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문학으로 걷는 화성 : 문인들의 작품으로 돌아본 화성의 역사와 지리, 그리고 사람 사는 이야기 / 홍사용,간복균,강성철,구직회,기형도,김광기,김덕길,김명철,김수복,김승구,김승기,김애자,김영주,김우영,김유빈,김윤배,김훈,노향림,리제재,박대진,박목월,박무웅,박설희,박세영,박소원,박승극,박영근,박종화,박찬세,박팔양,서정택,서하진,성백원,성향숙,손택수,송기원,신규호,신현락,안명옥,안영선,안익승,오칠선,우대식,우호태,원인숙,유종인,윤석산,윤순희,윤의섭,윤인환,윤제림,이규황,이덕규,이문구,이병기,이승은,이원,이원규,이재무,이해선,이혜선,임병호,임애월,임옥순,임윤식,전윤호,정겸,정남식,정대구,정봉구,정백,정수자,정옥선,정진규,조병화,조성면,조지훈,지승복,진순분,최두석,최문자,최오균,최정례,한병준,한우진,홍사종,홍성원,홍승갑,홍신선,홍일선,황동규,휘민 지음
문학으로 걷는 화성 : 문인들의 작품으로 돌아본 화성의 역사와 지리, 그리고 사람 사는 이야기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문학으로 걷는 화성 : 문인들의 작품으로 돌아본 화성의 역사와 지리, 그리고 사람 사는 이야기 / 홍사용,간복균,강성철,구직회,기형도,김광기,김덕길,김명철,김수복,김승구,김승기,김애자,김영주,김우영,김유빈,김윤배,김훈,노향림,리제재,박대진,박목월,박무웅,박설희,박세영,박소원,박승극,박영근,박종화,박찬세,박팔양,서정택,서하진,성백원,성향숙,손택수,송기원,신규호,신현락,안명옥,안영선,안익승,오칠선,우대식,우호태,원인숙,유종인,윤석산,윤순희,윤의섭,윤인환,윤제림,이규황,이덕규,이문구,이병기,이승은,이원,이원규,이재무,이해선,이혜선,임병호,임애월,임옥순,임윤식,전윤호,정겸,정남식,정대구,정봉구,정백,정수자,정옥선,정진규,조병화,조성면,조지훈,지승복,진순분,최두석,최문자,최오균,최정례,한병준,한우진,홍사종,홍성원,홍승갑,홍신선,홍일선,황동규,휘민 지음
  • ·발행사항 화성 : 백조, 2019
  • ·형태사항 402 p. ;23 cm
  • ·주기사항 권말부록: 려유당성 등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96876913  03810: \23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810.957  듀이십진분류법-> 895.709  
  • ·주제명 지역 문학[地域文學]향토 문학[鄕土文學]화성(경기도)[華城]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홍사용,간복균,강성철,구직회,기형도,김광기,김덕길,김명철,김수복,김승구,김승기,김애자,김영주,김우영,김유빈,김윤배,김훈,노향림,리제재,박대진,박목월,박무웅,박설희,박세영,박소원,박승극,박영근,박종화,박찬세,박팔양,서정택,서하진,성백원,성향숙,손택수,송기원,신규호,신현락,안명옥,안영선,안익승,오칠선,우대식,우호태,원인숙,유종인,윤석산,윤순희,윤의섭,윤인환,윤제림,이규황,이덕규,이문구,이병기,이승은,이원,이원규,이재무,이해선,이혜선,임병호,임애월,임옥순,임윤식,전윤호,정겸,정남식,정대구,정봉구,정백,정수자,정옥선,정진규,조병화,조성면,조지훈,지승복,진순분,최두석,최문자,최오균,최정례,한병준,한우진,홍사종,홍성원,홍승갑,홍신선,홍일선,황동규,휘민 지음 2019 SE0000510807 810.957-20-1 인문예술자료실(1층) 대출 가능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목차

머리말 | 손택수-5 

1/부 눈물의 왕이 자라난 화성-15 
나는 왕이로소이다_ 홍사용-17 
누릉 일기_ 손택수-21  
돌모루 마지막 이장의 
편지_ 홍신선-23  
동탄행 버스_ 홍일선-26 
동탄에서 산 지 10년이 넘었지만_ 박소원-29 
만의사 가는 길_ 안영선-30
통발_ 홍사용-32
수원의 돌모루 홍사용_ 박종화-33
청산백운_ 노작, 정백-38 

2/부 중생대의 흔적이 드러난 화성-45 
각시당 전설_ 박대진-47
게 한 마리 가고 있다_ 박영근-49
새 백악기를 위하여_ 이혜선-51
술래가 되어 공룡을 찾다_ 신규호-52
화석지 부근_ 신현락-53 
화석지에서_ 김명철-56 
어도 여자_ 김윤배-58 
어도_ 황동규-60 
조금_ 정수자-61 
먼동_ 홍성원-62 
독지리, 서해 갯벌_ 정남식-69 
서해안 염전 조성 약사_ 유종인-70 
사강우체국_ 이승은-76
사강리_ 기형도-77 
사강을 지나며_ 강성철-78
여름과 어머니 생각_ 정봉구-80 
칠공주집 칠순이_ 임옥순-84 

