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여성문학의 이해 = Female literature / 지은이 : 고은미,이수라,이월영,이화경,이희경
여성문학의 이해 = Female literature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여성문학의 이해 = Female literature / 지은이 : 고은미,이수라,이월영,이화경,이희경
  • ·발행사항 파주 : 태학사, 2020
  • ·형태사항 389 p. ;23 cm
  • ·주기사항 권말부록: 고전 여성문학 자료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90727051  93810: \20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810.9  듀이십진분류법-> 895.709  
  • ·주제명 여류 문학[女流文學]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지은이: 고은미,이수라,이월영,이화경,이희경 2020 SE0000526011 810.9-20-9 인문예술자료실(1층) 대출 가능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머리말 -5

1장 여성과 문학 / 이화경 -15
1_ 성(性)이란 무엇인가 -16
1. 당신은 여성인가, 남성인가? -16
2. 정말 남자와 여자는 다른 걸까? -20
3. 섹스, 젠더, 섹슈얼리티에 대하여 -28
4. 누가 여성인가? -32

2_ 문학 속에 나타난 성(性) -42
1. 외설과 예술의 오래된 전쟁-42
2. 문학 작품 속에 성이 나타나면 무슨 일이 생길가? -47
3. 막달라 마리아와 성모 마리아를 구분하는 기준? -53


2장 페미니즘 문학비평 이론 / 이수라 -61
1_ 여성의 시각으로 문학 작품 다시 읽기 -64
1. 남성 작가들이 그려낸 여성 인물의이미지 -64
2. 여성문학의 전통 세우기 -75
2_ 여성적 글쓰기에 대한 이론적 정립 -83
1. 양성적 글쓰기 -85
2. 여성의 쾌락 구조에 기반한 텍스트 -89
3. 시적 언어의 전복적 힘 -94
3_ 주변부의 복원 - 최근의 페미니즘 이론 -99
1. 백인중심주의의 벽을 넘어 -101
2. 하위주체의 재현 -105
3. 인간과 자연의 평화로운 공존 -114


3장 고전 여성문학 - 묵종과 부재의 삶 투영 / 이월영 -123
1_ 여성 명명의 배경과 의미 -127
1. 본분(本分) 명명 -127
2. 성적(性的) 명명 -130
2_ 묵종·부재 강요의 역사 -137
1. 신화적 여성의 존재 양상 -137
2. 여화(女禍) 콤플렉스 -140
3. 대외적 자기표현의 금기 -144

3_ 고전 여성문학의 소사(小史)와 그 의미 -156
1. 여성 존재를 다룬 서사문학 -157
2. 조선조의 여성 문인 -159


4장 여성 시의 어제와 오늘 / 이희경 -167
1_ 여성 시의 전사(前史) - 1920년대 여성 시 -168
1. 전통적 여성의 굴레 벗기, 사람으로 살기 -168
2. 1920년대 여성 시의 성과와 한계 -183
2_ 여성이 처한 현실 바로보기 -191
1. 여성상에 내재된 억압 들춰내기 -191
2. 부권의 거부를 통한 시 쓰기 -200
3_ 여성성, 여성적 글쓰기 탐구하기 -210
1. 모성성, 여성 시인의 정체성 -211
2. 여성 몸, 치유와 구원 -219
3. 여성성의 원천, 동근 몸의 미학 -228
4. 전망 : 대안으로서 생태시 -237


5장 여성 소설의 어제와 오늘 / 고은미 -247
1_ 가부장제에 대한 저항과 도전 -248
1. 고발과 저항의 글쓰기 -248
2. 비판적 읽기와 글쓰기 -271
3. 가족 신화를 넘어 마이너리티 세계 감싸안기 -286
2_ 대안적 공동체 탐색 -302
1. 여성성의 탐색 -302
2. 자매애의 모색과 구현 -315
3. '히스토리·History'를 넘어 '허스토리-Herstory'를 향하여 -323

부록: 고전 여성문학 자료 -341
1_ 여성 존재를 다룬 서사문학 -342
1. 단군신화(檀君神話) -342
2. 김현감호(金現感虎)와 신도징설화 -343
3. 온달설화(溫撻設話) -350
4. 열녀함양박씨전(烈女咸陽朴氏傳) -354
5. 딸을 비밀리에 재가시킨 재상 -359
6. 길지를 차지한 계집종 -362
7. 검녀(檢女) -370
8. 평양기생이 잊지 못하는 두 남성 -374
9. 양반과 나이 어린 계집종(혹은 기생)에 관한 몇몇 이야기 -379

2_ 여성 작가 시 -383
1. 기녀 작가의 시 -383
2. 규중 작가의 시 -3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