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경계인의 한국현대사 노트 / 지은이 : 김광희
경계인의 한국현대사 노트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경계인의 한국현대사 노트 / 지은이 : 김광희
  • ·발행사항 서울 : 선인, 2019
  • ·형태사항 622 p. ;24 cm
  • ·주기사항 참고문헌: p. [601]-617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60683134  93910: \47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911.07  듀이십진분류법-> 951.904  
  • ·주제명 한국 현대사[韓國現代史]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지은이: 김광희 2019 SE0000499820 911.07-20-2 인문예술자료실(1층) 대출 가능 0 - 인쇄자료(책자형) 
지은이: 김광희 2019 SE0000499821 911.07-20-2=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머리말 -5

제1장 “해방 3년” -15
제1절 동맹국의 한국문제 결정과 초기의 미군정 -17
한국의 독립투쟁과 동맹국의 한국문제 결정 | 건국준비위원회의 활약 | 미군정과 남부 정국 | 모스크바 3상회의
제2절 한반도의 분열 -29
신탁통치와 정국개편 | 제1차 미소공동위원회 | 좌우합작운동 | 미군정과 이승만의 민족분열책동 | 10월 항쟁 | 한국문제의 “유엔화” | “2·7”구국투쟁과 남북협상 | 대한민국정부의 수립
제3절 미군정 시기의 사회경제 -45

제2장 제1공화국 전반기 -49
제1절 이승만 통치체제의 구축 -51
이승만 정권과 “6월 공세” | 4·3항쟁과 여순기의 | 사회경제와 농지개혁
제2절 한국전쟁 -64
전쟁의 발발 | 미군의 참전과 전쟁의 국제화 | 5월위기
제3절 휴전회담과 전쟁의 영향 -73
휴전회담과 휴전협정의 체결 | 전쟁기간의 양민학살 | 한국전쟁의 영향

제3장 제1공화국 후반기 -83
제1절 제1공화국 후반기의 정치 -85
자유당정권의 독재 | 공포정치와 신국가보안법 | 남북관계 | 한일회담
제2절 “4월 혁명”과 이승만 정권의 몰락 -94
 “2·28시위” | 4·19혁명 | 자유당정권의 몰락
제3절 전후 경제복구와 사회 -99
원조경제체제의 건립 | 경제의 회복과 발전 | 정경유착과 농업의 황폐화

제4장 단명한 제2공화국 -113
제1절 장면 정부의 수립 -115
허정 과도정부 | 혁신계의 흥기 | 장면 정부의 수립과 민주당의 분열
제2절 민주정치의 실패 -120
민주당 정부의 내외정책 | 대중운동의 앙양 | 장면 정부와 한국군부

제5장 제3공화국의 경제 도약 -129
제1절 5·16쿠데타와 군인통치의 확립 -131
쿠데타와 미국의 승인 | 군사정권 시기의 내외정책 | 민정이양과 제3공화국 | 제3공화국의 정치 
제2절 한국형 발전모델의 형성과정 -146
수출주도형정책의 배경과 원인 | 수출주도형공업화전략으로의 전환 | 복선형 공업화정책 | 박정희 정부 경제발전모델의 형성 
제3절 한국경제 도약의 국제기회 -160
로스토의 근대화이론과 한국 | 한일 외교관계 정상화 | 베트남전쟁‘특수’
제4절 한국경제의 도약 -176
두 개 5개년계획의 성공 | 노동집약형수출가공업의 고속 발전 | 경부고속도로 | 포항제철 | 울산석유화학공업단지 | 부동산 투기와 광주대단지사건

제6장 유신독재와 중화학공업화 -195
제1절 유신독재와 박정희 정권의 몰락 -197
‘유신’독재체제 | 남북대화 | 김대중 납치사건 | 대통령긴급조치와 공안사건 | 유신체제 반대운동 | 유신체제의 몰락 | 1970년대의 한미관계와 10·26사건 
제2절 중화학공업의 발전 -231
8·3사채동결조치 | 중화학공업의 추진 배경 | 중화학공업화의 추진 | 조선업의 부상 | 오일쇼크와 중동건축시장“특수” | 노동압제와 부동산 폭등 
제3절 새마을운동 -258
새마을운동의 추진 | 새마을지도자의 육성 | 새마을운동의 특점 | 새마을운동의 영향과 교훈 

