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한국 전통연희사 / 전경욱 지음
한국 전통연희사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한국 전통연희사 / 전경욱 지음
  • ·발행사항 서울 : 학고재, 2020
  • ·형태사항 578 p. :삽화(일부천연색) ;23 cm
  • ·주기사항 참고문헌과 색인 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56253909  93910: \34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682.0911  듀이십진분류법-> 792.09519  
  • ·주제명 연희[演戱]한국 예술사[韓國藝術史]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전경욱 지음 2020 SE0000508363 682.0911-20-1 인문예술자료실(1층) 대출 가능 0 - 인쇄자료(책자형) 
전경욱 지음 2020 SE0000508364 682.0911-20-1=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1 전통연희의 역사적 전개 
 제1장 한국 전통연희사를 보는 시각 
 명칭과 갈래 문제 18│전통연희사 기술 방법 19│시대 구분 문제 21 
 제2장 상고시대의 전통연희 
 상고시대의 전통연희 -28
 제3장 삼국시대의 전통연희 
 삼국시대 전통연희의 전반적 성격 -36
 삼국의 전통연희 -38
─ 고구려의 전통연희 38│백제의 전통연희 53│신라의 전통연희 54 
 삼국시대의 연희 담당층 -61
 제4장 통일신라시대의 전통연희 
 통일신라시대 전통연희의 전반적 성격 -68
 처용무 -70
「향악잡영 5수」의 다섯 가지 연희 -77
 제5장 삼국시대의 전통연희와 서역ㆍ중국 연희의 관련성 
 실크로드를 통한 서역과 한국 문화의 교류 양상 -90
 벽화로 본 서역ㆍ중국ㆍ한국의 교류 양상 -99
 서역ㆍ중국ㆍ한국 연희의 교류 양상 -111
─ 산악ㆍ백희 관련 기록과 도상 자료 111│산악ㆍ백희의 교류 양상 128
 제6장 고려시대의 전통연희 
 고려시대 전통연희의 전반적 성격 -162
 팔관회의 전통연희 -166
 연등회의 전통연희 -173
 나례의 전통연희 -183
 우란분재의 전통연희 -195
 수희의 전통연희 -199
 그 밖의 행사에서 연행된 전통연희 -203
 고려시대의 연희 담당층 -210
─ 북방 민족 계통 수척 210│재승 계통 연희자 214│서역 계통 연희자 216 
 제7장 조선시대의 전통연희 
 조선시대 전통연희의 전반적 성격 -228
 나례의 전통연희 -230
 중국 사신 영접 행사의 전통연희 -238
 환궁 행사의 전통연희 -251
 문희연의 전통연희 -254
 불교 행사의 전통연희 -266
 그 밖의 행사에서 연행된 전통연희 -273
 조선시대의 연희 담당층 -284
─ 세습무계 연희자 285│북방 민족 계통 수척과 반인 288│북방 민족 계통│재인촌과 재인 294│재승 계통 연희자 297

2 전통연희의 새로운 양상 
 제1장 가면극의 성립과 발전 
 가면극의 성립 배경과 특징 -324
 가면극의 기원 -327
─ 산대희 기원설 327│기악 기원설 329│제의 기원설 337│실제적 목적 339│기원설 340│산악ㆍ백희 기원설 
 가면극의 계통 342
─ 본산대놀이 계통 가면극 342│마을굿놀이 계통 가면극 401│그 밖의 가면극 410 
 제2장 판소리의 성립과 발전 
 판소리의 성립 배경과 특징 -424
 판소리의 기원 -430
─ 설화 기원설 430│문장체 소설 선행설 431│무굿 기원설 434│서사무가 기원설 435│창우 집단의 광대소리 기원설 438│광대 소학지희 기원설과 우희 영향설 440│중국 강창문학 영향설 443 
 판소리의 전개와 변모 -447
─ 판소리의 형성기 447│판소리의 성장기 449│판소리의 변모기 451│일제시대의 판소리와 창극 454 
 판소리의 유파 -458
─ 동편제의 전승 계보 460│서편제의 전승 계보 461│중고제의 전승 계보 463 
 제3장 인형극의 성립과 발전 
 꼭두각시놀이의 기원 -468
 꼭두각시놀이의 계통 -475
 꼭두각시놀이의 연희 내용 -482
 발탈의 성립 -493
 발탈의 연희 내용 -498
 제4장 무극의 성립과 발전 
 무극의 성립 -504
 무극의 연희 내용 -506
─ 농경의례로서의 무극 507│장송의례로서의 무극 512│치병의례로서의 무극 516│우희의 성격을 띤 무극 520│가면극의 영향으로 성립된 무극 525
 제5장 조선 후기의 다양한 유랑예인집단 
 조선 후기 유랑예인집단의 활동상 -532
─ 남사당패 533│사당패 536│대광대패 540│솟대쟁이패 541│초라니패 543│풍각쟁이패 546

참고문헌 -552
찾아보기 -5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