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생활과 윤리' 동양윤리와 만나다 / 동양윤리교육학회 편 ;고재석,김기현,김민재,박병기,안영석,이상호,이영경,이우진,장승희 저
'생활과 윤리' 동양윤리와 만나다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생활과 윤리' 동양윤리와 만나다 / 동양윤리교육학회 편 ;고재석,김기현,김민재,박병기,안영석,이상호,이영경,이우진,장승희 저
  • ·발행사항 서울 : 씨아이알, 2020
  • ·형태사항 vii, 309 p. ;23 cm
  • ·주기사항 색인 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56108283  93190: \18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190.1091  듀이십진분류법-> 170.95  
  • ·주제명 동양 윤리[東洋倫理]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동양윤리교육학회 편 ;고재석,김기현,김민재,박병기,안영석,이상호,이영경,이우진,장승희 저 2020 SE0000504854 190.1091-20-1 인문예술자료실(1층) 대출 가능 0 - 인쇄자료(책자형) 
동양윤리교육학회 편 ;고재석,김기현,김민재,박병기,안영석,이상호,이영경,이우진,장승희 저 2020 SE0000504855 190.1091-20-1=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목차

머리말 v

1
현대인의 삶과 동양윤리사상 
I. 삶의 문제와 동양윤리사상의 본질-3 
II. 윤리문제에 대한 동양윤리적 성찰과 탐구-14 
III. 현대의 윤리문제에 대한 동양윤리적 적용과 해결방안의 모색-24 

2
동양사상에 나타난 생사관의 윤리적 의미 
I. 머리말-37 
II. 죽음의 철학적ㆍ심리학적 의미-39 
III. 동서양의 생사관의 특성-41 
IV. 동양사상의 생사관-45 
V. 생사관의 윤리적 의미-59 

3 유교적 부부관계에 대한 재조명 
I. 올바른 부부관계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67 
II. 유교적 부부관계에 대한 부정적 인식-69 
III. 유교적 부부관계에 대한 재조명 노력-75 
IV. 유교적 부부관계의 도덕교육적 활용 방안-83 
V. 남은 과제들-90 

4 사회정의의 기초, 유학에서 규정한 의(義)의 의미 
I. 생명보다 귀한 가치, 의-99 
II. 마음에 선험적으로 내재하는 도덕 준칙-101 
III. 상황에 맞게 드러나는 중용 준칙-105 
IV. 어진 마음에 기초하는 보편 준칙-109 
V. 옳음을 위한 유일한 길, 수양과 덕치-116 

5 직업과 청렴의 윤리 
I. 장인(匠人) 정신과 직업윤리-123 
II. 공자의 직업윤리-125 
III. 맹자의 직업윤리-128 
IV. 순자의 직업윤리-135 
V. 공직자의 직업윤리와 청백리 정신-140 

6 동양윤리 관점에서 본 과학ㆍ환경의 윤리교육 
I. 들어가는 말-161 
II. 과학ㆍ정보ㆍ환경에 대한 동양윤리적 접근-164 
III. 선의 과학과 악의 과학-179 
IV. 사람의 본성과 동물의 본성은 같은가 다른가-199 

7 예술과 도덕: 유교의 예술론 
I. 음악의 신 건달(乾達)을 아십니까?-215 
II. 공자의 예술론: 인간다움[仁]의 실현 장치-220 
III. 순자의 예술론: 선(善)으로 이끄는 인위(人爲)의 도구-226 
IV. 예기(禮記)의 「악기(樂記)」편: 유교 예술론의 집대성-234 
V. 결 론-240 

8 다문화사회에서의 종교적 공존과 관용 
I. 다문화사회와 종교-247 
II. 종교의 다양성과 공통성-249 
III. 한민족의 원형적 정신과 계승-252 
IV. 종교적 분쟁의 해소를 위하여-266 

9 평화와 공존에 관한 동양윤리적 대안 
I. 공존(共存)과 평화(平和)라는 화두(話頭)-277 
II. 새로운 교육과정에서 ‘생활과 윤리’ 과목의 동양윤리적 배경 강화-280 
III. 삶의 질서와 평화, 공존의 미학-284 
IV. 평화와 공존을 위해 우리는 어떤 노력을 해야 할까?-298

찾아보기-302
저자소개-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