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초등교사와 학부모를 위한) 인공지능 시대와 초등사회과 교육 / 이현지 지음
(초등교사와 학부모를 위한) 인공지능 시대와 초등사회과 교육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초등교사와 학부모를 위한) 인공지능 시대와 초등사회과 교육 / 이현지 지음
  • ·발행사항 서울 : 살림터, 2019
  • ·형태사항 305 p. ;23 cm
  • ·주기사항 참고문헌: p. 296-305
    2018년도 계명대학교 연구기금으로 이루어짐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59300943  93370: \16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75.43  듀이십진분류법-> 372.89  
  • ·주제명 초등 사회[初等社會]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이현지 지음 2019 SE0000504884 375.43-20-1 일반자료실(2층) 대출 가능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목차

머리말-5 

제1부 인공지능 시대와 교육 

제1장 인공지능 시대 진단-17 
1. 인공지능 시대를 이해하다-19 
인공지능의 차원-19 | 강인공지능의 등장-20 
2. 인공지능에 대한 입장을 탐색하다-22 
인공지능의 진화에 대한 입장-22 | 인공지능과 인간의 욕구-24 
3. 인공지능 시대의 사회상을 그리다-27 
로봇의 시민권-27 | 인공지능과 인간의 공존-29 
4. 인공지능 시대, 삶의 변화를 상상하다-30 
인공지능 시대 가족-30 | 수행처로서의 가족-31 | 완전히 다른 삶-33 

제2장 새로운 시대의 스승과 제자-37 
1. 현대 교육의 스승과 제자를 분석하다-39 
현대 교육의 목표-39 | 현대 교육에서 사제관계-40 | 사제관계의 위기-41 
2. 본으로서의 스승과 스스로 구하고자 하는 제자를 꿈꾸다-43 
본으로서의 스승상-43 | 스승과 제자의 사랑-46 
3. 이상적인 사제관계를 유가에서 배우다-51 
교학상장-51 | 이상의 공유-54 
4. 진정한 사제관계를 모색하다-58 
율곡의 교육개혁-58 | 유가 사제관계의 의미-60 

제3장 인공지능 시대와 교육적 인간상-63 
1. 현대 교육을 비판하다-65 
현대 교육 목표에 대한 반성-65 | 낡은 교육관-66 
2. 이상적인 교육관을 유가에서 찾다-69 
공자의 교육 목표-69 | 스승의 역할-70 | 제자의 역할-71 | 교육의 원칙-72 | 
교육의 방법-74 
3. 도道와 하나가 되는 인간상을 구현하다-79 
이상적 인간상-79 | 복례復禮하는 인간-81 
4. 공감하는 인간을 기르다-85 
공감능력-85 | 본성회복-87 

제4장 인공지능 시대와 마음교육-89 
1. 초등사회과 교육의 과제로서 마음교육을 탐색하다-91 
마음의 문제-91 | 마음공부의 필요-92 | 『주역』과 마음공부-93 
2. 마음교육을 통한 본성발현을 목표로 하다-96 
본성발현-96 | 본성발현과 마음공부-97 
3. 에고로부터의 자유를 추구하다-101 
아상我想은 허상-101 | ‘나’라는 생각으로부터의 자유-102 | ‘나’라는 마 
음 내려놓기-104 
4. 마음교육으로 지금 여기를 살다-106 
지금 여기-106 | 대아大我로서의 자기-107 | 마음교육의 목표-110 | 『주 
역』을 활용한 마음공부의 의미-111 

제5장 인공지능 시대와 교육의 목표-113 
1. 교육의 해답을 마음교육에서 찾다-115 
내면으로 향하는 관심-115 | 공자 마음공부의 의미-117 
2. 인仁한 존재로서의 우주적인 나를 발견하다-119 
인간 존엄성에 대한 자각-119 | 자기 존중과 지속적인 수행-121 | 일상에 
서 만나는 초월적 자아-123 
3. 일상생활에서 나를 닦다-125 
마음공부의 터전으로서의 일상-125 | 마음공부로서의 효제孝悌-126 | 나
를 미루어 상대를 배려하는 충서忠恕-129 
4. 사회 속에서 마음공부를 하다-131 
마음공부와 정치-131 | 나라 다스리는 자의 마음공부-133 | 마음공부와 
편안한 세상-135 | 마음공부와 이상사회-137 | 공자 마음공부의 탈현대
적 의미-140 

