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그날을 말하다 : 수진 아빠 김종기 / 4·16기억저장소 기획 편집
그날을 말하다 : 수진 아빠 김종기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그날을 말하다 : 수진 아빠 김종기 / 4·16기억저장소 기획 편집
  • ·발행사항 파주 : 한울 :한울엠플러스, 2019
  • ·형태사항 341 p. ;23 cm
  • ·총서사항 (4·16구술증언록 단원고 2학년 1반 ;제8권)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46067080  04300: \17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30.4  듀이십진분류법-> 300.2  
  • ·주제명 4.16 세월호 참사[--世越號慘事]사회 문제[社會問題]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4·16기억저장소 기획 편집 2019 SE0000523380 330.4-20-19 일반자료실(2층) 대출 가능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1회차
1. 시작 인사말  -19
2. 구술증언 참여 동기 -19 
3. 4·16 이전의 삶  -20
4. 수학여행 준비와 출발 당일의 상황  -30
5. 진도와 팽목에서의 상황  -35
6. 비상전화와 무전기 사용, 희생자 정보 안내 등 요구-44 
7. 아이를 수습하고 안산에서 장례 치른 과정 -48

2회차
1. 시작 인사말  -57
2. 임시총회와 세월호가족대책위 발족  -57
3. 천만서명운동 및 특별법 요구에 이르는 과정 -64 
4. KBS 보도국장에 항의 및 공무원들의 행정 지원에 대한 인상 -67 
5. 조사특위 결정부터 국정조사  -74
6. 외부단체와의 연대에 대해서  -78
7. 대통령 대면과 이준석 선장과 유병언 전 회장에 대해 -84 
8. 4·16특별법 제정 촉구 활동과 그 당시 국회 상황  -88
9. 대리기사 폭행 시비 사건과 농성장 철수  -100
10. 선체 수색 중단과 미수습자 가족  -109
11. 세월호 수습에 대한 기술적인 논쟁과 인양 문제  -113
12. 마무리 인사 -116

3회차
1. 시작 인사말  -119
2. 국회 농성 당시 접했던 의원들, 그리고 청운동 시위 당시 있었던 일 -119
3. 4·16특조위 추천 과정과 특조위 무력화 시도에 대한 대응  -128
4. 세월호 간담회, 각종 집회 참석 및 연대발언 경험  -134
5. 헌법소원과 4·16가족협의회 사단법인 구성과 운영  -146
6. 반 대표장 당시의 활동 양상과 이후 분과 활동 확대의 사정 -151 
7. 가족협의회 사단법인화의 동기와 따로 활동한 가족들에 관해  -159
8. 세월호특별법 시행령과 기억식  -163
9. 4·16연대와 관련한 이야기 -170

4회차
1. 시작 인사말 -183
2. 1주기 범국민대회 구속과 연행 당시 심정 -183
3. 슬픔, 죽음에 대한 생각과 ‘활동이 곧 치료’  -192
4. 세월호 인양업체 선정 과정과 인양 작업 참관 요구 좌절 -196
5. 인양 감시 작업 준비와 동거차도 어민들의 협조 -203
6. 교실 존치 운동과 관련한 이야기  -210
7. 세월호 관련자 대법원 판결과 해수부 지침문건 공개 -219
8. 세월호 청문회, 그리고 가족협의회의 특조위 관련 활동 -222
9. 단원고 기억교실 협약식과 학생들의 제적처리, 국가행정에 대한 생각 -234

5회차
1. 시작 인사말 -243
2. 특조위 선체조사 보장 촉구 단식과 민주당 점거 농성 -243
3. 단원고 기억교실 임시 이전과 재학생 부모, 일선 교사들에 대한 생각-248 
4. 최순실 게이트를 마주한 기억과 촛불집회 적극적 참여 -256
5. 사회적참사특별법 입법 준비의 배경과 주요 논의 주체 -264
6. 참석하지 않는 가족 모임 -271
7. 수면 패턴과 TV 시청 -275
8. 분향소 업무와 식사 그리고 집안일 -277 
9. 참사 이후 경제적 상황 -286
10. 선체조사위 설치와 인양 그리고 탄핵 정국 이후의 변화 -289 
11. 세월호 인양을 지켜보며-298

6회차
1. 시작 인사말 -303
2. 선체조사위 수습 방안과 세월호 인양 및 수습 -303
3. 목포 신항의 합동위령제와 안산 합동장례식 -309
4. 4·16생명안전공원 부지 결정 과정과 반대 여론 -310
5. 세월호 가족대표 활동 중 특별한 기억과 사무처장이라는 자리 -316 
6. 지속적인 활동이 가능했던 이유, 특히 활동 중 힘들었던 점 -324
7. 참사 이후 세상, 삶, 안산에 대한 관점의 변화 -328
8. 요즘의 고민거리 그리고 수진이를 생각하면 떠오르는 것-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