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대한민국 행복지도 2020 : 서울대 행복연구센터의 행복 리포트 /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지음
대한민국 행복지도 2020 : 서울대 행복연구센터의 행복 리포트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대한민국 행복지도 2020 : 서울대 행복연구센터의 행복 리포트 /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지음
  • ·발행사항 파주 : 21세기북스, 2020
  • ·형태사항 187 p. :천연색삽화, 도표, 지도 ;24 cm
  • ·총서사항 (KI신서 ;9034)
  • ·주기사항 참고문헌: p. 186-187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50987169  13320: \16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31.1  듀이십진분류법-> 302  
  • ·주제명 행복[幸福]사회 심리[社會心理]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지음 2020 SE0000521028 331.1-20-9 일반자료실(2층) 대출 가능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목차

Intro 
대한민국 행복 지도가 필요한 이유-002 
대국민 행복 측정 프로젝트-005 

Part 01 
당신은 지금 얼마나 행복한가요? 연령, 지역, 날짜, 성별로 본 대한민국 행복 지도 

‘행복’을 어떻게 측정할 수 있을까? 
안녕지수 측정 방법-015 
안녕지수 프로젝트에 참가한 사람들은 누구였을까?-020 
사람들은 언제 안녕지수에 응답했을까?-022 

2019 대한민국, 안녕하셨나요? 
2019년 대한민국 안녕지수 분석-025 
2019년 대한민국은 얼마나 자기 삶에 만족했을까?-028 
2019년 대한민국은 유쾌했을까?-031 
2019년 대한민국은 삶의 의미를 느끼고 살았을까?-034 
2019년 대한민국의 스트레스는 얼마나 심했을까?-036 

2019 대한민국, 2018년보다 안녕했을까? 
2019년과 2018년 안녕지수 비교-039 
2019년에는 얼마나 더 행복해졌을까?-040 
2019년의 남녀는 2018년의 남녀보다 행복했을까?-045 

남성과 여성 중 누가, 그리고 어떤 연령이 더 행복했을까? 
성별, 연령별 안녕지수-051 
남녀 중 누가, 어떤 연령이 가장 행복했을까?-052 
남성과 여성의 행복은 나이에 따라 어떻게 변할까?-056

행복한 곳에서 살면 나도 행복해질까? 
대한민국 지역별 안녕지수-061 
어떤 지역이 가장 행복했을까?-062

열두 달 중 언제 더 행복했을까? 
월별 안녕지수-067
2019년 열두 달 중 언제 더 행복했을까?-069 

어떤 요일, 어떤 시간에 더 행복했을까? 
요일별, 시간대별 안녕지수-075 
60대의 주말은 눈부셨고, 10대의 주말은 주중보다 못했다-081 
공휴일이라고 다 행복한 것은 아니다-085 
하루 중 언제 가장 행복하고 가장 불행했을까?-088 

2019년 가장 행복했던 하루 
가장 행복했던 날 Best 5-093 
2019년 가장 행복했던 하루-094 
2019년 가장 행복하지 않았던 하루-095 

빅 이벤트는 우리에게 정말 큰 행복이었을까? 
국가적 이벤트가 행복에 미친 영향-097 
일본 수출 규제는 우리 행복에 어떤 영향을 주었을까?-098 
조국 사태는 안녕지수를 바꾸어놓았을까?-100 
북미 정상회담은 우리를 얼마나 행복하게 했을까?-104 
8월 5일 블랙 먼데이와 행복은 어떤 연관이 있을까?-106 
대학 수학능력시험은 정말 우리를 우울하게 할까?-108 
명절은 행복의 날일까, 스트레스의 날일까?-110 

Part 02 
행복한 사람들의 5가지 특징 150만 명의 데이터에서 찾아낸 행복의 비밀 

행복한 사람들은 스스로를 높은 계층이라 여긴다 
사회적 지위와 계층은 행복과 비례할까-117 
행복은 소득 수준에 따라 결정될까?-119 
사회적 지위가 만들어낸 차이들-123 
한국인들은 사다리 몇 층에 위치할까?-125 
지역별로 계층의 차이가 있을까?-130 

행복한 사람들은 기꺼이 48시간을 산다. 
그래도 여유롭다 
바쁜 일상과 마음의 여유가 자존감을 높이는 이유-133 
시간이 부족한 걸까? 실제로 바쁜 걸까?-136 
은퇴와 함께 역전되는 남녀의 시간-138 
일상을 가장 느긋하게 보내는 지역은?-140 
자존감을 높이는 키워드, 바쁜 일상-142 

행복한 사람들은 완벽보다 타협을 선택한다 
좋은 삶을 위한 선택과 결정의 기술-149 
최선의 선택이 지닌 치명적 오류-151 
적당한 선에서 만족한다면 행복해진다-154 
거주지에 따라 극대화 정도도 다를까?-157 

행복한 사람들은 타인을 의심하지 않는다 
인간관계에서 스트레스를 받지 않는 사람들의 비밀-161 
우리는 서로를 얼마나 의심하고 있을까?-163 
상대를 의심하면 나의 행복도 의심하게 된다-166 

행복한 사람들은 행복해지는 연습을 한다 
행복은 유전되는가? 아니면 노력의 결과인가?-171 
행복은 타고날까, 바꿀 수 있을까?-174 
행복이 운명이라고 믿는 청년들-177 
노력마저 하지 않으면 행복은 더 멀어진다-179 

Conclusion 
『대한민국 행복지도 2020』에 나타난 한국인의 행복-182 

참고문헌-1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