제2부 인공지능 시대와 초등사회과 교육의 내용 

제1장 초등사회과 다문화교육-145 
1. 다문화 사회를 살다-147 
다문화의 현주소-147 | 다문화교육 진단-148 | 초등사회과 교과서의 다
문화 요소-149 | 초등사회과 다문화교육의 의미-152 
2. 본성회복을 통한 정체성 교육을 하다-156 
정체성이란-156 | 유가의 본성-157 
3. 다문화 역량을 키우다-160 
다문화적 역량-160 | 대대적 대립관-161 
4. 사회정의를 고찰하다-164 
사회정의-164 | 근대적 인간관의 한계-166 | 공자의 인간관-166 | 인한 
본성과 사회정의-167 | 다문화교육과 교사교육-169 

제2장 초등사회과 리더십교육-171 
1. 리더십을 생각하다-173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 목표-173 | 제4차 산업혁명과 현대 교육
-174 | 리더십교육-175 | 『목민심서』와 리더십교육-176 | 초등사회과 시민
교육의 내용-177 | 초등사회과 리더십교육-178 | 초등사회과 리더십교육
의 필요성-180 
2. 스스로를 다스리는 리더가 되다-183 
『목민심서』의 구성-183 | 스스로 다스리는 일상-184 | 스스로 계발함-184 
3. 사랑을 베푸는 리더를 지향하다-187 
리더의 공동체에 대한 사랑-187 | 약자와 공감하는 리더-188 
4. 목민심서의 리더십 지혜를 배우다-191 
리더십과 『목민심서』의 의미-191 | 새로운 시대와 리더십-192 | 제4차 산
업혁명과 리더십-193 

제3장 초등사회과 인성교육-195 
1. 인공지능 시대의 인간상을 기르다-197 
인공지능 시대의 인간상-197 | 인성교육-198 | 제4차 산업혁명 시대, 현
대 교육의 한계-199 |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인간상-201 | 제4차 산업
혁명과 미래교육-202 | 초등학교 인성교육의 의미-204 | 초등학교 인성
교육의 실태-205 | 인성교육의 본질-206 
2. 생활교육을 통한 인성교육을 하다-208 
『소학』 교육의 특징-208 | 『소학』과 생활교육-209 
3. 절도節道교육으로 인성교육을 실천하다-211 
절도교육과 인간관계-211 | 일상 예절과 예의 이상-212 
4. 자기교육으로 인성을 함양하다-215 
자기교육-215 | 효의 실천과 자기교육-216 | 인성교육에 대한 『소학』의 
지혜-218 | 『소학』의 인성교육적 가치-220 

제4장 초등사회과 생활교육-223 
1. 초등사회과 생활교육의 답을 찾다-225 
교육사상가로서의 율곡-225 | 율곡의 사회사상-227 | 현대 사회의 문제
-227 | 현대 사회문제의 원인-229 
2. 인간의 본질을 이해하다-232 
인간 본성에 대한 이해-232 | 도학적 인간관-233 
3. 대동大同과 화和를 추구하다-236 
관계의 원칙-236 | 화和의 의미-238 
4. 행동과 실천을 노력하다-240 
일상에서 실천 강조-240 | 지식보다는 실천 중시-241 | 율곡의 교육개혁
-242 | 경제관-부족함이 문제가 아니라 고르지 못함이 문제-244 | 율곡
사상의 탈현대적 함의-246 

제5장 초등사회과 공동체교육-251 
1. 초등사회과 공동체교육을 진단하다-253 
현대 사회와 공동체-253 | 인공지능 시대와 공동체교육-254 | 인공지능 
시대와 사회 변화-255 | 새로운 시대 공동체교육의 해법-256 |  초등사회
과 공동체교육의 실태-257 
2. 경계 없는 사랑으로 공동체를 살다-263 
사랑으로서의 인仁-263 | 나와 너의 경계를 넘어서는 사랑으로서의 인仁 
-265
3. 영원한 사랑으로 공동체를 유지하다-267 
천부적인 도덕성으로서의 인仁-267 | 지속적일 수 있는 인仁의 속성-268 
4. 참나와의 만남을 통한 사랑을 공동체에서 실현하다-271 
인仁한 존재로서의 나-271 | 현대인과 공동체교육-274 

제6장 초등사회과 생태교육-277 
1. 초등사회과 생태교육의 현실을 보다-279 
생태교육에 대한 인식-279 | 생태붕괴의 문제-280 
2. 사회생태의 혼란을 분석하다-282 
적대적 대립관-282 | 적대적 대립관과 남녀관계-283 | 적대적 대립관과 
집단관계-285 
3. 대대적 대립관에서 사회생태의 답을 발견하다-287 
대대적 대립관-282 | 음양론-288 
4. 조화로운 사회생태를 그리다-290 
부조화의 현대 사회생태-290 | 조화로운 사회생태-291 

참고 문헌-2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