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한국 지역사회와 기독교 / 엮은이 : 서울신학대학교 현대기독교역사연구소 ;저자 : 박명수,장금현,이은선,윤은순,박창훈,이영식,윤은석,최현종
한국 지역사회와 기독교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한국 지역사회와 기독교 / 엮은이 : 서울신학대학교 현대기독교역사연구소 ;저자 : 박명수,장금현,이은선,윤은순,박창훈,이영식,윤은석,최현종
  • ·발행사항 서울 : 선인, 2020
  • ·형태사항 388 p. ;23 cm
  • ·총서사항 (현대 한국사회와 기독교 연구총서 ;8)
  • ·주기사항 참고문헌 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60683028  94900: \35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235.82  듀이십진분류법-> 261.8  
  • ·주제명 기독교[基督敎]한국 사회[韓國社會]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엮은이: 서울신학대학교 현대기독교역사연구소 ;저자: 박명수,장금현,이은선,윤은순,박창훈,이영식,윤은석,최현종 2020 SE0000545768 235.82-20-5 인문예술자료실(1층) 대출 가능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목차

『한국 지역사회와 기독교』를 펴내며-5
『한국 지역사회와 기독교』에 관하여-8
해방 직후 신의주 기독교민족주의자들의 국가건설운동 박명수
  1. 시작하는 말-19
  2. 신의주 지역의 특성과 기독교 시민 계층의 등장-25
  3. 이유필, 윤하영, 한경직의 해방 전 경험과 신의주 사회-33
  4. 해방과 신의주 자치위원회의 조직-40
  5. 소련군의 등장, 평북자치위원회 구성, 그리고 신의주공산당의 조직-46
  6. 평북 인민정치위원회의 조직과 기독교민족주의 세력의 약화-50
  7. 사회민주당의 창립과 한경직ㆍ윤하영의 월남-62
  8. 결론 및 과제-70
해방 후 월남기독교인들의 국가건설운동과 영락교회 청년회의 탄생 박명수
  1. 시작하는 말-77
  2. 해방 후 신의주의 우익 청년ㆍ학생들의 성격과 공산주의 혁명-79
  3. 영락교회의 창립과 베다니 청년회ㆍ대학생회의 초기 모습-83
  4. 좌익의 폭력과 서북청년단의 형성-93
  5. 김창준, 기독교민주동맹, 그리고 영락교회-99
  6. 기독교인은 어떤 나라를 세워야 하는가?-113
  7. 맺는 말-117
해방 후 서울지역 교회 공간 활용 
: 정동제일교회를 중심으로 장금현
  1. 시작하는 말-121
  2. 해방 후 정동제일교회와 김인영 목사-124
  3. 정동제일교회 공간 활용-133
  4. 맺는 말-147
해방 후 인천 내리교회의 우익과 좌익의 국가 수립 활동 이은선
  1. 시작하는 말-153
  2. 해방 이전 내리교회의 좌우 세력의 형성 과정-156
  3. 해방공간에서 조직된 정치단체들에 내리교인들의 참여와 활동-163
  4. 조봉암의 전향과 우파 청년조직의 재편-177
  5. 1946년 8ㆍ15 행사와 1947년 3ㆍ1절 행사와 좌익의 파업-181
  6. 1948년 5월 10일 총선거 실시와 우익세력의 참가-186
  7. 맺는 말-188
근현대 안동지역 기독교의 정착과 지역사회에서의 역할 윤은순
  1. 시작하는 말-193
  2. 안동지역 기독교의 수용과 정착-195
  3. 일제시기 민족ㆍ사회운동을 통한 영향력 확대-204
  4. 해방 후 안동의 정세와 기독교의 활동-215
  5. 맺는 말-227
광주의 현대화와 기독교 
: 소심당(素心堂) 조아라(曺亞羅)를 중심으로 박창훈
  1. 시작하는 말-231
  2. 광주와 미션 스테이션-234
  3. 일제 강점기 광주 기독교인의 활동-239
  4. 소심당 조아라(1912-2003)-246
  5. 맺는 말-259
광복 이후 광주 선교스테이션의 의료활동과 대 사회적 역할 이영식
  1. 시작하는 말-265
  2. 광주 선교스테이션 설립과 초기 의료 활동 개관-268
  3. 광복 후 광주제중원 의료활동과 폐결핵 퇴치 운동(1945년-1970년대)-275
  4. 지역공간을 넘어 의료활동의 확대 : 한센병 사역-289
  5. 맺는 말-294
해방 후 전주 스테이션과 장로교회들이 전주 발전에 미친 영향 이은선
  1. 시작하는 말-301
  2. 전주 스테이션의 복구-304
  3. 전주지역 장로교회들의 성장과 분열-306
  4. 전주 미션 스테이션의 중등교육기관과 고등교육기관의 설립-312
  5. 전주 예수병원의 복구와 의료 활동-321
  6. 맺는 말-330
양화석 목사와 대전에서의 20년 
: 장로교 총회, 대전 개신교계, 대전중앙교회 윤은석
  1. 시작하는 말-335
  2. 양화석 목사와 장로교 총회-339
  3. 양화석 목사와 대전 개신교-346
  4. 양화석 목사의 대전중앙교회와 지역사회-351
  5. 맺는 말-356
기독교와 지역사회 
: 임실과 염리동 사례를 통해 본 교회의 지역사회 기여 모델 최현종
  1. 시작하는 말-363
  2. 임실 : 협동조합과 커뮤니티 비즈니스를 통한 지역사회 발전 모델-364
  3. 염리동 : 마을만들기 참여를 통한 지역사회 발전 모델-376
  4. 맺는 말-3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