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붓다에게는 어머니가 있었다 : 불교의 위대한 여성 마하마야 / 선일스님,고승희,김신명숙,안양규,옥복연,이미령,주수완,최명희,최우혁 함께 씀 ;종교와젠더연구소 엮음
붓다에게는 어머니가 있었다 : 불교의 위대한 여성 마하마야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붓다에게는 어머니가 있었다 : 불교의 위대한 여성 마하마야 / 선일스님,고승희,김신명숙,안양규,옥복연,이미령,주수완,최명희,최우혁 함께 씀 ;종교와젠더연구소 엮음
  • ·발행사항 서울 : 동연, 2020
  • ·형태사항 347 p. :삽화 ;23 cm
  • ·총서사항 (종교와젠더연구소 총서 ;1)
  • ·주기사항 참고문헌 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64475751  04220: \18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225.827  듀이십진분류법-> 294.337  
  • ·주제명 여성 불교[女性佛敎]불교 사회학[佛敎社會學]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선일스님,고승희,김신명숙,안양규,옥복연,이미령,주수완,최명희,최우혁 함께 씀 ;종교와젠더연구소 엮음 2020 SE0000505681 225.827-20-2 인문예술자료실(1층) 대출 가능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추천의 글-5
머리말-9
제1부 경전에 나타난 마야왕비-19
마하마야, 그녀는 누구인가? ― 초기 경전을 중심으로 / 선일스님-21
I. 붓다가 될 보살을 인한 보살은 어디에?-21
II. 부처님의 부모-23
III. 마하마야의 생애-27
1. 마하마야-27
2. 불모(佛母)로 선택받은 마하마야-30
3. 아살하 보름, 마하마야의 임신-34
4. 정해진 법칙, 담마따의 마하마야-37
5. 위사카 보름, 마하마야의 출산-41
6. 마하마야의 죽음-44
7. 사후(死後)의 마하마야-45
IV. 붓다로 인도한 보살, 마하마야-47
대승경전이 들려주는 마야왕비 이야기 / 이미령-53
I. 붓다의 어머니를 말한다는 것-53
II. 마야왕비를 말하는 대승경전 세 가지-55
1. 지옥의 괴로움을 묻는 『지장경』-55
2. 슬픔으로 가득 찬 『마하마야경』-58
3. 구도자를 일깨우는 『대방광불화엄경』 속의 『입법계품』-71
III. 마야왕비, 구도자에서 선지식으로-83
제2부 생애사를 통해 본 마야왕비-87
심리학적 관점으로 바라본 마야왕비의 꿈 / 최명희-89
I. 여성적 가치관의 시대를 열다-89
Ⅱ. 마야왕비의 꿈 해석하기-91
1. 마야왕비의 이름에 나타나는 심리적 상징성-91
2. 마야왕비의 꿈으로 나타나는 상징들-94
3. 코끼리의 상징-99
4. 하얀 코끼리는 무엇을 의미하는가?-102
5. 숫자가 나타내는 상징-103
6. ‘땅’은 존재의 뿌리 영역을 상징한다-105
7. 어머니의 상징-106
8. 마야왕비의 죽음은 무엇을 의미하는가?-110
Ⅲ. 마야왕비, 여성 영웅의 상징-112
보살의 탄생과 마야(摩耶)왕비의 죽음 / 안양규-117
I. 보살이 선택한 어머니 마야왕비-117
II. 마야왕비의 임신과 출산-120
1. 보살의 어머니 선택-120
2. 마야왕비의 수태와 태몽-123
3. 임신 중 마야왕비의 건강 상태-127
4. 마야왕비의 출산-132
III. 마야왕비의 죽음 원인에 관한 논의-140
IV. 보살의 잉태를 서원한 마야왕비-147
제3부 불교문학에 나타난 마야왕비-151
