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의학의 철학 = Philosophy of medicine : 질병의 과학과 인문학 / 최종덕 지음
의학의 철학 = Philosophy of medicine : 질병의 과학과 인문학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의학의 철학 = Philosophy of medicine : 질병의 과학과 인문학 / 최종덕 지음
  • ·발행사항 서울 : 씨아이알, 2020
  • ·형태사항 611 p. ;23 cm
  • ·주기사항 참고문헌과 색인 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56108603  93100: \26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510.1  듀이십진분류법-> 610.1  
  • ·주제명 의학[醫學]철학(사상)[哲學]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최종덕 지음 2020 SE0000543246 510.1-20-1 일반자료실(2층) 대출 가능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추천 서문1 제임스 마컴 -5
추천 서문2 강신익 -7
서문 -12
의철학이란 무엇인가 -12
의철학의 시선과 의학 플랫폼 -13
『의학의 철학』의 인식론적 지도 -14
『의학의 철학』이 던지는 질문들 -15
감사의 글 -18
일러두기 -33

01 의철학 논쟁과 인문의학의 과제
의철학의 학문 고유성 논쟁 -4
의철학의 고유한 영역은 없었지만 앞으로는 가능하다는 입장 -5
의철학의 고유 영역이 존재한다는 입장 -8
펠리그리노 의철학의 인식론적 범주 -11
의학의 철학, 의학과 철학, 의학에서 철학-12
의철학의 정의: 부분의 합은 전체보다 크다 -14
의과학과 생의학 모델 -17
생의학 모델이 형성된 역사 -17
의과학에 기초한 생의학 모델 -20
고로비츠와 맥킨타이어의 겸손한 의과학 -22
인본의학 모델 -26
의학에서 인본주의(휴머니즘) -27
샤론의 서사 의학 -31
마컴의 통합지향 인본의학 -34
통합 모델 -36
커닝엄의 통합 모델 -36
느낌과 측정 : 캐셀의 통합 -38
의학은 가치중립적일 수 없다는 논점 -43
의학의 사회경제적 관점 : 포어스트로우엄의 입장 -43
환자는 분석적 객체가 아니라는 관점 : 먼슨의 입장 -44
해석적 실천행위로서의 의학 : 몽고메리의 인간의학 -46
인문의학의 방향과 과제 -48
인문의학의 범주와 정의 -48
인문의학에 대한 오해 -49
인문의학의 지향 -52
의철학이란 무엇인가 -55

02 의학적 추론, 인과론, 의료인공지능
의학적 추론 -62
방법론으로 본 추론 유형 : 가설연역추론과 귀납추론 -62
인식론으로 본 추론 유형 : 논리추론과 상황추론 -63
존재론으로 본 추론 유형 : 근연 인과추론과 다중 인과추론 -65
우회적 인과추론과 직접적 인과추론 -68
임상추론 -69
인과성, 연관성과 상관성 -69
힐의 인과성 조건 -72
진화적 인과 -75
진단추론과 판단, 의사결정 -78
진단의 의미 -78
진단추론 -80
병태생리학적 진단추론 -81
근거기반 의학 -83
진단절차와 진단오류 -85
오류추론 피하기 -87
역학조사 추론 유형 -89
대조군조사 추론과 코호트조사 추론 -89
리스크 요인의 인식론적 측면 -93
흡연과 폐암 -93
콜레스테롤과 심혈관질환 : 지질 가설과 콜레스테롤 논쟁 -94
리스크 요소들을 활용하는 몇몇 추론 -99
발견술의 추론 -101
의료인공지능: 의학적 지식공학 -107
의료지식공학의 확장 -108
인공지능 추론의 유형 -109
의료 알고리즘의 논리적 기초 -113
신경망 알고리즘의 탄생 -113
심층신경망 구조 -116
심층논리 :반복, 가중, 겹-계산 -119
인공지능의 의학적 적용 -124
심층지능과 영상의학 -124
인공지능의 일반 적용 -128
의료인공지능에 대한 철학적 성찰 -130


03 분류 의학과 의학 실재론 논쟁
분류 의학의 존재론적 기초 -138
분류와 논리 -138
분류의 존재론 혹은 형이상학 -140
플라톤의 실재와 아리스토텔레스의 본질 그리고 실체 -141
실재 reality -141
본질 essence -142
실체 substance -143
종 분류와 질병분류에서 본질주의 -144
본질주의를 탈피하려 한 뷔퐁의 유명론 -146
현대 의학 실재론과 반실재론 논쟁 -150
과학적 실재론과 의학 실재론 -140
반실재론 -154
슈템시의 가치의존적 실재론 -156
19세기 과학 인식론과 근대의학으로 가는 이행기 -157
다윈주의 사회로 가는 이행기 -157
19세기 과학의 양면성 -159
19세기 의학의 양면성 -160
의학적 인식론에서 분류 의학으로 163
현대 분류 의학 -165
질병분류 -165
분류 개념의 논리 추론 -167
정신질환의 사례 -169


04 질병관의 역사와 질병 모델
질병 개념의 이해 -176
질병의 블랙박스 -176
질병과 건강의 관계 -177
질병 개념의 역사 -179
하네만 의학의 양면성과 질병의 존재론 -179
베르나르의 결정론적 질병관과 기초생기학 -182
깡귀엠의 질병관 -189
질병을 이해하는 다양한 모델 -192
과학주의 생의학 모델 -194
생의학적 질병관 일반 -194
보어스의 생물통계 모델, BST -195
보어스의 생물통계이론을 비판하는 반대 의견 -198
문화주의 모델 -201
문화주의 질병관 -201
보이드롸 보르크의 문화사회적 질병관 -204
인본주의와 문화주의 입장에서 본 질병과 질환 개념의 차이 -206
통합주의 모델: 문화주의와 과학주의의 결합 -209

