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현대시와 지역 문학 / 지은이 : 백수인
현대시와 지역 문학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현대시와 지역 문학 / 지은이 : 백수인
  • ·발행사항 파주 : 국학자료원 :국학자료원 새미, 2019
  • ·형태사항 367 p. ;23 cm
  • ·주기사항 참고문헌 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90476003  93810: \28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811.09  듀이십진분류법-> 895.71009  
  • ·주제명 시 평론[詩評論]한국 시[韓國詩]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지은이: 백수인 2019 SE0000526389 811.09-20-6 인문예술자료실(1층) 대출 가능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책 머리에 -4

│제1부│지역 문학 탐구 -11

종합문예지 · 신문학(新文學)-13
1. 서론 -13
2. · 신문학· 의 잡지 성격 -15
3. 창간호와 제2집의 서지 사항과 내용 -17
4. 제3집과 제4집의 서지 사항과 내용 -27
5. · 신문학· 과 김현승의 역할 -33
6. 결론 -37
김현구 시의 ‘새’ 이미지 -41
1. 들어가며 -41
2. ‘비둘기’―허무의 자화상 -43
3. 꾀꼬리와 종달새―환희와 그리움 -49
4. 갈매기, 두견이, 뻐꾹새 ―외로움과 설움 -53
5. 산새―이별의 외로움 -57
6. 마무리 -60
이수복 시의 전통 서정 -63
1. 서론 -63
2. 전통 서정의 구현 -65
3. 식물 이미지와 울음의 정서 -69
4. 사투리의 향토성 -74
5. 결론 -78
장흥의 현대문학 형성과 김용술 -81
1. 들어가며 -81
2. 선생의 삶과 남긴 글에 대하여 -83
3. · 億佛· 창간에 대하여 -86
4. 기억으로 남은 모습에 대하여 -89
5. 마무리 -93
탐진강 유역의 인문학 기반과 가사문학의 특징 -96
1. 들어가며 -96
2. 장흥 가사문학의 위상 -97
3. 백광홍에게 영향을 준 신잠 -101
4. 백광홍의 가사 ‘관서별곡’이 끼친 영향 -104
5. 장흥의 가사 작품 개관- 108
6. 마무리 -115

│제2부│지역 문학 시 읽기 1 -119

영원한 야성의 목소리 ― 범대순 -121
경계에서 바라본 ‘죽음’에 대하여 ― 진헌성 -128
공동의 슬픔과 시적 치유 ― 최봉희 -138
과거와의 소통과 따뜻한 화해 ― 양병호 -155
시적 고독과 해탈 ― 김해영 -168
‘사랑’의 확장과 변주 ― 임원식 -179
상처 속에 피어나는 사랑의 꽃 ― 허갑순 -194
타자의 시선으로 자아 보기 ― 박형동 -205
사랑과 그리움의 시학 ― 김선욱 -218

│제3부│지역 문학 시 읽기 2 -231

과학적 상상력과 풍자, 이 거대한 시적 담론 ― 진헌성 -233
양치기 소년의 사랑 노래 ― 양병호 -240
자아 성찰과 비움의 시학 ― 김동옥 -256
화해와 평정의 시 정신 ― 신현년 -267
투명한 삶을 지향하는 그리움의 서정 ― 정서현 -281
구순의 시안 ― 신극주 -291
기억의 현재화와 환유적 사유 ― 윤순호 -305

│제4부│지역 시단의 흐름 -315

삼라만상에 대한 사랑과 은유 -317
1. 한승원―신화적 언어와 서사적 은유 -318
2. 허형만―감각적 언어와 소리의 은유 -321
과거에 대한 기억의 서정 -325
사랑과 그리움의 서정 -332
사별한 가족에 대한 사랑 노래 -340
소리의 시적 변용 -348
꽃의 시적 의미 -354
존재들과의 화해와 사랑 -3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