인도 미술에 등장하는 마야왕비의 도상학 / 주수완-153
I. 마야왕비, 석가의 탄생을 세심하게 준비하다-153
Ⅱ. 불교미술에 등장하는 마야왕비의 다양한 모습들-156
1. 회임-156
2. 출산-165
3. 카필라성으로의 귀환(종원환성從園還城)-176
4. 상사점간相師占看-179
5. 도리천에서의 마야왕비-183
Ⅲ. 마야왕비의 숭고한 신앙적 위상-187
한국 역사 속 마야왕비 신앙
― 인도, 일본의 사례를 포함한 여신 신앙의 관점에서 / 김신명숙-191
I. 한국 역사에서 주변화된 마야왕비-191
II. 한국 역사에 나타난 마야왕비-192
1. 지리산 성모와 마야왕비-192
2. 삼국시대와 통일신라시대의 마야왕비-199
3. 일본과 인도의 마야 신앙과 출산의 여신-208
4. 한국역사 속 마야 신앙 다시 보기-214
III. 불교 여신 혹은 여성 부처로서의 마야부인-218
조선시대 불교회화로 만나는 마하마야와 여성 신도들 / 고승희-221
I. 팔상도八相圖로 만나는 마야왕비-221
II. 불화로 재현된 마야왕비와 여성 불자들-224
1. 석가모니 생애를 그린 ‘팔상도’와 마야왕비-224
2. 조선시대 ‘팔상도’의 의미와 마야왕비의 묘사-227
3. ‘팔상도’에서 존경과 경배의 대상으로 재현된 마야왕비-233
4. 조선시대 불화 조성의 주체: 여성 발원자 및 시주자-240
III. 민중들의 존경과 경배의 대상 마야왕비-248
제4부 마야왕비에 대한 현대적 재해석-251
마야왕비에 대한 불교여성주의적 재해석 / 옥복연-253
Ⅰ. 여성이 지워진 불교사에서 마야왕비 찾기-253
Ⅱ. 역사에서 지워진 여성 이야기의 복원-257
1. 여성이 지워진 역사는 미완의 역사-257
2. 여성의 관점으로 복구되어야 할 여성의 이야기들-260
3. 지워진 여성 이야기를 복원하는 방법-263
Ⅲ. 마야왕비를 통한 가부장적 이데올로기의 극복-267
1. 가부장적 모성에서 사회적 모성의 보살로-267
2. 부정한 몸에서 천신이 보호하는 성스러운 신전으로-272
3. 열등한 여성에서 대원과 지혜를 갖춘 뛰어난 스승으로-275
4. 불모(佛母)이자 성모(聖母)인 마하마야-278
Ⅳ. 마야왕비를 통해 붓다의 가르침 회복하기-281
가톨릭교회의 성스러운 어머니, 나자렛의 마리아
: 가톨릭교회의 성모 마리아와 마야왕비 비교 연구 / 최우혁 미리암-285
I. 마리아를 향하여-285
II. 성경 안에서 만나는 마리아-287
1. 마태오복음-289
2. 루카복음-290
3. 요한복음-296
4. 사도행전-297
III. 하느님의 어머니로 공경 받는 인간 여성 마리아-297
1. 동정녀 마리아(Beata Virgine) ― 역사적 예수의 어머니-299
2. 교회의 원형, 교회의 어머니 ― 처녀이신 어머니(Virgo-Mater)-302
3. 말씀을 품고 낳은 하느님의 어머니(Theotokos/Mater Dei)-303
IV. 남성 서사 안의 젠더 역할과 여성성의 모델-308
1. 원죄 없이 잉태되신 분(Immaculatae Conceptionis)-309
2. 시온의 딸, 부르심에 응답한 젊은 여성-312
3. 일상의 고통을 성찰하며 극복한 여성-315
4. 하늘에 오르신 분(Assumptio): 시공을 초월하여 현존하는 신앙의 동반자-320
V. 거룩한 생명의 담지자 성모 마리아-322
부록
위대한 여성, 마하마야 페스티벌 / 성평등불교연대-327
1. 왜 마하마야 페스티벌인가?-327
2. 마하마야를 위한 헌시-330
3. 위대한 여성 마하마야 페스티벌 개최 현황-332
4. 마하마야 페스티벌을 주관하는 '성평등불교연대' 소개-335

참고문헌-337
지은이 알림-3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