05 의료인류학과 건강생성 모델
의료인류학 -216
의료인류학의 정의와 범주 -217
윙클맨의 질병관리 문화 모델 -219
의료인류학 연구의 확장 사례 -223
의료생태주의 -225
의료인류학적 플라시보 연구  -226
의료인류학과 역학이 만나는 질병분류 -229
민족의학의 질병관 -232
퀸란의 질병관 해석 -232
민족의학의 보편적 이해 -235
소통과 번역의 사례 : 문화의존 증후군 -236
건강생성 모델 -238
안토노프스키의 건강생성 패러다임 -238
건강과 질병의 발달기원 가설(DoHAD) -240
생애건강발달 모델(LCHD) -242
공중보건 모델 -245

06 진화론과 의학의 관계사: 현대 진화의학 이전까지
진화론과 유사진화론 -252
찰스 다윈 이전 라마르크의 진화사상 -254
찰스 다윈의 진화론 -255
다윈 시대 의과대학의 진화론 교육 -259
스펜서의 진화론 -260
우생학으로 왜곡된 사회진화론 -265
사회진화론 의학: 1880-1940년대 -266
사회진화론 의학의 존재론과 인식론 -267
사회진화론 의학의 질병관 -269
사회진화론 의학의 사회적 오류 -271
사회진화론 의학의 소멸 -273
20세기 초 진화론 -276
의과대학에서 밀려난 진화론 -276

07 진화의학 I: 질병취약성과 불일치 모델
진화의학의 배경
진화의학 기초론
질병의 진화론적 원인
진화의학의 다양한 해석들
구석기인의 건강 상징
몸의 진화와 문화변동
진화의학의 스펙트럼

08 진화의학 II: 진화역학과 감염성 질병, 의학교육
바커의 절약표현형 가설
감염성 질병에 대한 진화의학과 역학
진화의학의 비판적 확장
진화의학이 임상의학에 진입하지 못하는 이유들
진화의학과 임상의학 사이의 충돌과 접점 -386
진화의학이 의학교육에 도입되어야 하는 이유 -388

09 면역의학의 철학
면역학적 사유체계의 철학적 의미 -397
면역학의 존재론 -397
면역학의 인식론 -399
면역학자 버넷의 자기와 비자기 공생 -402
면역의 특성과 주요 개념 -405
면역의학의 사례와 진화의학의 연관성 -409
사례1 : 자가면역질환 -409
사례2 : 항생제 내성 -412
면역의학의 진화론적 배경 -413
위생가설 기반 면역의학 -415
박멸 혹은 공존 -415
공진화와 공생의 차이, 그 철학적 의미 -417
위생가설과 숙주 - 기생체 관계 -420
자기방어의 철학 -424
면역논리의 대항관계 그리고 돌연변이 -426
돌연변이 -426
돌연변이율 -428
확률게임 -431
기생체 생존전략 해석 -433
병원체와 항생제의 충돌 -433
숙주에 대항하는 방법 -436
기생체의 생존전략: 제압, 회피, 중화 전략 -437
회피 전략 -439
제압 전략 -440
중화 전략과 숙주 관용 -441
HIV 사례연구 -443
HIV군의 공격전략과 치료의 방어원리 -443
바이러스를 속이는 약제 AZT의 기만 전략 -445
약제의 기만 전략에 역대응하는 바이러스의 돌연변이 -447
다중내성에 대한 면역학적 사유의 관점 -449
공존의 존재론 -452
변화의 철학, 면역학적 사유 -452
면역학적 생태주의와 공존성 -453

10 노화방지의학에서 노화의학으로
욕망과 소외 -460
과학-실존-사회의 삼각대 -460
삶의 욕망과 죽음의 현존 -463
야생종이고 싶지 않은 문화종의 욕망 -466
노화, 유전과 환경의 복합적 요인 -469
텔로미어 이론 -472
텔로미어 이전의 헤이플릭 한계 이론 -472
현대 텔로미어 이론 -475
칼로리 제한이론과 세스트린 단백질, 활성산소 이론 -484
세포사멸로서 노화 -487
세포사멸의 메커니즘 -487
암의 사례로 본 세포사멸 -494
노화의 진화론적 해석 -496
트레이스오프로서 노화 -496
암에 대한 진화생태학적 해석과 반론 -498
노화이론 세 가지: 해밀턴, 윌리엄즈, 스턴즈 -502
발생학적 경로와 후성유전학으로 본 노화 -504
노화의학의 특징들 -508
노화의학의 중층성 : 연쇄관계와 상반관계 -508
몸의 개방성 -510
노화방지의학에서 노화의학으로 -513
노화의학의 철학 -516

11 분석과 해석: 의과학과 의철학의 접점
분석과학의 의과학과 해석학적 의철학 -525
설명 장르와 이해 장르 -529
이해의 철학-해석학적 의학 -533
의료현상학: 노에마와 에포케 -536
노에마와 에포케 -536
"87세, 내 나이가 어때서" -540
몸에 대한 이해와 해석: 마컴의 현상학 모델 -544
의학을 접근하는 플랫폼으로서 의철학 -546

참고문헌 -551
색인 -587
영문 차례 -600
추천 서문 원문-609
저자 소개 -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