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인제대학교 통일교육선도대학사업단) 통일교육 : 한반도 평화를 보는 12가지 시선 / 글 : 진희관,진희권,김일한,이춘근,안병민,안지영,김창근,전영선,문인철,황교욱,진시원,서보혁
(인제대학교 통일교육선도대학사업단) 통일교육 : 한반도 평화를 보는 12가지 시선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인제대학교 통일교육선도대학사업단) 통일교육 : 한반도 평화를 보는 12가지 시선 / 글 : 진희관,진희권,김일한,이춘근,안병민,안지영,김창근,전영선,문인철,황교욱,진시원,서보혁
  • ·발행사항 서울 : 늘품플러스, 2020
  • ·형태사항 333 p. :천연색삽화, 도표, 지도 ;22 cm
  • ·주기사항 참고문헌 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88024360  03340: \17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40.911  듀이십진분류법-> 320.9519  
  • ·주제명 남북 통일[南北統一]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글: 진희관,진희권,김일한,이춘근,안병민,안지영,김창근,전영선,문인철,황교욱,진시원,서보혁 2020 SE0000507466 340.911-20-25 일반자료실(2층) 대출 가능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북한이란 어떤 나라인가? 

서론 한반도의 통일이란 무엇인가-진회관-8

제1장 북한의 정치 
Ⅰ. 북한 정치의 특징 -20
Ⅱ. 북한의 사상 -29
Ⅲ. 조선로동당의 역할과 기능 -34
Ⅳ. 북한 정부의 구조와 기능 -42

 제2장 김정은 시대 북한 경제정책의 완성조건: 한반도경제공동체 
Ⅰ. 북한의 경제 환경평가: 대전환기의 한반도 정세 -50
Ⅱ. 김정은 시대의 경제개혁조치: ‘우리식 경제관리방법’ -57
Ⅲ. 북한경제의 발전 조건: 한반도경제공동체 -82

 제3장 북한의 과학기술정책과 핵무기 개발 동향 
Ⅰ. 서론 -94
Ⅱ. 지식경제와 전민과학기술인재화 추진 동향 -95
Ⅲ. 핵무기 개발과 미사일 고도화 -100
Ⅳ. 전망 -102

 제4장 북한의 교통 
Ⅰ. 북한에서의 교통이란? -106
Ⅱ. 북한에서의 교통 분류와 특성은? -109
Ⅲ. 북한의 철도 -111
Ⅳ. 북한의 도로 -116
Ⅴ. 북한의 해운, 항만 -122
Ⅵ. 북한의 항공 -126
Ⅶ. 북한의 도시 교통 -129
Ⅷ. 북한 교통의 새로운 변화 -132

 제5장 북한의 사회문화 1: 북한 주민생활 
Ⅰ. 북한 주민의 변화: 집단으로부터 개인의 발견으로 -136
Ⅱ. 북한 주민생활: 생애과정, 조직생활, 의식주, 여가·명절 -138
Ⅲ. 시장화에 따른 주민생활 및 가치관 변화 -162

 제6장 북한의 사회문화 2: 북한의 교육정책과 제도 
Ⅰ. 북한 교육을 보는 관점: 지속과 변화 -172
Ⅱ. 북한의 교육정책 -173
Ⅲ. 북한의 교육 제도 -180
Ⅳ. 김정은 시대 북한 교육의 지속과 변화 -194
Ⅴ. 북한 교육의 발전을 위하여 -196

 제7장 북한의 문학과 예술 
Ⅰ. 북한 문학과 예술의 정체 -200
Ⅱ. 북한 문학과 예술의 지향 -204
Ⅲ. 북한에서 ‘좋은 작품’이란 -206
Ⅳ. 북한 문학과 예술의 특성 -209
Ⅴ. 김정은 시대의 북한 문학 -216
Ⅵ. 김정은 시대의 아이콘 모란봉전자악단 -220
Ⅶ. 화려해지고 다양한 퍼포먼스의 공연예술 -224
Ⅷ. 어떻게 될 것인가? -226

통일과 평화를 위한 한반도의 미래 
 제8장 남북교류협력의 의미: 한반도 평화와 번영을 위한 노력 
Ⅰ. 서론 -232
Ⅱ. 한반도 분단체제 이해하기 -235
Ⅲ. 남북교류협력의 이론적 토대: (신)기능주의 이론 -239
Ⅳ. 남북교류협력의 의미 -243
Ⅴ. 남북교류협력의 역사와 현황 -247
Ⅵ. 결론 -258

 제9장 지방의 남북교류협력의 새로운 접근: 분권형 대북정책과 평화경제 구상 
Ⅰ. 서론 -264
Ⅱ. 지방의 남북교류협력 20년사 (1998~2017) -266
Ⅲ. 지방 남북교류협력의 정책 환경 변화 -273
Ⅳ. 지방 차원의 한반도 평화경제 구상 -282

 제10장 남북한 통합은 어떻게 이루어야 하나? 
Ⅰ. 서론 -290
Ⅱ. 남북한 통일 방안 비교 -291
Ⅲ. 통합이란? -294
Ⅳ. 남북한 통합 -298
Ⅴ. 유럽통합 -303
Ⅵ. 북한의 체제변화에 따른 남북한 통합 시나리오 -306

 제11장 한반도 평화로 가는 세 개의 길 
Ⅰ. 들어가는 말 -316
Ⅱ. 평화의 정의와 유형 -318
Ⅲ. 한반도 평화로 가는 세 길 -323
Ⅳ. 맺음말 -3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