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메이지유신과 사대부적 정치문화 = Meiji revolution and the emergence of the political culture of the literati / 박훈 지음
메이지유신과 사대부적 정치문화 = Meiji revolution and the emergence of the political culture of the literati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메이지유신과 사대부적 정치문화 = Meiji revolution and the emergence of the political culture of the literati / 박훈 지음
  • ·발행사항 서울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9
  • ·형태사항 ix, 502 p. ;23 cm
  • ·총서사항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총서 기초연구시리즈 ;16)
  • ·주기사항 참고문헌(p. 478-493)과 색인 수록
    2013년도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아시아기초연구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음
    본문은 한국어, 일본어가 혼합수록됨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52128836  94910: \39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913.05  듀이십진분류법-> 952.031  
  • ·주제명 메이지 시대[明治時代]명치 유신[明治維新]사대부[士大夫]정치 문화[政治文化]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박훈 지음 2019 SE0000503617 913.05-20-1 인문예술자료실(1층) 대출 가능 0 - 인쇄자료(책자형) 
박훈 지음 2019 SE0000503618 913.05-20-1=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머리말 

서론 ‘이쿠사(戰)’가 아니라 정치  

제1장 메이지유신(明治維新)을 보는 관점과 ‘사대부적(士大夫的) 정치문화’  
제1절 본서의 문제의식  
제2절 ‘근세’ 동아시아 정치사 이해를 위한 개념: ‘사대부적 정치문화’  
제3절 중국·조선에서 ‘사대부적 정치문화’의 행방  
제4절 ‘사대부적 정치문화’의 의외의 출현, 막말일본(幕末日本)  

보론 1 막말유신기 유교의 위치에 대한 기존의 시각과 그 비판  

제2장 ‘연속하면서 혁신’: 막말 정치사와 메이지유신 연구사  
제1절 막말유신사 연구의 현황: ‘개별 실증’ 연구의 심화, 그리고 매몰  
제2절 전후역사학(戰後歷史學)과 막말유신사(幕末維新史) 연구: 이데올로기 과잉  
제3절 ‘연속하면서 혁신’: 메이지유신 연구의 현재적 의미 

제1부 ‘학적(學的) 네트워크’와 ‘학당(學黨)’  

제1장 미토번(水戶藩)의 번교와 ‘학적 네트워크’ 
제1절 번교 홍도관(弘道館)과 신분제  
제2절 홍도관과 ‘학적 네트워크’
소 결  

제2장 구마모토번(熊本藩)의 ‘학적 네트워크’와 ‘학당’의 형성  
제1절 번교 시습관에서의 ‘학적 네트워크’ 형성: 『히고 나카무라 죠사이일록(肥後中村恕齋日錄)』을 중심으로 
제2절 ‘학당’의 형성: 나가오카 겐모쓰·요코이 쇼난의 사숙·학습회를 중심으로  
제3절 ‘학당’과 학정일치·붕당  
소 결  

제3장 사쓰마번(薩摩藩)의 ‘학당’, ‘근사록당(近思錄黨)’ 
제1절 사숙·학습회와 ‘근사록당’ 
제2절 ‘근사록당’을 통해 본 ‘학당’의 특징 
소 결  

제2부 공론정치: 상서와 정치공간  

제1장 19세기 일본에서 공론정치의 형성 과정과 그 의의  
제1절 도쿠가와 일본의 담합정치와 공론관습의 취약성  
제2절 19세기 전반 일본에서 정치정보의 유통  
제3절 19세기 전반 ‘토의정치’의 활성화와 공론정치의 형성 
소 결 

제2장 막말기 미토번에서 봉서(封書)의 정치적 등장과 그 역할: ‘토의정치’의 형성  
제1절 미토 번정(藩政)의 특징과 번정 기구  
제2절 도쿠가와 나리아키 이전 미토번정의 추이와 상서 장려 
제3절 봉서의 정치적 등장과 ‘토의정치’의 형성  
소 결 

제3장 막말기 미토번의 남상(南上) 운동과 공론정치 
제1절 미토번 남상운동의 전개 과정 
제2절 미토번 남상운동과 정치공간  
소 결  

제3부 군주친정(君主親政)과 정치변혁 

제1장 ‘명군’ 도쿠가와 나리아키의 민정 활동과 그 의의: 지방 역인 접촉과 순행 
제1절 도쿠가와 나리아키의 친정  
제2절 도쿠가와 나리아키의 지방 역인 접촉  
제3절 다이묘의 순행: 나리아키의 영민 접촉  
제4절 ‘명군’ 나리아키 친정의 역사적 의미  
소 결  

제2장 막말기 미토번 당쟁에서 도쿠가와 나리아키의 역할  
제1절 미토번의 당쟁과 도쿠가와 나리아키의 등장 
제2절 실각 이전 나리아키와 후지타 도코 
제3절 실각 이후 나리아키와 후지타 도코  
소 결  

제3장 에치젠번(越前藩) 마쓰다이라 요시나가(松平慶永)와 군주권력  
제1절 1863년 ‘거번상락’ 추진 배경과 과정 
제2절 ‘거번상락’의 좌절과 요시나가의 역할  
소 결   

보론 2 막말유신기 정치변혁과 봉건·군현론 

제1절 도쿠가와 시대의 봉건·군현론 
제2절 왕정복고는 군현제?: 막부의 봉건에서 천황의 봉건으로 
제3절 판적봉환: 봉건과 군현 사이의 줄타기  
제4절 폐번치현과 군현제의 설득: “서양 각국은 모두 군현” 
소 결  

결론  

〈각 장의 초출일람(初出一覽)〉  
〈日文要約〉 
〈本書の目次〉 
〈各章の初出一覽〉  

참고문헌  
찾아보기  

발간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