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유튜브는 책을 집어삼킬 것인가 : 삶을 위한 말귀, 문해력, 리터러시 / 지은이 : 김성우,엄기호
유튜브는 책을 집어삼킬 것인가 : 삶을 위한 말귀, 문해력, 리터러시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유튜브는 책을 집어삼킬 것인가 : 삶을 위한 말귀, 문해력, 리터러시 / 지은이 : 김성우,엄기호
  • ·발행사항 서울 : 따비, 2020
  • ·형태사항 295 p. ;22 cm
  • ·주기사항 참고문헌: p. 294-295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98439798  03370: \16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73.33  듀이십진분류법-> 371.334  
  • ·주제명 유튜브[YouTube]문해 교육[文解敎育]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지은이: 김성우,엄기호 2020 SE0000537484 373.33-20-6=2 일반자료실(서고) 대출중 0 2024-06-11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목차

시작하며 
지금 여기에서 ‘삶을 위한 리터러시’를 이야기해야 하는 이유-8
/ 김성우 

Literacy 1 
리터러시, 위기인가 변동인가-14 
문해력? 리터러시? / 위기인가, 변동인가 / 문자로는 시험공부, 세상 보기는 영상으로
리터러시를 정의하는 권력 / 이모티콘과 느낌표가 내용보다 중요하다 
리터러시를 보는 또 다른 렌즈 / 다른 사람의 난독증을 문제 삼는 것 
리터러시는 스펙트럼이다 / 리터러시가 바벨탑이 아니라 다리가 되려면 

Literacy 2 
읽기는 여전히 유효한가-74 
읽기는 혁명이었다 / 문자는 역사를 어떻게 바꾸었나 / 개인의 탄생과 읽기
글이 영상보다 자유로운 이유 / 읽기/쓰기로만 가능한 것과 그 대가
우리는 읽기/쓰기를 제대로 가르친 적이 없었다 
‘시험을 위한 읽기’에서 ‘읽기를 돕는 시험’으로 / 리터러시의 불평등, 민주주의의 위기
사유역량은 읽기의 특권인가 / 텍스트의 아우라와 진입장벽 / 리터러시는 사회의 역량 

Literacy 3 
읽기에서 보기로, 미디어와 몸-140 
다른 매체가 다른 신체를 구축한다 / 세 줄 요약과 읽기의 호흡
보기가 만들어내는 몸 / 검색하면 다 나온다? / 리터러시가 다룸의 역량이 되려면
앎이 삶을 방해하는 역설 / 리터러시는 어떻게 윤리적 주체를 세울 수 있는가 
개운하지 않아도, 담아두고 숙성시키기 

Literacy 4 
리터러시, 어떻게 다리를 놓을 것인가-190 
학교, 평가, 리터러시 / 공정성에 갇힌 평가, 시험 기술만 익히는 수업
평가의 공정성에서 배움의 공공성으로 / 미디어를 변환해보는 이유
과학 지식과 내러티브, 두 가지 앎 사이의 변환 / 삶을 두껍게 읽어내는 리터러시 

Literacy 5 
삶을 위한 리터러시 교육을 향해-224 
수업의 호흡이 길어진다면 / 독서토론으로 학교가 살아나다 
자기 삶과 닿아 있을 때 글쓰기는 어떻게 바뀌는가 
소통의 속도를 줄이고 리터러시의 방향을 잡다 / 성과로부터 자유로운 토론 
자율성을 키워주는 구조화는 어떻게 가능할까 / 리터러시의 위기는 기쁨의 위기
조망, 일상, 반복, 관계, 윤리, 교차, 호흡 / 좋은 삶을 위한 리터러시 

마치며 

말 걸기에서 응답하기로, 삶을 향한 연구 방법론으로서의 대담-284 
/ 엄기호 

참고문헌-2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