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나와 가족 그리고 가까운 이들을 그냥 좋아하기 : 정화스님 마음강의 / 정화 지음
나와 가족 그리고 가까운 이들을 그냥 좋아하기 : 정화스님 마음강의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나와 가족 그리고 가까운 이들을 그냥 좋아하기 : 정화스님 마음강의 / 정화 지음
  • ·발행사항 서울 : 북드라망, 2020
  • ·형태사항 198 p. ;20 cm
  • ·주기사항 권말부록: 질의응답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90351133  03190: \135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224.8  듀이십진분류법-> 294.344  
  • ·주제명 불교[佛敎]개인 신앙 생활[個人信仰生活]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정화 지음 2020 SE0000499534 224.8-20-2 인문예술자료실(1층) 대출 가능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목차

머리말 _ 공감을 넘어 그냥 좋아하기-5 

발심이란 무엇인가?-12 
자신만의 생각길 만들기-13 
생각의 기반-15 
생각한다는 것-18 
바람 없이 보기-19 
변해 가는 정보의 융합 사건-21 
사건ㆍ사물의 언어화 존재의 탄생-23 
앎을 리셋하기-25 
발심의 공능-29 
수행 인지 패턴의 전환-31 

자비심은 어떻게 길러야 할까?-36 
내외부가 주고받는 정보의 공명-37 
자비수행 자비심을 체화하는 연습-40 
자리와 이타의 균형-43 
생명연대로서의 주체-45 
생명연대의 실상 자비심-48 
확장된 자아와 자비심-51 
업(집착심)을 녹이기-54 
마음챙김 유연성 기르기-57 
해석된 것이 자신의 세계-58 
생명연대의 향기-60 
접속된 외부가 자아의 얼굴을 만든다-62 

새로운 생각을 코딩한다는 것은?-66 
인지시스템의 대전환 생각을 생각함-67 
인지시스템의 대전환 수행의 출발과 완성-69 
융합된 시공간-73 
리셋해야 할 인식의 토대-77 
답습된 지식 내려놓기-79 
공감 확장된 자기-80 
생각을 확장케 하는 기술변화-82 
따져 물을 수조차 없는 상태-85 
마음챙김의 깊이-86 
답습된 분별을 넘어서-88 
채워 넣기-90 
인식영역을 확장하기-93 

도반이란 무엇인가-96 
문화시대의 시작-97 
발명된 자아-99 
채움과 비움-101 
마음챙김과 내부영상-104 
걸림 없는 마음운동-106 
자기소외를 극복하기-108 
그냥 좋아하기-109 
팔정도 수행-112 
생각을 반조하게 된 인류-116 
삶 그 자체를 존중하기-118 
서로에게 도반이 되는 삶-120 

우리는 어떻게 일하게 될까?-124 
산업의 급격한 변화-125 
미래를 불안해하지 않기-128 
과도한 노동으로부터 해방되는 사회의 도래-131 
시대의 요구 공감-133 
미래를 위한 기억-135 
몸 미생물과의 공동체-137 
생명계 집단지성체-139 
불안을 삶의 안내자로 삼지 않기-142 
카피를 비틀기-144 
답답한 사람이 되지 않기-147 
물질분자의 활동 그 자체가 지성활동-149 
초연결-151 

청년들의 성과 사랑은-154 
사랑 생각의 양-155 
내부를 규정하기도 하는 외부-157 
새로운 생각의 출현 앞세대의 생각지도에 구멍 뚫기-159 
익숙한 생각의 지도에 구멍을 뚫어야 청춘-163 
집단지성 함께 사유의 확장을 도모하는 일-164 
초인류로의 관점 이동-167 
성도 결정적이지 않다-170 
성선택 유전자 풀의 다양성을 확보하기-172 
호감과 비호감-174 
사랑도 지속적인 연습이 필수다-175 

부록_ 질의응답-1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