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철학, 장애를 논하다 : 메를로-퐁티와 롤스에서 호네트와 아감벤까지 / 엮은이 : 크리스트야나 크리스티안센,시모 베마스,톰 셰익스피어 ;옮긴이 : 김도현
철학, 장애를 논하다 : 메를로-퐁티와 롤스에서 호네트와 아감벤까지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철학, 장애를 논하다 : 메를로-퐁티와 롤스에서 호네트와 아감벤까지 / 엮은이 : 크리스트야나 크리스티안센,시모 베마스,톰 셰익스피어 ;옮긴이 : 김도현
  • ·발행사항 서울 : 그린비, 2020
  • ·형태사항 527 p. ;23 cm
  • ·총서사항 (그린비 장애학 컬렉션 ;08)
  • ·주기사항 원표제:Arguing about disability
    원저자명: Kristjana Kristiansen, Simo Vehmas, Tom Shakespeare
    참고문헌(p. 479-514)과 색인수록
    영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76825988  93300: \29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38.3  듀이십진분류법-> 362  
  • ·주제명 장애[障碍]장애인[障碍人]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엮은이: 크리스트야나 크리스티안센,시모 베마스,톰 셰익스피어 ;옮긴이: 김도현 2020 SE0000510510 338.3-20-4 일반자료실(2층) 대출 가능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목차

책머리에-5 

서장_장애학과 철학의 피할 수 없는 동맹-11
시모 베마스·크리스트야나 크리스티안센·톰 셰익스피어 

제1부 _ 형이상학-35
 
1장_사회정의와 장애-36
스티븐 스미스 
서론-36 | 의료적 모델의 재해석-39 | 사회적 모델의 재해석-44 | 재능으로 간주되
는 손상?-53 | 정체성과 인간의 행위주체성-58 | 결론: 자아성, 장애, 사회정의-64 

2장_장애의 정의들-68
스티븐 에드워즈 
서론-68 | 네 가지 견해-70 | 맺음말-94 

3장_장애와 손상의 존재론-96
시모 베마스·페카 메켈레 
서론-96 | 신체를 위한 그리고 신체에 대한 탈근대적 성전(聖戰)-100 | 세계의 고유
한 특징과 관찰자-상대적인 특징-107 | 손상: 원초적 사실인가 제도적 사실인가?
-110 | ‘사회적 손상’의 구성-116 | 존재론과 장애정치-123 

4장_장애와 사고하는 몸-129
재키 리치 스컬리 
윤리학과 몸-130 | 사고하는 몸-135 | 상황을 파악하기-140 | 전언어적·비개념적 
내용-141 | 신체도식-142 | 신경과학에서의 체현된 마음-144 | 체현된 언어-148 | 
이례적인 몸의 위상-151 

제2부 _ 정치철학-167
 
5장_인격과 장애인의 사회적 통합-168
헤이키 이케헤이모 
서론-168 | 인격: 그것은 무엇이며, 왜 우리는 그것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가?-170
| 대인관계론적 인격, 인정, ‘우리’라는 것의 본질-178 | 정신적 인격의 요구에 대한 
적절한 반응으로서의 인정적 태도-182 | 인격과 장애-188 | 사회적 배제에 대한 해
결책으로서의 사회적 통합: 우리는 무엇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는가?-191 | 맺음말
-199 

6장_장애와 자유-202
리처드 헐 

7장_장애, 재능 부재, 분배적 정의-229
제롬 비켄바흐 
서론-229 | 토니의 통찰에 놓여 있는 배경-233 | 사회정의는 무엇보다 평등에 관한 
것이다-237 | 장애적 비평-242 | 한 가지 문제-244 | 손상과 재능 부재를 구별하기
-246 | 인구학적 요소로서의 장애: 차이의 공고화-264 | 결론: 이것은 우리에게 무엇
을 말해 주는가?-267 

8장_젠더, 장애, 개인적 정체성-272
투이야 타칼라 
중심적 기준에 맞서-275 | 신체적 특징이 신체적으로 불리한 위치를 야기하다-276
| 차별이 단결을 야기하다-280 | 외부적 억압으로부터 내부적이고 외부적인 억압으
로-281 | 희생자적 위치-286 | 결론적 단상-290 

제3부 _ 윤리학-295
 
9장_인공와우, 언어권, ‘열려 있는 미래’론-296
패트릭 셰르밋 
서론-296 | 소아 인공와우 이식에 대한 윤리적 논쟁-299 | ‘열려 있는 미래’론과 농
아동의 미래라는 문제-301 | ‘열려 있는 미래’론과 언어권-311 | 맺음말-328 

10장_‘농배아’ 선택의 도덕적 경합성-333
마티 헤이리 
서론-333 | 생식 및 진단 기술과 그 활용-334 | 사례, 선택지, 입장-337 | 의료적 관
점에 대한 도덕적 논거-340 | 사회적 관점에 대한 도덕적 논거-344 | 법적 허용에 
대한 논거-347 | 상황의 불안정성-351 | 의료적 관점에 대한 도덕적 논거의 재고
찰-352 | 사회적 관점에 대한 도덕적 논거의 재고찰-355 | 비지시적 절충을 향하여
-359 | 비지시적 절충-364 

11장_장애 관련 법률의 형성에서 의료 전문가의 역할-366
린지 브라운 
서론-366 | 판례-371 | 판례 탐구를 위한 이론적 틀-374 | 장애인의 삶의 질에 대한 
의사들의 견해-375 | 판례법 분석: 네 가지 핵심 테마-380 | 결론-395 

12장_다운증후군에 대한 산전 선별검사-400
베르게 솔베르그 
서론-400 | 자율성: 선별검사에 대한 주된 논변-401 | 은폐될 수 없는 의제: 설명을 
개선하기-403 | 선별검사에 반대하는 논변들-406 | 인정투쟁-411 | 무엇을 없애고 
있는가: 태아, 부담, 아니면 정체성?-414 | 으뜸패로서의 자율성-421 | 윤리학과 선
별검사: 장애라기보다는 임신에 관한 문제?-426 | 선별검사, 해야 하는가 하지 말아
야 하는가?-436 

13장_생명정치와 벌거벗은 생명-441
도나 리브 
서론-441 | 생명정치: 호모 사케르의 형상-443 | 장애의 정의-448 | 산전 진단-451
| 심각한 정신적 고통을 지닌 사람들의 강제 구금-455 | 낯선 이들과의 상호작용
-460 | 논의-466 | 결론-472 

옮긴이 후기-475 

참고문헌-479 | 찾아보기-515 | 필자 소개-5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