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제작위원회는 악의 축인가? : 애니메이션 비즈니스 완전 가이드 / 저자 : 마스다 히로미치 ;번역 : 김봄
제작위원회는 악의 축인가? : 애니메이션 비즈니스 완전 가이드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제작위원회는 악의 축인가? : 애니메이션 비즈니스 완전 가이드 / 저자 : 마스다 히로미치 ;번역 : 김봄
  • ·발행사항 과천 : ㅁㅅㄴ(MSN publishing), 2020
  • ·형태사항 191 p. :삽화 ;21 cm
  • ·총서사항 (MSNP subculture books)
  • ·주기사항 원저자명: 舛本和也
    일본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87939283  03680: \10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688.6  듀이십진분류법-> 791.4334  
  • ·주제명 애니메이션[animation]제작 과정[製作過程]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저자: 마스다 히로미치 ;번역: 김봄 2020 SE0000503408 688.6-20-2 인문예술자료실(1층) 대출 가능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목차

들어가며-3 

계속해서 성장하는 애니메이션 산업-4 
4차 애니메이션 열풍이 찾아온다?-4 
성인이 애니메이션을 보는 나라는 오직 일본뿐-5 
정말 ‘애니메이션 업계는 블랙’일까?-6 
애니메이션 비즈니스의 전체를 알려면-6 

Q1. 애니메이션 비즈니스는 성장하고 있는가?-13 
장르의 성쇠가 명확해진 2017년-18 
TV 
TV 애니메이션이 주류인 일본-21 
일본은 성인이 애니메이션을 보는 나라-22 
애니메이션 버블과 붕괴-22 
전대미문의 역전 현상-23 
성인 애니메이션 시장은 일본의 독무대-25 
영화 
극장 애니메이션에서 출발한 일본 애니메이션-27 
지브리가 떠난 애니메이션 영화의 미래는?-28 
어린이·가족 애니메이션 영화에서도 지브리가 아닌 제3세력-29 
2012년부터 압도하기 시작한 제3세력의 흐름-30 
계속해서 진화하는 일본 극장 애니메이션-32 
비디오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 머천다이징 비즈니스-35 
애니메이션 비즈니스 모델을 바꾼 비디오의 등장-36 
역사적 역할을 끝마치려 하는 비디오-37 
애니메이션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38 
스트리밍 
미래 영상유통 매출의 중심-40 
14년 사이에 239배-41 
차세대 영상의 주역은 누가 될 것인가?-43 
패왕은 하류에서 상류로 거슬러 올라간다-44 
상품화 
주력은 어린이·가족 애니메이션-46 
기로에 선 캐릭터 비즈니스-46 
성인이 캐릭터 상품을 원하다-48 
음악 
역사의 흐름에 역진하는 애니메이션 음악 시장-49 
불우한 처지에서 시작한 일본 애니메이션 음악-50 
애니메이션과 음악 산업의 만남-51 
음악 제작비를 설정하지 않는 TV애니메이션의 미스터리-52 
해외 
거대한 위장으로 일본 애니메이션을 소비하는 중국과 한국-54 
포켓몬 열풍으로 팔리는 일본 애니메이션-56 
포켓몬 환상이 사라지고 바닥으로-58 
‘사재기’로 유지된 해외 시장-59 
일본 애니메이션이 해외에서 팔리는 세 가지 이유-60 
유흥 
세계에서 유일한 도박과 애니메이션의 관계성-63 
공연 
성장이 두드러지는 새로운 시장-65 
라이브 행사가 인기 있는 이유-66 
소셜게임 
소셜 게임이 일본 애니메이션의 미래를 연다?-67 

Q2. 애니메이션 산업은 계속 성장할까?-69 
총 제작 분수는 늘고 있다-70 
허덕이는 애니메이션 제작 현장-71 
실제로 제작 현장은 어떤 상황인가?-71 
애니메이션이 점점 짧아진다?-73 
환상의 4차 에니메이션 붐?-75 
애니메이션 비즈니스가 확대하는 반면, 늘지 않는 애니메이션 제작-77 
TV애니메이션 제작 분수가 늘지 않는 이유 78 
애니메이션 산업 시장과 애니메이션 제작(制作) 시장 79 

