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예술가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보기 = The artist's view of the world : 블록체인부터 죽음까지, 그림 인문학 / 지은이 : 임상빈
예술가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보기 = The artist's view of the world : 블록체인부터 죽음까지, 그림 인문학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예술가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보기 = The artist's view of the world : 블록체인부터 죽음까지, 그림 인문학 / 지은이 : 임상빈
  • ·발행사항 서울 : 박영사, 2019
  • ·형태사항 458 p. :천연색삽화 ;23 cm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30307756  03600: \19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600.1  듀이십진분류법-> 700.1  
  • ·주제명 예술론[藝術論]인문 과학[人文科學]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지은이: 임상빈 2019 SE0000499075 600.1-20-2 인문예술자료실(1층) 대출 가능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프롤로그(prologue): 예술적인 시야가 아름답다 
01 이 책에 대하여 _3 
02 일상에서 예술을 발견하며 _8 
03 예술로 충만한 삶을 지향하며 _12 
04 예술로 행복한 세상을 기대하며 _17 

Ⅰ 기술은 사람의 자화상이다 
공학이 과연 사람의 맛을 낼까? 
01 블록체인: 상호 신뢰와 책임감의 필요 29 
“서로가 동의하는 삶은 아름답다” 
02 해시: 우리 모두는 다 다르다는 확신 34 
“한 끝 차이로 다 다르다” 
03 암호화폐: 나만의 독특한 삶에 대한 연민 39 
“이건 완전 내거다” 
04 GPU: 총체적인 이해에 대한 열망 44 
“너를 단박에 받아들이다” 
05 클라우드 컴퓨팅: 집단지성에 거는 기대 50 
“나 하나 죽인들 우리는 간다” 
06 포그 컴퓨팅: 내 삶에 경영이 필요한 이유 57 
“쓸데없는 일에 목숨 걸지 마라” 
07 엣지 컴퓨팅: 최악을 면하기 위한 능력 64 
“스스로 할 줄 알아야 한다” 
08 증강현실: 남에게 끌려가지 않는 주관 71 
“나보고 뭘 보란다” 
09 딥러닝: 별 생각 다 해보는 묘미 77 
“추상화는 아름답다” 
10 인공시대: 사람과 기계의 동침 85 
“자연산과 인공산, 함께 하다” 

 Ⅱ 과학은 예술의 동료다 
나는 어디론가 떠날 수 있을까? 
01 4원소설: 내 세상에 충실한 태도 97 
“나는 예술한다. 그게 인생이다(I art, that’s life)” 
02 지동설: 흐름에 대한 저항의 비애 111 
“내가 맞다니까” 
03 만유인력의 법칙: 단 하나의 절대원리에 대한 추구 125 
“지상과 천상이 합쳐지다” 
04 상대성이론: 관계와 관점에 대한 고려 139 
“어떻게 봐도 아귀는 맞는다” 
05 양자역학: 다 아우르는 경지 156 
“여기도 있고, 저기도 있고” 
06 초끈이론: 대통합을 통한 합일에의 희망 170 
“세상을 관통하는 하나의 원리가 아름답다” 
07 다중우주론: 맥락의 바다에 대한 경험 177 
“그럴 수 있겠구나” 
08 시뮬레이션 우주론: 풍경을 재생하는 마음 189 
“그래, 그게 좋겠다” 
09 빅뱅이론: 폭발하는 생명력의 힘 200 
“때에 따라 필요하다” 
10 블랙홀이론: 우주에 대한 깨달음 208 
“내가 나를 바라본다” 


 Ⅲ 예술은 마음의 거울이다 
내 시야가 과연 아름다울까? 
01 직관: 뭐든지 할 수 있는 마음 219 
“내 안에 다 있다” 
02 도상: 존중해야 하는 질서 226 
“꼭 따라야만 할까요?” 
03 지표: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는 사건 232 
“이건 뭘까?” 
04 상징: 절대적인 관계의 유혹 238 
“딱이네요” 
05 알레고리: 변신에 능한 배우 249 
“그렇게 볼 수도 있겠네요” 
06 아이러니: 싫어서 좋은 밀당 261 
“모르고 보니 알겠다” 
07 전체주의: 다 이유가 있어 만들어놓은 체계 267 
“따르는 게 좋을 거야” 

08 현대주의: 꼭 뒤집어엎어야만 풀리는 심사 273 
“그건 잘못 됐어” 
09 동시대주의: 예술을 진정으로 누리는 행복 280 
“우리는 모두 다 예술한다” 
10 창조: 새로움을 즐기는 묘미 289 
“수용하며 변주하다” 
11 감독: 모두를 아우르는 재능 295 
“요렇게 조렇게” 
12 감상: 여러모로 음미하는 태도 302 
“별의별 맛이 다 있구나” 
13 게임: 때에 맞는 드라마의 쾌감 309 
“손에 땀을 쥐게 하다” 
14 토론: 입체적인 사고의 에너지 317 
“틀과 색을 벗어던지다” 
15 세트: 무공 비법의 실제 327 
“생각의 갈래를 여행하다” 


 Ⅳ 사람은 생각의 놀이터다 
내 삶이 과연 뜻 깊을까? 
01 지능: 인공지능이 주는 교훈 337 
“머리싸움을 해보다” 
02 의식: 자아의 창의적인 똘끼 349 
“얘 때문에 미치겠네” 
03 이야기: 우리를 바꾸는 이야기의 힘 360 
“내 얘기가 중요하다” 
04 형식: 지금의 나를 만든 기질 366 
“이게 내 직업이요” 
05 의미: 꼬리에 꼬리를 무는 생각 372 
“내 인생 의미 있다” 
06 맥락: 세상에 가능한 모든 지도 377 
“알 수 없는 게 감미롭다” 
07 욕망: 내 안의 수많은 목소리 383 
“네 탓이야, 스스로야?” 
08 사랑: 스스로를 사랑하는 최고의 경지 390 
“내가 너를 사랑한다고?” 
09 자유: 벗어나기 좋아하는 성향 397 
“참 자유가 뭐길래” 
10 평등: 대세를 잘 관리하는 태도 405 
“그거 좋은 생각이다” 
11 교육: 스스로 배우는 기쁨 421 
“가르치는 게 아니라 배우는 거다” 
12 행복: 슬기로운 비교의 기술 427 
“비교가 우리를 행복케 하리라” 
13 명상: 마음을 다스리는 방식 434 
“필요하면 들어와” 
14 삶: 생명을 깨우는 마술 439 
“누굴 또 태어나게 하려고?" 
15 죽음: 죽고 사는 끊임없는 춤 449 
“사는 게 죽는 거요, 죽는 게 사는 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