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고전문학과 여성 / 지은이 : 이월영
고전문학과 여성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고전문학과 여성 / 지은이 : 이월영
  • ·발행사항 전주 : 전북대학교출판문화원, 2020
  • ·형태사항 308 p. ;23 cm
  • ·주기사항 참고문헌 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63720942  93810: \17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810.9  듀이십진분류법-> 895.709  
  • ·주제명 한국 고전 문학[韓國古典文學]문학 평론[文學評論]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지은이: 이월영 2020 SE0000541719 810.9-20-18 인문예술자료실(1층) 대출 가능 0 - 인쇄자료(책자형) 
지은이: 이월영 2020 SE0000541720 810.9-20-18=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저자의 말 5
1장. 머리말 11
 1. 고전문학과 여성, 무엇이 문제인가 13
 2. 고전문학과 여성,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 29

2장. 묵종의 삶을 규정당한 여성 37
 1. 가부장제의 여성 명명命名 42
  1) 본문 및 관계 명명 43
  2) 성적性的대상으로서의 명명 47
 2. 묵종 강요의 여성사 54
  1) 하늘에서 내려온 환웅, 곰에서 여성으로 변신한 웅녀 55
  2) 여화로 매도된 신라의 여왕 통치 59
  3) 정조 이념의 세뇌와 문필 생활의 금기 64
   (1) 정조 이념과 열녀 풍조 64
   (2) 여성 문필 금기의 실상 67

3장. 탈이념적인 여성담들의 실상 81
 1. 재가담 유형과 그 의미 85
  1) 재가 금지의 모순을 투영한 열녀담과 재가담 85
  2) 초점 인물 유형과 재가담의 의미 92
   (1) 여성 존재에 대한 인본적 고민 94
   (2) 소유 남성의 관용과 여성의 수혜 101
   (3) 성적으로 시혜한 남성의 횡재 106
 2. 여성 신분 상승담의 남녀 관계 유형과 의미 115
  1) 헌신과 사랑을 통한 신분 상승의 완결 118
  2) 여성과 남성의 공조와 성취의 공유 125
  3) 남성을 조종해 이룬 여성의 독자적 성취 134
  4) 굴절된 현상들의 함의 141

4장. 소품문 작가 박지원과 이옥의 여성관 147
 1. <열녀함양박씨전>을 통해 본 박지원의 열녀 인식 152
  1) 문제제기 152
  2) <열녀함양박씨전>의 문학적 전략 155
   (1) 총서: '열녀' 변천의 기술과 서술자 태도의 반전 156
   (2) 수절 과부담: 열녀 실상과 열녀 규정의 교직 161
   (3) 순절 열녀담: 전문과 평어의 교직 166
  3) <열녀함양박씨전>에서 보인 문제 인식의 근거 171
 2. 이옥 '남녀지정' 문학의 여성관 182
  1) 문제 제기: 이옥 문학의 이율배반성 182
  2) 이옥 정 문학론의 실체 185
  3) 서사와 후평의 양립과 그 의미 192
  (1) 늙은 여성의 몸을 조롱한 <마상란전보유> 194
  (2) 여성의 희생적 정사를 협으로 찬양한 <협창기문> 198
  (3) 여성 탄원을 성적으로 농락한 <애금공장> 201

5장. 김상의당 시문의 양면성과 실록성 213
 1. 문제 제기 215
 2. 삼의당 삶의 변화와 그 의미 219
  1) 마흔 시절의 시관 정립 220
  2) 남편의 과시 합격을 위한 매진과 좌절 225
  3) 새로운 삶의 모색과 절필 234
 3. 시문의 양면성과 그 의미 244
  1) 내면적 정서 시와 공식적 시문의 대비 244
  2) 한정을 읊은 즉사시로의 변화와 그 의미 259
 4. 삼의당 유고의 여성 문학적 의미 269

6장. 〈포의교집〉여성인물 초옥의 정체 273
 1. 문제 제기 275
 2. 초옥과 이생 관계의 실상 278
  1) 이생의 초옥 인식 279
  2) 초옥의 이생 인식 285
 3. '정행' 명분의 실제와 그 양면성 294

참고문헌 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