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중국전통건축 : 중국 전통건축의 역사와 지혜를 담다 / 팡용 지음 ;탕쿤,신진호 옮김
중국전통건축 : 중국 전통건축의 역사와 지혜를 담다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중국전통건축 : 중국 전통건축의 역사와 지혜를 담다 / 팡용 지음 ;탕쿤,신진호 옮김
  • ·발행사항 서울 : 민속원, 2019
  • ·형태사항 423 p. :삽화 ;24 cm
  • ·총서사항 (민속원 아르케북스 =Minsokwon archebooks ;139)(민속원 ;1723)
  • ·주기사항 원표제:中国传统建筑十五讲
    원저자명: 方拥
    참고문헌(p. 416-417)과 색인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28513574  94380: \40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540.09112  듀이십진분류법-> 720.951  
  • ·주제명 전통 건축[傳統建築]건축사(역사)[建築史]중국(국명)[中國]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팡용 지음 ;탕쿤,신진호 옮김 2019 SE0000502804 540.09112-20-1 일반자료실(2층) 대출 가능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옮긴이 서문 -4

서장 중국 전통 건축 -12

 제1장 중국 전통 건축 개설 -22
1. 명사 설명 -23
2. 요소 분석 -26
3. 건축 공간 -28
4. 건축 구상 -32
5. 건축사 -36

 제2장 건축 배경의 역사와 지혜 -40
1. 의기?器와 중용의 도 -41
2. 순舜 임금 -44
3. ‘의정義正’ 사회의 추구 -51
4. 생물 다양화와 문화 다원화 -55
5. 조셉 니담의 난제와 기교 -59

 제3장 신석기 건축의 다양화 -66
1. 남부 평원 습지의 간란식干欄式 가옥 -68
2. 서북 황토고원의 횡요橫窯와 수혈竪穴 -74
3. 중원 구릉 비탈의 반지혈 주택 -81
4. 동부 구릉 비탈의 반지혈 배방 -87

 제4장 남북 건축의 충돌과 융합 -98
1. 홍수 방지용 제방과 적을 막아내는 성의 보루 -99
2. 흙더미 쌓기 및 다지기 판축 -103
3. 구성, 구조 및 설비 -105
4. 시루와 정두호鼎豆壺 -111

제5장 두 건축 사상의 상호 작용 -122
1. 글로벌 환경 아래에서의 토론 -123
2. 〈주역〉에서의 대장大壯 : 웅장한 아름다움과 예제 -128
3. 선진 제자의 ‘비루한 궁실’론 -132
4. 일성一姓과 만성萬姓 -136

제6장 건축에서의 주류 관념 반영 -144
1. 춘추시대 후기 : 고대광실 -145
2. 서한 : 웅장하고 아름다운 것이 아니면 위엄을 발휘할 수 없다 -150
3. 북송 : 시기가 가까울수록 더 비루해진다 -156
4. 여운 : 청의원??園 건륭제乾隆帝 -161

제7장 토목 결합 및 그 발전 -166
1. 토굴과 나무 둥지 -167
2. 간란干欄 -172
3. 요동窯洞 -177
4. 토목 결합 및 그 발전 -185

 제8장 건축 재료의 문화 선택 -198
1. 나무와 돌, 두 재료에 관한 집착 -199
2. 석가공 기술과 예술 -202
3. 아치의 적응성과 장점 -210
4. 다른 종류의 민남 돌구조 -219

 제9장 궐과 관의 허실 -226
1. 선진 시대의 궐 -228
2. 진나라와 한나라 궐의 휘황찬란함 -234
3. 궐의 후기 변천 -241
4. 화표華表와 패방牌坊 -247
5. 궐闕과 사공司空 -250

제10장 성문 성루와 구조의 집착 -256
1. 성문의 허와 실 -257
2. 성루 하부의 지탱구조 -260
3. 에펠탑의 테두리 -268

 제11장 동양과 서양 목조 아치의 구조 비교 -281
1. 대들보, 석재 아치에서 목조 아치교까지 -282
2. 고대 서양의 목조 아치교 -298
3. 재료와 구조의 배합 -303

 제12장 선불탑과 대지로의 귀환 -308
1. 신선과 누각 -309
2. 가람탑 -315
3. 대지로의 회귀 -326

 제13장 생사관념과 묘지제도 -332
1. 귀신의 일 -333
2. 구거탐원丘居探源 -335
3. 연구술구燕丘述舊 -338
4. 옛날에는 무덤을 만들어도 봉분을 만들지 않았다 -340
5. 구농약산丘壟若山 -344
6. 여산驪山과 패릉?陵 -347
7. 용의 맥이 이어지다 -350

 제14장 원림園林의 천지天地와 인심人心 -360
1. 인차因借와 체의體宜 -360
2. 평범한 풍경 -367
3. 해상 신선과 금기 -373

 제15장 풍수의 이성적 사유 -386
1. 천문을 올려다보며 지리를 내려다 보다 -387
2. 뛰어난 풍수 -392
3. 낙수 북쪽 기슭에 도읍을 정하다 -399
4. 동남 방향의 물흐름流巽과 그 부족함의 보충 -406

 참고문헌 -416
 찾아보기 -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