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기억과 증언 : 소설로 읽는 분단의 역사 / 이병수,윤여환,남경우,김종군,김종곤,박재인,한상효,곽아람,박성은,전영선 지음
기억과 증언 : 소설로 읽는 분단의 역사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기억과 증언 : 소설로 읽는 분단의 역사 / 이병수,윤여환,남경우,김종군,김종곤,박재인,한상효,곽아람,박성은,전영선 지음
  • ·발행사항 서울 : 씽크스마트, 2020
  • ·형태사항 300 p. ;21 cm
  • ·총서사항 (더 생각 인문학 시리즈 ;10)
  • ·주기사항 참고문헌 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65292272  03810: \138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813.6209  듀이십진분류법-> 895.73409  
  • ·주제명 한국 현대 소설[韓國現代小說]소설 평론[小說評論]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이병수,윤여환,남경우,김종군,김종곤,박재인,한상효,곽아람,박성은,전영선 지음 2020 SE0000507255 813.6209-20-4 인문예술자료실(1층) 대출 가능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머리말 · 상처 난, 침묵된, 지워진 분단의 역사를 문학과 사람으로 채워 읽다_김종군 -008

1 불완전한 해방이 빚은 한국현대사의 비극적 존재, 빨치산_이병수-016
조정래의 『태백산맥』은 분단 체제의 전사를 이루는 해방 정국의 숱한 사건들을 다루면서 한반도 분단의 뿌리와
분단 극복의 가능성을 모색한다는 데 문학적, 역사적 의의가 있다. 『태백산맥』은 우리 민족의 숙원이었던 민주주의와
민족통일을 총체적으로 형상화하려 한 작품이다.

2 메마른 하늘에 울려 퍼진 민중의 소리_윤여환-046
그동안 단순 공산주의 폭동으로 왜곡되고 삭제되었던 대구 10월 사건. 그러나 전명선의 「방아쇠」는 해방 이후
최초의 민주화 운동으로서 9월 총파업과 대구 10월 사건을 다루고 있다. 「방아쇠」 다시 읽기는 곧 분단의 논리에
따라 삭제되고 왜곡되었던 해방정국의 역사를 제대로 기억하기 위한 시도다.

3 순이 삼촌의 일생으로 비극의 역사를 말하다_남경우 -078
현기영은 「순이 삼촌」에 등장하는 순이 삼촌의 삶과 죽음을 통해 제주 4·3이 남긴 상처 그 자체를 드러냈다. 당시
사람들은 여전히 그때의 상처를 말하지 못한 채 살아가고 있다. 그 같은 상처를 또 다시 겪지 않고 싶기 때문이다.
우리는 「순이 삼촌」으로 제주 4·3을 끊임없이 기억해야 한다.

4 국가에 의해 설계된 악, 국가폭력의 시작_김종군 -106
지금까지도 ‘여순 반란’이라 명명되는 여순 사건은 국가가 공식적으로 행한 최초의 양민학살이었고 국가폭력이었다.
드물게 여순 사건을 문학작품으로 남긴 양영제 작가의 『여수역』은 생존자들의 구술과 과거사정리위원회의 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국가폭력의 잔혹성을 고발한다.

5 골짜기의 비탄을 기억하라!_김종곤 -142
국민보도연맹 사건을 다루는 4편의 문학작품, 최용탁의 「어느 물푸레나무의 기억」과 조갑상의 『밤의 눈』과
「물구나무서는 아이」, 그리고 이창동의 「소지」를 통해 당시 보도연맹이 자신과 다른 정치적 입장과 이데올로기를
가진 자를 철저하게 감시·통제·배제하는 반민주적 기구였다는 것을 다시 한번 짚어본다.

6 한국전쟁의 숨은 이야기, 마을전쟁_박재인 -176
임철우의 「곡두 운동회」는 마을전쟁의 과정과 그 속에 놓인 사람들의 감정과 욕망을 잘 보여주는 작품이다.
전쟁 이전부터 존재했던 갈등과 원한이 폭력적으로 배출된 결과물인 마을전쟁은 한국전쟁 시기 곳곳에서 벌어졌다.
「곡두 운동회」 속 마을전쟁을 통해 여전히 대물림되고 있는 분단과 전쟁, 원한과 복수의 역사를 돌아본다.

7 전쟁의 또 다른 주체, 중국의 시각에서 본 한국전쟁_한상효 -198
전쟁 미체험 세대인 김연수가 발표한 「뿌넝숴不能說」는 ‘타자되어 말하기’를 통해 기존 세대들과는 다른 관점에서
한국전쟁을 바라보고 있다. 「뿌넝숴不能說」는 한국전쟁 시기 중국군 참전이라는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역사에는
기록되어 있지 않은 전쟁에 참여했던 개인들의 이야기, 그 고통과 비참함에 대해 이야기한다.

8 회귀본능과 심리적 애착의 공간, 고향_곽아람 -222
이호철의 「탈향」은 실향민으로 살던 저자가 갖고 있던 고향에 대한 귀향의식이 표출된 결과물이다. 우리 민족에게
있어서 고향은 삶의 터전이자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함께하는 공간이었다. 그러나 흥남철수작전 이후 발생한 수많은
실향민들은 살기 위해서 더 이상 돌아갈 수 없는 고향에 대한 회귀본능을 억제해야만 했다.

9 수복지구 사람들의 끝나지 않은 전쟁_박성은 -242
이경자의 『순이』와 『세 번째 집』, 이순원의 「잃어버린 시간」, 그리고 박완서의 「빨갱이 바이러스」는 38선을
통해 생겨난 수복지구 원주민들의 삶을 다루고 있다. ‘잠재적 간첩’ 취급을 받으며 상호 감시체제 아래에서 고통 받던
이들은 전쟁이 끝난지 수십 년이 지난 뒤에도 여전히 ‘빨갱이’라는 꼬리표를 단 채 살아가고 있다.

10 아버지의 죽음으로 이어진 혈육의 끈_전영선 -270
1992년 8월, 한중수교가 이루어지면서 이산가족들은 북한과 국경을 접하고 있는 일부 지역에서 은밀한 만남을 갖기
시작했다. 이 당시를 배경으로 한 이문열의 「아우와의 만남」은 타국의 접경지에서 이루어진 이산가족의 은밀한
접촉과 현대사의 영원한 상처로 남을 분단의 아픔을 그렸다.

참고자료 -292
〈기억과 증언〉을 만든 사람들 -2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