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정치의 품격 = The dignity of politics : morality of the elected officials : 선출직 공직자의 도덕성 / 지은이 : 김경동,진덕규,박형준
정치의 품격 = The dignity of politics : morality of the elected officials : 선출직 공직자의 도덕성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정치의 품격 = The dignity of politics : morality of the elected officials : 선출직 공직자의 도덕성 / 지은이 : 김경동,진덕규,박형준
  • ·발행사항 파주 : 푸른사상, 2020
  • ·형태사항 286 p. ;23 cm
  • ·총서사항 (사회문화총서)
  • ·주기사항 권말부록: 국내외 의원 윤리규정, 관련 법령 및 보고서
    참고문헌과 색인 수록
    한샘DBEW연구재단의 지원으로 수행된 연구임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30816364  93340: \22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193  듀이십진분류법-> 172  
  • ·주제명 정치 철학[政治哲學]정치 윤리[政治倫理]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지은이: 김경동,진덕규,박형준 2020 SE0000512706 193-20-2 인문예술자료실(1층) 대출 가능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 책머리에 -5

제1장 서론
1. 민주주의의 위기와 대의정치의 한계 -26
2. 왜 도덕성인가? -31
3. 연구의 목적과 방법 -36
1) 연구의 주제 -36
2) 연구 방법 -38

제2장 집요하게 흐르는 한국의 정치문화
1. 전통사회의 정치문화 -44
1) 전통의 의미 -44
2) 전통문화의 전개 -48
2. 정치문화의 단계적 구분 -51
1) 제1단계(1800년~1910년):관인적 정치문화의 혼돈 -51
2) 제2단계(1910년대~1940년대 중반기):식민지의 정치문화 -65
3) 제3단계 (1945년~1970년대):해방-한국전쟁 전후의 성격 -68
4) 제4단계 (1970년대~ ):민주화기의 좌초된 정치문화 -101
3. “새 나라, 새 세상”을 위한 길 -106
4. 한국 정치문화의 이론적 특성 -109
1) 가산제 정치문화 -109
2) 일제강점기의 식민지 정치문화의 유산 -114
3) 우리나라 정치문화의 극복을 위한 성찰 -116

제3장 리더십의 자질에 관한 이론
1. 도덕성의 의미 -133
2. 서구의 고전적 리더십 이론 -138 
3. 현대의 리더십 이론 -147
1) 리더십의 개념 -147
2) 특질이론 -152
3) 진정성 리더십 -156
4) 윤리적인 리더십 -160
5) 섬김의 리더십 -163
4. 대학입학전형에 반영한 리더십 자질 -164
5. 동양의 전통적 리더십 이론:유가 사상을 중심으로 -168
1) 일반적 고찰 -168
2) 공직자의 덕목:선비의 길 -174
3) 다산의 『목민심서』 개요 -176
6. 선출직 공직자와 유권자의 관계:정체성 이론 -178

제4장 미래의 선출직 공직자에게 바라는 도덕성 기준
1. 미래사회의 전개 -185
1) 기술 혁신과 정치문화 -185
2) 사회문화적 충격:일반적 관찰 -190
3) 사이버 사회의 사회문화적 특성 -194
4) 사이버 공간의 명암 -196
5) 생태계 교란의 문제 -198
2. 한국 대의정치의 문제점 -200
3. 선출직 공직자의 도덕성 평가 기준 탐색의 기조 -210
1) 미래사회에 요구되는 덕목 -210
2) 미래사회의 윤리적 리더십의 기본 특징 -211
4. 선출직 공직자의 도덕성 정립을 위한 기초 자료 -213

제5장 선출직 공직자의 도덕성 가치 체계 정립
1. 도덕성 확인을 위한 가치 체계의 구상 -217
2. 도덕성 판단을 위한 지표의 개발 예시:선출직 공직자의 신윤리지표 -232
1) 신윤리지표의 보기 -232
2) 신윤리지표의 활용을 위한 질문 문항 -235
3) 윤리적 리더십 자기 평가 문항 -240
3. 도덕성 판단을 위한 질문 문항 추가 예시 -242
1) 타인의 주관적 평판 문항 용례 -243
2) 선출직 및 후보자 자신의 주관적 자가 평가 문항 용례 -247
3) 경영분야의 경영자 주관적 자가평가 문항 용례 -247

제6장 결론:도덕성 평가의 실행과 활용
1. 제도적 절차 -255
1) 정당의 공천 과정에서 지표의 활용 -256
2) 선거 과정의 점검 방법 -256
3) 임무 수행 중 점검 -258
2. 선출직 공직자의 도덕성 평가 결과의 활용 -261
1) 조사 결과의 공유 -261
2) 정치문화 개선을 위한 정치교육 -262

■ 부록:국내외 의원 윤리규정, 관련 법령 및 보고서 -265
■ 참고문헌 -278
■ 찾아보기 -2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