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중국공산당 개혁개방기의 리더십 혁신과 북한, 1978-2018 / 지은이 : 서지
중국공산당 개혁개방기의 리더십 혁신과 북한, 1978-2018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중국공산당 개혁개방기의 리더십 혁신과 북한, 1978-2018 / 지은이 : 서지
  • ·발행사항 서울 : 역락, 2020
  • ·형태사항 464 p. :도표 ;23 cm
  • ·주기사항 참고문헌 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62445365  93300: \37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40.912  듀이십진분류법-> 320.951  
  • ·주제명 중국공산당중국 정치[中國政治]리더십[leadership]중국(국명)[中國]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지은이: 서지 2020 SE0000542751 340.912-20-2 일반자료실(2층) 대출 가능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들어가며 : 중국 개혁개방기와 정치 발전, 어떻게 볼 것인가? -5


제1부 리더십 혁신과 자아진화(自我進化) -19
제1장 정치 발전과 리더십 혁신 -21
제2장 중국의 ‘제2차 혁명’과 ‘자아진화’ -27

제2부 중국공산당 현대 정치의 사상적 배경 -37
제1장 ‘신해혁명’과 손문의 ‘삼민주의’ -41
1. 구(舊)민족주의에서 신(新)민족주의까지 -43
2. 구(舊)민권주의에서 신(新)민권주의까지 -48
3. 구(舊)민생주의에서 신(新)민생주의까지 -58

제2장 ‘제1차 혁명’과 ‘마오쩌둥 사상’ -65
1. '실천론'과 '모순론' -66
2. '실사구시(實事求是)' 사상 -72
3. '군중노선(群衆路線)' 사상 -79

제3장 ‘제2차 혁명’과 ‘사자능력(四自能力)’ 이론 -89
1. '사지능력' 이론의 사상적 배경 및 그 진화과정 -90
2. '사지능력' 이론의 주요내용 -98
3. '사지능력' 이론의 리더십 성격 및 현실적 함의 -100

제3부 덩샤오핑의 리더십 혁신: ‘개혁개방’의 시작 -105
제1장 덩샤오핑 정치리더십의 형성 -107
1. 덩샤오핑 소년 및 유학 시절 -107
2. 항일전쟁 및 해방전쟁 시기 덩샤오핑의 군사적 재능 -111
3. 덩샤오핑의 '삼락삼기(三落三起)' -116

제2장 덩샤오핑의 비전: ‘사회주의란 무엇이며 어떻게 사회주의를 건설할 것인가’ -125
1. 덩샤오핑 비전의 형성 배경 및 형성 과정 -125
2. '사회주의 본질론'과 '사회주의 초급단계론' -131
3. '삼보주(三步走)' 전략 -139

제3장 ‘개혁개방’과 ‘중국특색 사회주의’의 시작 -147
1. '남순강화(南巡講話)'와 '사회주의 시장 경제 체제'의 탄생 -147
2. '양수조, 양수도요경(兩手抓, 兩手都要硬)' 제기와 심화 -152
3. '일국양제(一國兩制)' 구상과 '조국 통일' 염원 -156


제4부 장쩌민의 리더십 혁신: ‘3개 대표론’의 도입 -165
제1장 장쩌민 정치리더십의 형성 -167
1. 성장 배경 및 학생 시기 -167
2. 테크노크라트(technocrat)에서 엘리트 계층(meritocrat)으로 -170
3. 장쩌민과 상하이 -175

제2장 장쩌민의 비전: ‘어떠한 당을 건설하고 어떻게 건설할 것인가’ -181
1. 장쩌민 비전의 형성 배경 및 형성 과정 -181
2. '3개 대표론'의 도입과 '당 건설 공정(黨建工程)'의 구상 -188
3. 신(新) 삼보주 목표 -191

제3장 ‘3개 대표론’과 ‘중국특색 사회주의’의 보완 -195
1. 거버넌스 이념의 혁신 -195
2. '3개 문명'의 조화로운 발전 노선의 실시 -203
3. '서부 대개발(西部大開發)' 및 '해외 진출(走出去)' 전략의 실시 -209


제5부 후진타오의 리더십 혁신: ‘과학발전관(科學發展觀)’의 제시 -223
제1장 후진타오 정치리더십의 형성 -225
1. 성장 배경 -225
2. 칭화(淸華)의 학생에서 정계의 기린아로 성장 -227
3. 공청단(共靑團)에서 중앙 무대로의 진출 -229

제2장 후진타오의 비전: ‘어떠한 발전을 실현하며 어떻게 발전할 것인가’ -233
1. 후진타오 비전의 형성 배경 및 형성 과정 -233
2. '과학발전관'의 제시와 의미 -239
3. '사회주의 조화로운 사회'구상 -243

제3장 ‘과학발전관’과 ‘중국특색 사회주의’의 개혁 -249
1. 지속 가능한 경제 발전의 노력 -251
2. 민주 정치 개혁의 시도 -258
3. '국가 문화 소프트파워'의 제고 -265

제6부 시진핑의 리더십 혁신: ‘신시대 중국특색 사회주의’의 수립 -273
제1장 시진핑 정치리더십의 형성 -275
1. '붉은 핏줄'의 가족 성장 배경 -275
2. 고난의 지청(知靑) 시련 -276
3. 풍부한 지방 정치 경력 -279

제2장 시진핑의 비전: ‘신시대에 어떠한 중국특색 사회주의를견지할 것이며, 어떻게 견지할 것인가’ -285
1. 시진핑 비전의 형성 배경 및 형성 과정 -285
2. '신시대 중국특색 사회주의'의 함의와 전략 -292
3. '중국의 꿈'의 제기, 포석, 전략, 장애 -296

제3장 ‘신시대 중국특색 사회주의’와 ‘중국특색 사회주의’의 견지 -307
1. 건전한 정치 및 경제 발전을 위한 개혁 -308
2. 맞춤형 빈곤 퇴치(棈準扶貧) -317
3. '인류 운명 공동체'의 추진 -323

제7부 중국공산당의 리더십 혁신이 북한에 주는 시사점 -335
제1장 북한 경제 발전에 주는 시사점 -339
1. '민부(民富)'의 창출과 국가의 역할 -341
2. 민생 문제 및 중앙 · 지방의 관계 -356

제2장 북한 정치 발전에 주는 시사점 -369
1. 국가 능력과 정부 이미지 -370
2. 책임제 권위 체제와 거버넌스 혁신 -380
3. '일국양제'와 한반도의 통일 전략-400

제3장 북한 리더십 혁신에 주는 시사점 -416
1. '결합'의 자아 발전 방식 -413
2. 실무 지향, 실사구시의 집정 이념 -419
3. 균형, 혁신, 자아 수정의 진화 의식 -425


제8부 맺는말: 중국 ‘자아진화’의 길과 개발도상국 -431

참고문헌 -4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