Q3. 애니메이션은 어떻게 제작되는가?-83 
애니메이션 제작 구조-84 
제작(制作)과 제작(製作)-85 
제작위원회 방식이란 무엇인가-86 
제작(製作)이란 작품을 경영하는 것-87 
애니메이션 제작 시뮬레이션 
1. 프로젝트 기획 입안-89 
2. 기획 개발 및 조정-91 
3. 제작위원회 출범-94 
4. 제작(制作)-96 
5. 완성 및 납품-97 
6. 홍보와 마케팅-98 
7. 작품 운용과 비용의 회수-99 
8. 수익 분배-100 
작품이 중심이 되는 제작(制作)-101 
한 회사가 제작(制作)과 제작(製作), 유통을 모두 담당하는 미국-102 
일본의 종합 미디어&엔터테인먼트 기업-103 

Q4. 모든 원흉은 제작위원회?-105 
제작위원회 방식은 일본의 특징-106 
왜 제작위원회가 생겼는가?-106 
제작위원회의 원형은 가도카와 영화-107 
왜 제작위원회가 대세가 되었는가?-108 
before 제작위원회, after 제작위원회-109 
‘제작위원회 블랙설’은 정말일까?-110 
제작위원회 방식으로 제작비는 증가하고 있다-112 
애니메이터에게는 환원되지 않는다-113 
스트리밍이 제작위원회 시스템을 위협한다?-114 

Q5. 애니메이터는 박봉인가?-117 
‘연봉 110만엔’으로 알려진 애니메이션 업계-118 
애니메이션 제작직의 급여는 정말 적을까?-119 
애니메이션 제작직은 왜 평균 급여가 낮은가?-121 
‘블랙설’의 뿌리는 동화에 있다-121 
동화 담당직의 탄생-123 
애니메이터가 프피랜서로-124 
1980년대의 윈화와 동화-126 
1장에 200엔이 된 이유-127 
업계 내에서 제기되지 않는 동화 담당의 보수 문제-127 
유일하게 디지털화되지 않은 작화 작업-128 
제작 측과 애니메이터의 정서적 관계성-129 
애니메이션 업계는 큰 가족-130 
미국처럼 엄격한 관계를 원하는가?-131 
애니메이터의 실제 노동 시간은 짧다?-134 
무책임한 매스컴의 ‘블랙’ 발언-135 
‘애니메이션 공동화론’이란?-137 
애니메이션 제작 기술이 유출되는가?-137 
젊은 인재가 자라는 애니메이션 업계-138 
스튜디오가 탄탄한 애니메이션 제작 현장-140 
 
Q6. 애니메이션과 관련된 직종들은?-143 
제작(制作) 
애니메이션 스튜디오(비전문직)-145 
일반직 계열-147 
제작/프로듀서 계열-147 
각본 계열-149 
연출 계열-150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전문직)-151 
작화 계열-152 
색채 계열-153 
미술 계열-154 
CG 계열-156 
촬영 계열-158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외-159 
편집 계열-160 
음향 계열-161 
음악 계열-162 
성우-163 
제작(製作) 및 유통 
애니메이션 계통 제작(製作)회사-165 
전문직 계열-166 
제작진행 계열-167 
프로듀서 계열-167 
일반직 계열-168 
유통계 프로듀스 회사-171 
영화사 계열-172 
방송국 및 광고회사 계열-173 
비디오 및 레코드 회사-174 
스트리밍 회사 계열-174 
출판사 계열-175 
게임 계열-176 
완구ㆍ물류 계열-177 
유흥 계열-177 
해외 판매 계열-178 
애니메이션 계열-179 

마치며-1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