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우리의 욕망을 공유합니다 / 권희중,이호찬,신승철 지음
우리의 욕망을 공유합니다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우리의 욕망을 공유합니다 / 권희중,이호찬,신승철 지음
  • ·발행사항 서울 : 한살림, 2020
  • ·형태사항 451 p. :삽화, 초상 ;22 cm
  • ·주기사항 권말부록: 아홉 빛깔 특이점청년 이야기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의 '2019 출판콘텐츠 창작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국민체육진흥기금을 지원받아 제작되었음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90405027  03800: \20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818  듀이십진분류법-> 895.785  
  • ·주제명 글 모음집[--集]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목차


목차

책을 펴내며 
- 특이점청년들 이야기를 전하며-2 
- 설레는 이들을 만나다-7 
인터뷰이 소개-9 

1부 - 특이점청년과 공동체 
특이성은 어떻게 생겨나는가 
- 마을공동체와 대안교육이 키워내고 싶은 사람-20 
- 추억이 다른 그들-27 
- 흰 양말을 못 신는 학교-34 
- 아니, 이건 무슨 근자감-43 
- 길은 하나가 아니야-55 
- 마을과 대안학교의 다양한 관계 맺기-73 
- 진정한 조직 생활-91 
- ‘나만’이 아니라 ‘같이’-101 
특이점청년을 키운 공동체 의미 
- 가장 멀리 던져진 사회실험-112 
- 작은 실천의 힘-125 

2부 - 특이점청년들의 욕망과 시도 
개인과 관계를 바라보는 시선 
- 선명한 우리, 흐릿한 나-140 
- 일상으로의 초대-153 
- 옆집 숟가락 개수까지 알고 싶지는 않아요-161 
공간을 둘러싼 욕망 
- 자산과 부동산-168 
- 청년에게 ‘집’은-174 
- 커뮤니티와 생활양식을 닮은 공간 만들기-179 
삶을 ‘선택’하고 있는 걸까? 
- 먹고 사는 걱정-190 
- 기본소득에 던지는 질문-197 
여성, 소수자, 그리고 공동체 
- 지역과 공동체, 그리고 페미니즘-210 
- 성 불평등 극복하기-216 
- 모두를 위한 페미니즘-225 
그렇게 살고 싶진 않다니까요 
- 일과 여가-239 
- 표어와 질문-248 
- 성공과 행복-256 

3부 - 특이점청년이 사회에게 
대체 청년들에게 무슨 짓을 
- 청년은 동네북-266 
- 그들이 생각하는 세대론-286 
청년 정책에 말걸기-303 
- 청년 지원이 왜 필요해-303 
- 이거 지원 맞나요-313 
- 근본적 청년정책은-338 

4부 - 특이점청년이 공동체에게 
청년들이 느끼는 공동체 문제 
- 마을만으로는 부족해-350 
- 업데이트가 필요해-361 
- 기득권을 내려놔-371 
부드러운 혁명 
- 있고 싶고, 잇고 싶은 공동체-381 
- 특이점청년들이 만들어가는 세상-406 

5부 - 맺음말 & 부록 
맺음말 
- 현시기 공동체운동의 의의-420 
- 사건으로서 청년-428 
 나. 부록 : 아홉 빛깔 특이점청년 이야기 
- 삶의 방식을 바꾸는 대안기술-434 
- 허디거디와 다르부카를 아시나요-436 
- 사업을 연애같이-438 
- 여성과 소수자에게도 안전한 농촌-440 
- 시민들의 공유자산을 ‘신나’게-442 
- 주거를 넘어서는 공동체 실험-444 
- 어떻게 사회를 복구할까-446 
- 지역 청년들이 ‘들락날락’하게-448
- 더불어 함께 살며 꿈을 현실로-4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