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시험에 나오는) 철학 입문 / 사이토 테츠야 지음 ;정용휴 감역 ;김선숙 옮김
(시험에 나오는) 철학 입문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시험에 나오는) 철학 입문 / 사이토 테츠야 지음 ;정용휴 감역 ;김선숙 옮김
  • ·발행사항 서울 : BM성안당, 2020
  • ·형태사항 223 p. :삽화 ;21 cm
  • ·주기사항 원표제:試験に出る哲学 :「センター試験」で西洋思想に入門する
    표제관련정보: 일본 대학 입시 '센터시험' 출제 문제로 서양 철학 사상 이해하기 ; 소크라테스부터 비트겐슈타인까지 철학의 흐름과 키워드를 한눈에!
    원저자명: 斎藤哲也
    색인 수록
    일본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31588446  03100: \14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160  듀이십진분류법-> 190  
  • ·주제명 서양 철학[西洋哲學]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사이토 테츠야 지음 ;정용휴 감역 ;김선숙 옮김 2020 SE0000499742 160-20-2 인문예술자료실(1층) 대출 가능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프롤로그 -5

1장  철학은 ‘무지의 지’에서 시작되었다 
       고대 그리스 철학에서 스콜라 철학으로

1-1  소크라테스 이전에 무슨 일이 일어났는가? - 신화에서 이성으로 -20
고대 그리스의 신화적 세계관 / 왜 탈레스를 최초의 철학자라고 할까 / 탈레스에게 반론을 제기한 제자 / ‘만물의 본질’이란 무엇인가? / 그리고 원자론이 등장했다! 

1-2  ‘무지의 지’란 무엇인가? - 소크라테스 vs 소피스트의 공방 -30
포퓰리즘, 아테네를 뒤덮다 / 소피스트의 상대주의 / 소크라테스=플라톤? / ‘무지의 지’는 어떻게 자각되었는가 / 소크라테스의 수법은 깊이 따져 묻는 것 / 상대주의에 대한 목숨을 건 저항

1-3  동굴은 무엇을 비유한 것인가? - 플라톤의 이데아론 -40
피타고라스학파의 영향 / 이데아계와 현상계 / 철학자의 역할은 무엇인가 / 이원론이 서양 사상을 만들었다 / 영혼 삼분설과 이상 국가론

1-4  세계의 구성요소를 어떻게 풀어내야 하는가? - 플라톤에서 아리스토텔레스까지 -50
세계를 정리하려고 한 사람 / 세계는 형상과 질료로 되어 있다/ 세계의 변화까지도 설명할 수 있다 / 사물에는 네 가지 원인이 있다 / 사람은 중용의 습관으로 똑똑해진다 / 공화제야말로 지속 가능하다

1-5  ‘자연에 순응하여 살라’는 건 무슨 의미인가? - 헬레니즘 시대의 사상 -61
현대에도 통하는 헬레니즘 사상 / ① 키니코스학파 - 허식을 싫어했으나 때로 냉소적이었다 / ② 스토아학파 - 자연에 순응하여 살라 / ③ 에피쿠로스학파 - 숨어 살라 / ④ 회의주의 - 자신의 오감조차 믿지 말라

1-6  신앙과 이성을 어떻게 조화시킬 것인가? - 아우구스티누스와 토마스 아퀴나스 -70
신(新)플라톤주의와의 만남 / 할 수 있는 것은 무조건 신을 사랑하는 것뿐이다 / 구제는 교회를 통해서 해야 한다 / 아리스토텔레스를 어떻게 수용할 것인가 / 신앙과 이성은 협력한다

2장  ‘신’이 주역의 자리를 내주고 퇴장한다
       근대철학의 본질

2-1  누가 고정 관념에 사로잡혀 있는가? - 베이컨과 근대 과학 -86
근대 과학이 성립된 배경 / 자연에 복종하고 자연을 지배한다 / 삼단논법 vs 귀납법 / 네 가지 우상(이돌라)

