들 
1.1. 르 마키 다르장송의 『중국인 편지』-441 
■ 굴절과 갑론을박-441 
■ 다르장송의 『중국인 편지』-442 
1.2. 뒤부르의 『유럽의 중국 스파이』와 구다르의 『중국 스파이』-446 
■ 뒤부르의 『유럽의 중국 스파이』-446 
■ 구다르의 『중국 스파이』와 프랑스대혁명의 예감-448 
1.3. 니콜라 보도의 『경제철학의 초보입문』-452 
1.4. 니콜라-가브리엘 르클레르크의 『대우大禹와 공자』-457 
■ 중농주의자 르클레르크의 『대우大禹와 공자』-457 
1.5. 에티엔느 드 실루에트의 『중국의 저울』-460 
■ 실루에트의 『중국인의 통치와 도덕의 일반이념』-460 
■ 『중국의 저울, 또는 한 중국인의 교육에 관한 편지』-465 
1.6. 멜롱의 『상업평론』과 푸아브르의 『어느 철학자의 여행』-466 
■ 프랑수아 멜롱의 『상업에 관한 정치평론』-466 
■ 피에르 푸아브르의 『어느 철학자의 여행』-467 

제2절 디드로와 엘베시우스 
2.1. 드니 디드로의 공자 찬양-470 
2.2. 클로드 엘베시우스의 중국정치 찬미-471 
■ 『정신론』과 중국 찬양-472 
■ 입장 변화-478 

▶맺음말-481 
▶참고문헌-485 
▶찾아보기-5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