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여성화가들, '여성'을 그리다 / 우성주 지음
여성화가들, '여성'을 그리다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여성화가들, '여성'을 그리다 / 우성주 지음
  • ·발행사항 서울 : gasse·아카데미 :가쎄, 2020
  • ·형태사항 347 p. ;23 cm
  • ·주기사항 gasse·아카데미는 가쎄의 임프린트임
    참고문헌: p. 338-347
    2015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5S1A6A4A0109868)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93489934  93600: \20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653.205  듀이십진분류법-> 759.06  
  • ·주제명 포스트 모더니즘[post modernism]화가(미술가)[畵家]여성(여자)[女性]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우성주 지음 2020 SE0000503840 653.205-20-1 인문예술자료실(1층) 대출 가능 0 - 인쇄자료(책자형) 
우성주 지음 2020 SE0000503841 653.205-20-1=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프롤로그 /16

1. 대상으로서의 여성, 그 ‘아름다움’에 대한 다름과 차별의 시선 /23
가. 남성의 시선으로 본 여성 이미지: 관능의 미, 현상의 미, 이상적 관념의 미 /28
나. 여성의 시선으로 본 여성 이미지 /34
다. 여성이 그린 ‘여성 이미지’에 대한 인식의 변화 /38

2. 여성의 아름다움에 대한 근대성과 여성성 /41
가. 근대 사회와 여성 /48
나. 오리엔탈리즘과 여성 /53
다. 포스트 콜로니얼리즘과 여성 /58

3. 여성과 미의식 /69
가. 여성의 미의식 변천사 /75
1) 신성성Divinity과 거룩한 몸 /75
2) 생명의 원천적 상징 /77
3) 모성과 축복된 미 /81
나. 낭만적 사랑과 여성의 미 /87
다. 조형적 섹슈얼리티plastic sexuality와 여성의 미 /94
라. 여성의 미에 대한 ‘시선’과 ‘응시’ /99

4. 여성화가들이 그려낸 ‘다양성’의 모자이크 /103
가. 역사성과 개별성 /111
아르테미시아 젠틸레스키와 유디트 레이스테르 /114
마리 앙투아네트와 앙뜨레 로스 베르탱, 엘리자베스-루이즈 비제-르브룅 /120
1) 말하지 못하는 여성과 말하려는 여성 /124
가) 말하지 못하는 여성 /128
(1) 베르트 모리조(Berthe Morisot, 1841년~1895년) /128
(가) 여성의 감성 /129
(나) 모성과 가사家事 /131
(다) 화장하는 여성 /134
(라) 프시케와 ‘거울’/135
(2) 마리 로랑생(Marie Laurencin, 1883년~1956년) /139
(가) 색채배합의 위대한 발명가 /140
(나) 몽마르트의 아르테미스 /141
(다) 미라보 다리 아래로 사랑은 흐르고… /143
(라) 세탁선의 유일한 여성 작가 /148
나) 말하려는 여성 /152
(1) 나혜석(羅蕙錫, 1896년~ 1948년) /152
(가) 인형의 집, 노라 /153
(나) 페미니즘 작가와 신여성 /155
(다) 3.1 운동과 결혼 /158
(라) 한국의 근대 여성 작가: 자화상과 나부 /160
(마) 인상파와 리얼리즘 /163
(바) 유럽 기행과 이혼 고백서 /164
(사) 자유여성으로서 활동 /167
(2) 프리다 칼로(Frida Kahlo, 1907년~1954년) /174
(가) 생명의 잉태와 유산 /174
(나) 자화상 /175
(다) 현실적 자아와 이상적 자아 /177
(라) 신체의 고통과 마음의 고통 /179
(마) 디에고로부터의 독립과 자유 /182
(바) 멕시코 혁명 정신 /185
(사) 레따블로스 /186
(아) 디에고 리베라의 아내이자 멕시코의 연인, 프리다 칼로 /190
나. 전통성과 혁신성 /193
1) 고전주의적 이미지 /200
가) 마리아 이스끼에르도(Mar?a Izquierdo, 1902년~1955년) /200
(1) 어린 신부의 자아 발견 /203
(2) 유럽 style과 인디오 미학의 융합적 시각 /205
(3) 엑스보토스ex-votos /207
(4) 사회적 타자로서의 여성에 대한 표현 /208
(5) 멕시코 대중 예술의 산증인 /209
나) 수잔 발라동(Suzanne Valadon Marie-Cl?mentine Valadon, 1865년~1938년) /212
(1) ‘객체’에서 ‘주체’로 /213
(2) 아담과 이브 /215
(3) 여성의 대담한 포즈와 당당한 시선 /216
(4) 푸른 방의 올랭피아 /217
2) 전통과 변용의 이미지 /221
가) 레메디오스 바로(Remedios Varo, 1908년~1963년) /221
(1) 초현실주의의 탄생 /222
(2) 트라우마 /225
(3) 여성성과 연금술 /228
(4) 신비주의 세계관 /229
나) 타마라 드 렘피카(Tamara de Lempicka, 1898년~1980년) /232
(1) 섹시한 여성과 화려한 색채 /233
(2) 제2의 인생 /234
(3) 나르시시즘 /236
(4) 아르데코 양식 /238
(5) 화려, 낭만, 퇴폐, 드라마 /239
(6) 몰락해가는 귀족의 초상화 /243
다. 미학적 보편성과 특수성 /245
1) 하이브리디티 문화적 이미지 /252
가) 케테 콜비츠(K?the Schmidt Kollwitz, 1867년~1945년) /252
(1) 고통의 미학 /253
(2) 민중과 노동자의 삶 /255
(3) 농민의 어머니 /257
(4) 죽음의 이미지 /261
(5) 프롤레타리아 미술의 선구자이자 독일 민중의 어머니 /265
나) 조지아 오키프(Georgia O'Keeffe, 1887년~1986년) /267
(1) ‘가장 여성스럽다’는 것 /268
(2) 알프레드 스티글리츠와의 만남 /270
(3) 환상 추상주의 /273
(4) 서명보다 더 강렬한 무서명 (‘애비큐Abiquiu’의 집과 ‘고스트 랜치’ 목장) /275           
2) 주체의식과 저항의 이미지 /279
가) 암리타 쉘 질(Amrita sher gil, 1913년~1941년) /279
(1) 차별과 다름 /280
(2) 인도의 프리다 칼로 /281
(3) 고향으로의 귀환 /283
(4) 유럽의 모더니즘과 인도 전통 예술과의 융합 /285
(5) 삶과 죽음 /288
나) 앨리스 닐(Alice Neel, 1900년~1984년) /290
(1) 인물화가 /291
(2) 결혼, 쿠바, 딸의 죽음 /293
(3) 다름과 차별의 시선을 넘어선 초상화 /296
(4) 만삭인 여성의 누드 /299
(5) 삶의 다양한 얼굴 표정 /301

5. 여성화가가 그린 ‘여성 이미지 코드’ /303 
가. 서유럽의 여성 이미지 /311
나. 아메리카 대륙의 여성 이미지 /317
다. 문화별 여성 이미지 /324

에필로그 /332
눈을 감고 마음을 열면… /336
참고 문헌 /3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