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한국의 국가건설 단계와 자유민주주의의 진로 = Korea's nation-building stages in liberal-democratic perspective : 한국정치의 과거와 현재와 미래를 묻는 성찰 / 한배호 지음
한국의 국가건설 단계와 자유민주주의의 진로 = Korea's nation-building stages in liberal-democratic perspective : 한국정치의 과거와 현재와 미래를 묻는 성찰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한국의 국가건설 단계와 자유민주주의의 진로 = Korea's nation-building stages in liberal-democratic perspective : 한국정치의 과거와 현재와 미래를 묻는 성찰 / 한배호 지음
  • ·발행사항 서울 : 오름, 2020
  • ·형태사항 256 p. ;23 cm
  • ·주기사항 색인 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77785106  93340: \13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40.911  듀이십진분류법-> 320.95195  
  • ·주제명 한국 정치[韓國政治]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한배호 지음 2020 SE0000508772 340.911-20-29 일반자료실(2층) 대출 가능 0 - 인쇄자료(책자형) 
한배호 지음 2020 SE0000508773 340.911-20-29=2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머리말 -5

 제1장 역대 정권이 이룩한 국가건설의 성과 -11
전후 독일과 일본의 국가 재건과정 -14
국가건설의 의미와 단계 -17
이승만 정권이 세운 국가정체성 -20
박정희 정권이 이룩한 국가통합 -22
“제3의 물결”과 민주화 요구의 폭발 -27
김영삼 정부와 김대중 정부의 민주화 공적 -30
질서도 정의도 무너지고 있다 -37
국가건설의 진로를 따라 전진해야 한다 -41

 제2장 도덕적인 인간과 부도덕한 정치 -47
‘수신제가 치국평천하’의 이상론 -50
부도덕한 정치를 만드는 권력과 인간의 본성 -54
실패한 이성주의의 ‘치국평천하’ -61
“가난한 사람만 믿으라”는 마르크스 -64
‘목적이 수단을 정당화한다’는 반도덕주의 사상 -70
정치의 부도덕성을 견제할 법치주의 -72
평화도 평등도 불가능하나, 정의는 실현할 수 있다 -76

 제3장 정치의 본질은 가치의 권위적인 분배 -81
정치사상에 영향을 준 기계론과 유기체론 -84
법·제도 연구에 미친 기계론의 영향 -87
가치의 ‘권위’적인 분배로서 정치 -89
국가, 정권 그리고 시민사회 -93
정치적 주권을 행사하는 정권 -99
정부 밖에서 정치권력을 견제하는 정당정치 -102

 제4장 민주주의를 침식한 권위주의정치 -105
신생국 민주주의를 침식한 독재정치 -107
정권이 여섯 번 바뀐 나라 -110
[첫 번째] 이승만의 종신대통령제 개헌 -111
[두 번째] 장면 민주정권의 붕괴 -119
[세 번째] 박정희의 군부정권 수립 -121
[네 번째] 박정희의 유신 종신대통령제 -129
‘신군부’의 두 번째 쿠데타 -132
정권이 자주 바뀐 이유는 무엇인가? -133

 제5장 정치를 파국으로 가게 한 파벌정치 -147
파벌에 대한 다양한 의미 -150
정당은 간판, 실세는 파벌 -154
[사례 1] 자유당 강경파의 부정선거 강행 -157
[사례 2] 박 정권 공화당 내의 3선 개헌 파벌싸움 -160
[사례 3] 부마사태와 공화당과 유정회 간의 알력 -165
파벌정치에서 정당정치로 -168

 제6장 마르크스주의라는 신학을 쫓는 신도들 -173
유대인 칼 마르크스 -177
마르크스 이론의 주요 명제 -180
마르크스주의라는 ‘신’이 없는 신학 -186
마르크스 이데올로기론의 허점 -191
마르크스주의 신학의 종말론: 구소련의 붕괴 -194
한국좌파의 이데올로기는 어떤 것인가? -198
신기루를 쫓는 “종북주의”라는 이중적 정체성 -208

 제7장 한국이 가야 할 자유민주주의의 진로 -215
초기 자유주의자의 신조 -221
진보와 보수를 수렴한 현대 자유주의 -224
‘자유로부터의 도피’가 독재정치를 낳는다 -228
‘민주주의는 매우 어려운 정부 형태’-윌슨 대통령 -232
‘덜’ 나쁜 정치를 목표로 하는 다두지배체제 -237
보다 정의롭고 민주적인 국가건설이 목표다 -241

 색인 -250
 지은이와 제자(題字) 소개 -2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