3/부 애끓는 부정父情이 서린 화성-97 
화산두견_ 리제재-99
모란이 지는 종소리_ 김수복-101
승무_ 조지훈-102
용주사 동종_ 임윤식-104
능역_ 윤의섭-105
융건릉_ 한우진-107
융건릉에서_ 윤제림-108
융릉_ 이병기-109 

4/부 일제의 강점에 저항한 화성-111 
벽화가 있는 발안장터_ 윤순희-113
아빠, 세상은 아직 살 만해_ 정겸-114
그날_ 윤인환-116
제암리의 참살_ 박목월-118
추도시_ 박세영-122
만세벚꽃시장_ 서정택-123 
벌안_ 성향숙-124
낯선 물_ 이문구-126 

5/부 현대사의 아픔을 품은 화성-135 
농섬_ 최두석-137
바다 한가운데를 향해 나아가는 자전거_ 김훈-138
석천리 10_ 임애월-142 
오동나무_ 이원-143
쌍봉산_ 윤순희-146
만세길_ 정대구-147 

6/부 바다를 찾아가는 화성-151 
서신에서 보내는 편지_ 우대식-153
궁평항 종점_ 안명옥-155
해운초등학교, 그리고 어머니_ 홍사종-157
그리운 백미리_ 김덕길-160 
거기, 당성_ 정옥선-161 
귀향_ 한병준-162 
당항성_ 전윤호-164 
안곡서원 은행나무_ 박영길-165 
연꽃잠_ 박찬세-167
구름교차로_ 박설희-168 
전곡리에는 1_ 홍승갑-170 
전곡항_ 박일만-171
제부도_ 김광기-173
제부도_ 이재무-174
제부도에 가 보시리_ 오칠선-175
제부도_ 서하진-177 

7/부 천의 얼굴을 한 화성-207 
그냥 서 있다_ 윤석산-209
겨울 금당리_ 임병호-210
마도우체국_ 임병호-212
향수심_ 안익승-213
원평리에서_ 성백원-218
태풍이 불고 간 그 이튿날_ 박무웅-219 
송라리 가는 길_ 최오균-221
100원짜리 동전 두 개_ 김애자-223
겨울, 수영리에서_ 김우영-225
쇠 속의 잠 3_ 최문자-226
와우리 공동묘지에서_ 진순분-228
비봉습지에서_ 원인숙-229 
가마장_ 구직회-231
술_ 박승극-237 
장명초등학교 운동장에서_ 김승기-247
고향_ 간복균-248
괘량리 시편_ 이덕규-253
공기는 내 사랑_ 정진규-256
보통리 저수지_ 김영주-257
원주민 식당_ 신현락-258
다시 월문리에서_ 송기원-261
병점_ 최정례-288  
흐린 날의 병점_ 노향림-289 
옮겨다니는 산_ 휘민-291 

8/부 화성과 화성 너머-295 
황구지천 1_ 이규황-297
오산 장날_ 지승복-298
오산동 488번지_ 이원규-301
외로운 혼자들_ 조병화-302
세마대_ 이해선-303
유민_ 김승구-319
내가 흙을_ 박팔양-325
상록수_ 심훈-326
고향_ 이동규-337 

9/부 부록-347 
려유당성旅遊唐城_ 최치원崔致遠-349
남양망해루기南陽望海樓記_ 이색李穡-350
도남양상밀직사계到南陽上密直司啓_ 정도전鄭道傳-351
화량진에서花梁津_ 최숙정崔淑精-352
남양 화량영 중에서의 감흥南陽花梁營中感興_ 남효온南孝溫-353
부인의 장례를 치르고 홍법사에 묵으며葬夫人宿弘法寺_ 홍섬洪暹-354 
남양부청서루기南陽府淸暑樓記_ 홍섬洪暹-355
서해 섬에서 경영하는 말 목장에 대한 소疏_ 구사맹具思孟-357
남양척서루차선조운南陽滌暑樓次先祖韻_ 홍성민洪聖民-359
은수포銀樹浦의 유래_ 홍성민洪聖民-360
홍상국 인재운에 맞추어次洪相國忍齋韻_ 홍가신洪可臣-361
남양 가는 길南陽途中_ 유몽인柳夢寅-362
남양 동헌의 운에 차운하여次南陽東軒韻_ 이정구李廷龜-363
대부도 객관에서大部島客館_ 이명한李明漢-364
홍법사 승려 시축에 차운하여次弘法僧軸_ 이명한李明漢-365
남양축언제해문南陽築堰祭海文_ 이현석李玄錫-366
우음도에 올라登于音島_ 박태순朴泰淳-367
남양국사봉사우제문南陽國祀峰謝雨祭文_ 유척기兪拓基-368
남양만의 구포鷗浦 빈정촌濱汀村_ 우하영禹夏永-369
보거지세寶車之勢의 방어체계_ 우하영禹夏永-371
아버지 사도세자를 그리워하며_ 정조-372
남양 족자동에 도착하여到南陽族滋洞_ 홍양묵洪養-374
남양문견기南陽聞見記_ 홍양묵洪養-376
감의 품종_ 이옥李鈺-378
유배지에서 고향을 그리워하며_ 정윤영鄭胤永-380 

발문 | 문학으로 쓴 문학 지도 - 『문학으로 걷는 화성』 발간에 부쳐_ 조성면-3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