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역사여명기의 종족 정체성 / 엮은이 : 이성주 ;지은이 : 이성주,심재훈,윤재석,오강원,홍형우,김창석,정인성,김재홍
역사여명기의 종족 정체성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역사여명기의 종족 정체성 / 엮은이 : 이성주 ;지은이 : 이성주,심재훈,윤재석,오강원,홍형우,김창석,정인성,김재홍
  • ·발행사항 과천 : 진인진, 2018
  • ·형태사항 358 p. :삽화, 지도 ;23 cm
  • ·총서사항 (한국 상고사 재정립을 위한 동북아와 유럽의 역사학 및 고고학의 학제적 연구 ;02)
  • ·주기사항 한자표제:歷史黎明期의 種族 正體性
    참고문헌 수록
    영어 요약 있음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63473857  93900: \25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902.5  듀이십진분류법-> 930.1  
  • ·주제명 고고학[考古學]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엮은이: 이성주 ;지은이: 이성주,심재훈,윤재석,오강원,홍형우,김창석,정인성,김재홍 2018 SE0000506606 902.5-20-2 인문예술자료실(1층) 대출 가능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목차
제1장 서설: 역사여명기의 종족 정체성 이성주-7

제2장 물질문화, 집단의 영역 그리고 종족 정체성 이성주-27
Ⅰ. 머리말-27
Ⅱ. 時-空間의 유형화를 넘어서-30
Ⅲ. 범주와 계통을 넘어서-39
Ⅳ. 역사여명기의 집단과 정체성-47
Ⅴ. 맺음말-53

제3장 商周 문명의 확산과 自他 인식 심재훈-63
Ⅰ. 머리말-63
Ⅱ. 商代 자타의식의 태동-66
1. 商代 청동예기의 확산-66
2. 商代 卜辭의 타자 方-74
Ⅲ. 서주시대의 변용-82
1. 서주 청동 예기의 지리적 층차-82
2. 서주 금문의 자타 인식-93
Ⅳ. 맺음말-103

제4장 고대중국의 이민족 인식과 변별체계: 秦의 非秦人 인식과 점령지 지배를 중심으로 윤재석-113
Ⅰ. 머리말-113
Ⅱ. 秦의 諸侯國 인식과 新地의 지배방식-114
Ⅲ. 臣邦의 변별과 지배방식-133
Ⅳ. 맺음말-140

제5장 청동기-철기시대 동북아시아 제 지역의 물질문화와 상호작용권의 형성과 변형 오강원-147
Ⅰ. 머리말-147
Ⅱ. 청동기-철기시대 동북아시아의 상호작용권-150
1. 지역 별 물질문화의 전개-150
2. 주요 상호작용권의 형성-167
Ⅲ. 동북아시아 상호작용권의 변동 양상과 배경-175
1. 단계 별 상호작용권의 변동 양상-175
2. 상호작용권 변동의 배경-183
Ⅳ. 맺음말-191

제6장 초기철기시대 극동지역 고고학 자료와 종족연구 홍형우-201
Ⅰ. 머리말-201
Ⅱ. 극동지역의 종족연구와 퉁구스-만어민족의 연구사적 배경-203
Ⅲ. 극동지역 초기철기시대 고고자료와 종족-210
1. 극동지역 초기철기시대 전기의 양상-214
2. 극동지역 초기철기시대 후기의 양상-217
Ⅳ. 맺음말-225

제7장 한국 고대 주민집단의 種族性에 관한 認識의 전개와 특징 김창석-231
Ⅰ. 머리말-231
Ⅱ. 주민집단과 종족에 관한 연구의 흐름-232
1. 종족의 분포와 이동-233
2. 언어와 물질자료에 착안한 연구-238
3. 민족의 기원과 종족-240
4. 근래의 연구 동향-243
Ⅲ. 種族性에 관한 인식의 특징-245
Ⅳ. 맺음말: 연구의 전망을 겸하여-250

제8장 新 製陶技術의 확산과 東아시아 諸 地域의 土器文化 再編 정인성-259
Ⅰ. 머리말-259
Ⅱ. 新 製陶技術 발원지 토기문화의 이해-262
1. 전국시대 燕國의 灰陶-262
2. 2종류의 燕國 煮沸器-267
Ⅲ. 전국시대 燕式 釜形土器의 변천과 확산-272
1. 선행연구의 검토와 연식 부형토기의 변천-272
2. 전형 연식 부형토기의 東界-279
Ⅳ. 세죽리-연화보 토기 속의 신 제도기술-282
1. 세죽리-연화보유형 토기의 검토-282
2. 기타 관련 유적의 검토-295
Ⅴ. 맺음말-304

제9장 삼국시대의 종족과 계통의식: 韓과 濊를 중심으로 김재홍-311
Ⅰ. 머리말-311
Ⅱ. 삼국시대의 종족-313
1. 광개토대왕비에 보이는 韓穢-313
2. 삼국지 동이전의 예-320
Ⅲ. 생업적 측면의 종족-324
1. 예족의 생업-324
2. 한족의 생업-330
3. 한·예의 생업-332
Ⅳ. 맺음말-335

지은이소개-339
English Summary
Ethnic Identity at the Dawn of History-3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