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계산하는 기계는 생각하는 기계가 될 수 있을까? : 인공지능을 만든 생각들의 역사와 철학 / 잭 코플랜드 지음 ;박영대 옮김
계산하는 기계는 생각하는 기계가 될 수 있을까? : 인공지능을 만든 생각들의 역사와 철학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계산하는 기계는 생각하는 기계가 될 수 있을까? : 인공지능을 만든 생각들의 역사와 철학 / 잭 코플랜드 지음 ;박영대 옮김
  • ·발행사항 서울 : 에디토리얼, 2020
  • ·형태사항 546 p. :삽화 ;22 cm
  • ·주기사항 원표제:Artificial intelligence :a philosophical introduction
    원저자명: Jack Copeland
    참고문헌(p. 524-540)과 색인수록
    영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90254007  03500: \22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004.73  듀이십진분류법-> 006.3  
  • ·주제명 인공 지능[人工知能]기술사(역사)[技術史]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잭 코플랜드 지음 ;박영대 옮김 2020 SE0000520850 004.73-20-28 일반자료실(2층) 대출 가능 0 - 인쇄자료(책자형) 
잭 코플랜드 지음 ;박영대 옮김 2020 SE0000520851 004.73-20-28=2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목차

인공지능을 철학적으로 논한다는 것은-5 
감사의 말-13 

들어가며-19 

1장 인공지능의 시작: 역사적 개요-23 
1.1 컴퓨터의 출현-24 
1.2 논리이론가(The Logic Theorist)-32 
1.3 다트머스 회의-35 
1.4 앨런 튜링 그리고 인공지능의 철학-36 

2장 눈부신 증거들-43 
2.1 컴퓨터의 내부-44 
2.2 패리(Parry), 편집증적 프로그램-46 
2.3 일라이자(Eliza), 심리치료사-49 
2.4 슈들루(Shrdlu) 로봇-53 
2.5 해커,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프로그램-58 
2.6 게임하는 프로그램들-61 
2.7 범용 문제해결사(GPS)-67 
2.8 샘(Sam)과 프럼프(Frump)-74 
2.9 전문가 시스템-79 

3장 기계는 생각할 수 있을까?-87 
3.1 생각에서 의식이 필수적인가?-89 
3.2 튜링 테스트-95 
3.3 이미 테스트를 통과했다고요?-99 
3.4 튜링 테스트에 대한 네 가지 반론-109 
3.5 튜링 테스트에 대한 평가-121 
3.6 결정의 시간-125 

4장 기호체계 가설-135 
4.1 기호조작-138 
4.2 이진 기호-139 
4.3 기호로서의 프로그램-150 
4.4 프로그램의 실제-158 
4.5 컴퓨터의 정의-171 
4.6 ‘기호체계’라는 가설-174 
4.7 복수의 실현가능성-178 

5장 사실들에 대한 면밀한 검토-181 
5.1 가설의 증거-182 
5.2 증거를 찬찬히 따져보기-186 
5.3 과대광고-205 
5.4 상식을 프로그래밍하기-212 
5.5 데이터 vs 노하우-216 
5.6 CYC 프로젝트-219 
5.7 복잡성이라는 장벽-258 

6장 흥미로운 사례, 중국어 방-261 
6.1 중국어 방 논증-265 
6.2 논증에서 무엇이 잘못되었나?-269 
6.3 ‘이해’라는 것을 결정하기-280 
6.4 튜링머신 그리고 인공지능에 대한 생물학적 반박-284 

7장 자유-297 
7.1 터보 샘은 선택한다-299 
7.2 의지의 자유는 환상인가?-301 
7.3 두 종류의 자유-308
7.4 도벽과 강박-318 
7.5 자유의지론-321 
7.6 예측론과 카오스-328 
7.7 불가피하다는 것-333
 
8장 의식-343 
8.1 무시와 혼란-344 
8.2 모호한 기준선-347 
8.3 내부 모니터링으로서의 의식-349 
8.4 말로 표현하기 힘든 그 모든 것에 대한 ‘느낌’-357 
8.5 미스터리의 핵심으로-360 
8.6 박쥐가 된다는 건 어떤 것일까?-366 
8.7 메리가 모르는 것-370 
8.8 결론 도출하기-375 

9장 우리는 컴퓨터인가?-377 
9.1 강한 기호체계 가설-379 
9.2 하드웨어 vs 웨트웨어-382 
9.3 굿바이, 폰 노이만-402 
9.4 고깃덩어리에 의미를 더하기-407 
9.5 믿지 않는 것을 믿기-412 
9.6 생산성과 체계성-414 
9.7 논의들을 평가하기-418 
9.8 ‘컴퓨터’의 의미-425 

10장 인공지능의 새로운 출발: 병렬분산처리-431 
10.1 기본적 아이디어-435 
10.2 영어 수업-445 
10.3 악몽에서 빠져나왔나요?-449 
10.4 컴퓨터와의 비교점-454 
10.5 웨트웨어와의 비교점-457 
10.6 설의 중국어 체육관(Chinese gym)-465 
10.7 처치-튜링 논제-474 
10.8 우리의 인지 과정은 알고리즘으로 계산할 수 있는가?-479 
10.9 컴퓨터로 네트워크 시뮬레이션하기-496 
10.10 뇌를 둘러싼 대결-504 
10.11 맺음말-508 

에필로그-511 

답-513 
옮긴이 후기-515 
참고문헌-524 
찾아보기-5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