제7장 제5공화국 시대 -271
제1절 전두환 정권의 정치 -273
12·12쿠데타 | 서울의 봄과 5·17쿠데타 | 광주민중항쟁 | 신군부체제의 건립 | 제5공화국의 정치체제 | 5공의 남북관계 | 한미관계와 반미운동 
제2절 5공 시기의 경제발전 -299
제5차 5개년 계획의 집행 | 정경유착구조의 심화 | 경제자유화종합평가 | 국제수지 흑자 
제3절 민주화운동과 6월 항쟁 -310
학원운동권의 등장과 학생운동 | 민주화운동의 발전 | 6월 민중항쟁

제8장 제6공화국의 개막 -325
제1절 노태우 정부의 정치 -327
1987년 헌법과 대선 | 여소야대 국회와 5공 청산 | 지방자치 | 보수 3당의 합병 | 수서사건 1992년 대선 | 남북교류와 남북의 유엔 동시 가입 | 북방외교와 한미관계의 조정 
제2절 6공의 경제 -348
금융자유화정책과 지역정책 | 제6차 5개년계획과 경제발전 | 주택 200만 호 건설과 토지공개념제도 
제3절 6공의 사회 -356
노동운동 | 사회운동의 흥망성쇠

제9장 문민정부 시대 -363
제1절 김영삼 정부의 정치-365
정치민주화개혁 | 역사 바로 잡기 | 정치개혁의 시행착오 | 한보비리 | 가신정치와 여당의 위기 | 김대중의 당선 | 3·3정책과 남북교류 | 문민정부의 대미외교 
제2절 신경제 5개년계획과 외환위기 -381
신경제론 | 금융개혁과 경제구조 모순의 심화 | 1997년 외환위기 | 국민의 경제와 정책 의식 
제3절 시민운동의 발흥 -397
시민운동의 발전 | 학생운동의 퇴조와 진보지식계의 변화 | 대형사고의 빈발 

제10장 국민의 정부 시대 -405
제1절 김대중 정부의 정치 -407
김대중 정권의 한계 | 부패스캔들과 김대중 정권에 대한 평가 | 햇빛정책과 남북정상회담 | 중한관계와 한일관계 | 
제2절 IMF체제와 경제구조개혁 -420
경제개혁 | IT산업과 벤처산업의 발전 | 거대재벌의 부침과 순위변화 | 김대중 정부 시기의 경제상황 
제3절 양극화 사회 -438
양극화와 인터넷 문화의 확산 | 복지, 인권, 노동과 촛불시위 | 사회충돌 | 김대중 정부시절의 국민의식 

제11장 참여정부 시대 -449
제1절 탈권위주의 시대의 정치 리더십 -452
노무현의 굴기 | 탈권위주의 시대 | 탄핵정국 | 개혁의 험난한 노정 | 보수로의 회귀 | 자주외교의 실제 | 한미동맹과 남북관계
제2절 신자유주의 좌파경제학 -470
자본이 정부를 포위하다 | 삼성공화국 | 양극분화의 심화 | 한미 FTA
제3절 사회 불평등의 격화 -486
촛불시위와 인터넷민주주의 | 계급사회 | 저출산 고령화사회

제12장 이명박 정부 시대 -493
제1절 이명박 시대의 정치 -495
이명박의 정치역정 | 이명박 집권 전후의 내외환경 | 인사파동과 촛불시위 | 용산참사와 노무현의 자살 | 세종시 수정안의 좌절 | 지방선거의 참패 | 남북관계와 대미 일변도 외교 | 중한관계
제2절 경제대통령의 초라한 성적표 -511
대기업 프렌들리 | 국제경제위기와의 전쟁 | ‘친 서민’ 부자정권 | 수량성장 | 4대강 공사와 초라한 경제성적표
제3절 이명박 시대의 사회 -523
촛불시위 | 노령화와 1인가구의 증가 및 복지 | 스마트폰 중독과 오디션 열풍

제13장 박근혜 정부 시대 -531
제1절 대통령 당선으로부터 탄핵까지 -533
박근혜의 당선과 국정원의 선거개입 | 인사 참사 | 통합진보당 해산 | 정윤회 문건파동과 성완종 리스트 | 최순실 국정농단 | 남북관계 | 한미관계와 한중관계 
제2절 창조경제와 초이노믹스 -552
창조경제와 경제민주화 | 경제 개혁 3개년 계획과 초이노믹스
제3절 “헬조선”과 “촛불시민혁명” -558
세월호 참사로부터 역사교과서 국정화까지 | 복지의 악화와 “헬조선” | 촛불시민혁명

제14장 현대 한국문화 -571
유학의 전승과 한국사회윤리 | 불교의 근 현대 백년 | 기독교의 흥성 | 교육체제와 고시문화 | 태권도의 변천사 | 현대문학 | 복식문화와 심미의식 | 건축과 거주문화 | 영화와 드라마 | 역사학

참고문헌 -601
감사의 말 -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