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비장애 형제로 살아가는) 나는 여전히, 오늘도 괜찮지 않습니다 / 케이트 스트롬 지음 ;전혜인,정평강 옮김
(비장애 형제로 살아가는) 나는 여전히, 오늘도 괜찮지 않습니다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비장애 형제로 살아가는) 나는 여전히, 오늘도 괜찮지 않습니다 / 케이트 스트롬 지음 ;전혜인,정평강 옮김
  • ·판사항 개정판
  • ·발행사항 서울 : 한울림스페셜 :한울림, 2020
  • ·형태사항 263 p. ;22 cm
  • ·주기사항 원표제:Siblings :brothers and sisters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원저자명: Kate Strohm
    한울림스페셜은 한울림의 장애 관련 도서 브랜드임
    영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장애아의 형제자매"(2009)의 개정판임
    대체선행자료: 장애아의 형제자매 : 내 안의 감정을 인정하고 스스로 자유로워지는 심리치유에세이ISBN 9788993143188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93143881  03330: \16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38.3  듀이십진분류법-> 362.4043  
  • ·주제명 장애인 복지[障碍人福祉]장애인 가족[障碍人家族]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케이트 스트롬 지음 ;전혜인,정평강 옮김 2020 SE0000544650 338.3-20-23 일반자료실(2층) 대출 가능 0 - 인쇄자료(책자형) 
케이트 스트롬 지음 ;전혜인,정평강 옮김 2020 SE0000544651 338.3-20-23=2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추천의 글
비장애 형제들을 주목합니다 / ‘나는’ 비장애 형제입니다

프롤로그 | 진정한 나를 찾아가는 길

1장 비장애 형제들의 이야기

1 외로운 여정 -26
비장애 형제가 느끼는 혼란과 고립 | 두려움과 불안 | 또래들과 다른 삶 | 모진 말과 불편한 시선

2 가족 안에서 느끼는 소외감 -39
특별한 존재가 되고 싶은 마음 | 이건 공평하지 않아!

3 말하지 못하는 감정들 -52
분노 | 우울 | 당혹감 | 두려움 | 죄책감

4 슬픔, 하나의 과정 -74
부모의 상실감 | 형제가 안고 가는 슬픔

5 책임과 보살핌 -88
일찍 어른이 되는 아이 | 긍정적인 영향력

6 자유로운 미래에 대한 고민 -99
삶의 선택이 어려운 순간 | 장애 형제의 보호자가 된다는 것


2장 장애 가족을 위한 공감과 지원

1 내 안의 감정을 표현하고 자유로워지기 -112
어린 시절의 감정 이해하기 | 현재의 욕구 파악하기 |
감춰온 자기감정 표현하기 | 공감대를 형성하고 도움을 주고받기

2 건강한 가족으로 살아가기 -142
장애가 가족에게 미치는 영향 | 가족의 욕구 파악하기 | 건강한 부모 되기 |
외부의 지원 체계 마련하기 | 미래를 위한 체계적인 계획 세우기

3 아이들이 정서적으로 건강한 어른이 되려면 -179
비장애 형제의 욕구 파악하기 | 비장애 형제를 위한 부모의 지원 |
가족 외부의 다양한 지원 | 적응에 영향을 주는 다른 요인들 | 장애 형제가 죽었을 때

4 장애 지원 전문가의 역할과 도움 -235
지원 기관의 역할 | 부모에 대한 지원 | 비장애 형제에 대한 지원 | 학교의 역할

에필로그 | 장애 가족의 소외되지 않는 삶을 위하여

역자의 글 장애 가족과 비장애 형제들을 응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