2-2  사람은 어떻게 진리에 도달할까? - 데카르트의 물심이원론 -95
탐구의 네 가지 규칙 / 방법적 회의에서 이끌어낸 ‘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 / 신의 이성 출장소 / 그리고 물심이원론에 다다르다 / 인공지능 관련 연구

2-3  자유란? 실체란? - 스피노자와 라이프니츠의 대륙 합리론 -106
인지과학의 선구자 스피노자, 천년에 한 명 나올까 말까 한 천재 라이프니츠 / 돌멩이에서 인간의 육체까지 모두 신의 표현이다! / 의지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인간에게 자유란 무엇인가 / 모나드가 뭐지? / 고수 프로그래머의 솜씨를 보라!

2-4  인과 관계란 무엇인가? - 로크, 버클리, 흄의 영국 경험론 -118
인간의 마음은 타블라 라사(백지상태)다 / 지각하지 않으면 존재하지 않는다? / 흄의 물음 - 무엇이 인간에게 물체의 존재를 믿게 하는가 / 인과 관계 따윈 신념에 불과하다

2-5  정언명법이란 무엇인가? - 칸트의 인식론과 도덕론 -128
흄의 일격 / 인식의 선글라스 효과 / 인식과 이성의 한계를 구분한다 / 정언명법의 사례 / 칸트가 생각하는 자유

2-6  이상적인 공동체는 어떻게 탄생할까? - 헤겔의 역사관 -138
독일 관념론의 등장 / 헤겔이 그린 정신의 성장 이야기 / 세계사는 자유가 확대되어가는 과정이다 / 헤겔의 대명사 ‘변증법’/ 인륜이란 ‘이상 공동체’/ 가족ㆍ시민사회ㆍ국가

3장  비뚤어진 철학자들이 당연한 것을 의심하기 시작했다 
      근대 비판의 철학

3-1  자본주의 사회는 왜 비판을 받는가? - 마르크스의 유물사관 -154
사상을 무기로 세상을 바꾸자 / 역사의 주역은 ‘물질적 생활’ / 유물사관이란 무엇인가 / 노동이 소외되다! / 착취의 장치

3-2  서양철학의 파괴자 등장! - 니체의 초인론 -163 
진리 따위 엿이나 먹어라 / 신의 죽음이 가져온 니힐리즘 / 도덕은 르상티망에서 태어났다 / 세계는 해석으로 이루어져 있다 / 현실 도피하지 말고 삶 자체에 만족하라

3-3  프래그머티즘이란 무엇인가? - 퍼스, 제임스, 듀이 -173
① 퍼스 - 지식과 경험을 결부시킨다 / ② 제임스 - 진리는 유용성이다 / ③ 듀이 - 민주주의로서의 프래그머티즘 / 듀이가 제창한 문제 해결 학습

3-4  대중사회와 과학기술을 비판하라! - 하이데거의 존재론 -181
‘존재 의미’에 대한 물음 / 인간은 타인이나 사물들과 끊임없이 관계를 맺는 존재다 / 사물에 대한 배려 / 대중사회에 파묻혀 지내는 다스 만 / 중요한 것은 죽음을 직시하는 것 / 기술 시대의 고향 상실

3-5  ‘실존’이라는 불안과 어떻게 마주할까? - 키르케고르에서 사르트르로 -190
실존주의는 어떤 사상인가 / 추구해야 할 것은 주체적 진리 / 실존의 3단계 / 삶이 본질을 만든다 / 앙가주망-미래에 대한 긍정적인 사고

3-6  ‘언어게임’이란 무엇인가 - 비트겐슈타인의 궤적 -200
말로 할 수 없는 것은 침묵하라 / ‘어떻게 살고 어떻게 죽을 것인가’는 언어로 표현할 수 없다 / ‘대박’을 철학적으로 탐구하면 / 본질이 아닌 유사

북 가이드 -208
에필로그 -216
각주 색인 -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