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사설시조의 맛과 멋 / 저자 : 박상영
사설시조의 맛과 멋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사설시조의 맛과 멋 / 저자 : 박상영
  • ·발행사항 서울 : 지성人, 2019
  • ·형태사항 354 p. ;23 cm
  • ·주기사항 참고문헌(p. 335-354)과 색인수록
    2019학년도 대구가톨릭대학교 교내 연구비 지원에 의한 것임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89766092  93810: \30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811.3509  듀이십진분류법-> 895.71209  
  • ·주제명 사설 시조[辭說時調]조선 시대 문학[朝鮮時代文學]한국 문학 평론[韓國文學評論]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저자: 박상영 2019 SE0000498433 811.3509-20-1 인문예술자료실(1층) 대출 가능 0 - 인쇄자료(책자형) 
저자: 박상영 2019 SE0000498434 811.3509-20-1=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목차

● 들어가기-1 

제1장 사설시조 속 "아이",그 양상과 시가사적 함의-11 
1. 서론-12
2. 담론 형태로 본 사설시조 속 '아이'의 양상-15
2.1. '침묵'과 대상화된 아이-16
2.2. '발화'와 주체화된 아이-21
3. '아이'의 시가사적 변주와 그 미학적 함의-25
3.1. 향가의 '아이'-26
3.2. 고려속요의 '아이'-28
3.3. 시조의 '아이'-32
4. 결론-35

제2장 사설시조 속 "여성",그 양상들과 의미-39 
1. 서론-40
2. 다양한 여성 형상들-43
2.1. 능동적 주체로서의 여성-44
2.2. 대상화된 주체로서의 여성-49
2.3. 중간자적 주체로서의 여성-51
3. 다양한 여성상에 담긴 미학적 함의-55
3.1. 중세를 향한 반항과 외침, 반동일화의 여성-55
3.2. 중세로부터의 '호명'과 재질서화, 동일화의 여성-62
4. 맺음말-67

제3장 사설시조 속 "권력",그 흔적들과 문화론적 함의-71
1. 권력 논의와 고전 시가-72
2. 사설시조 속 권력의 편린들-75
2.1. 절대 권력의 양상들: 남성과 중심부 담론-76
2.1.1. 상하 관계에서 오는 신분 권력-76
2.1.2. 여성의 대상화와 性 권력-79
2.1.3. '떠나간 주체(男)-남겨진 주체(女)' 간의 감정 권력-81
2.1.4. 시간의 절대 권력-83
2.2 저항 권력의 양상들: 여성ㆍ아이와 주변부 담론-85
2.2.1. 신분질서 거부를 통한 저항-85
2.2.2. 남성의 대상화와 불륜의 언표화를 통한 저항-87
2.2.3. '떠나남-남겨짐'의 관계 역전을 통한 저항-90
2.2.4. 놀이ㆍ유희를 통한 시간에의 저항-91
3. 권력 속에 함의된 문화론적 함의-94
3.1. 절대 권력의 '구속력'과 '몫 없는 자'의 주체화-95
3.2. 일상성의 담론과 서정-서사의 장르적 미학-98
4. 요약 및 남은 과제-101

제4장 사설시조 속 "풍류",그 양상과 미학-105
1. 서론-106
2. 사설시조에 나타난 풍류의 양상-109
2.1. 자아의 풍류-110
2.1.1. 의 기풍과 흥취-110
2.1.2. 육체적 과 성적 일탈-114
2.1.3. -118
2.2. 타자의 종류-122
2.2.1. 욕망의 결핍과 비판적 거리화-122
2.2.2. 풍경화 된 장면 속 화제, 심정적 동일화-126
3. 풍류를 통해 본 사설시조의 미학-129
3.1. 삶의 여유와 낙천성: 우아미-129
3.2. 성적 담론과 난장: 골계미-131
3.3. 맺힘과 풀이의 : 희비극성-134
4. 맺음말-137

제5장 사설시조 속 "일상".그 미학과 근대-139
1. 일상성과 근대성-140
2. 사설시조에 드러난 일상성 담론의 몇-144 
2.1. 환상성 속 일상의 기표와 반세계-144
2.2. 현실성 속 현실, 주변부 담론의 복원-148
2.3. 역사 속 일상, 일상 속 역사-152
3. 일상성 담론의 근대적 함의-156
3.1. 희비극성과 유희를 통한 일탈-156
3.2. 시적 화자의 시선과 거리화-159
4. 결론-163

제6장 사설시조 속 "희비극성",그 양상과 미학-167
1. 들어가기-168
2. 논의를 위한 이해의 틀: 희비극성과 텍스트성-171
3. 사설시조에 드러난 희비극성의 양상-176
3.1. 희극적 인물에 의한 동화와 이화-176
3.2. 언어 기호에 의한 은유와 환유-180
3.3. 극적 구조에 의한 긴장과 이완-184
4. 희비극성에 함의된 미학적 변주-188
4.1. 낙관주의적 세계관과 열림의 미학-188
4.2. 분리된 시선과 소통의 미학-192
5. 남은 과제들-195
 
제7장 사설시조 속 "장애", 그 몇 가지 국면들-197
1. 들머리-198
2. 이해의 전제로서 '장애'의 개념적 범주-202
3. 사설시조에 나타난 '장애'의 몇-207
3.1. 배척과 배제 대상으로서의 '장애'-208
3.2. 공감과 포용 대상으로서의 '장애'-213
3.3. 비현실 속 현실성 강화 수단으로서의 '장애'-218
3.4. 권력의 허상을 폭로하는 수단으로서의 '장애'-223
4. 맺음말-228

제8장 사설시조의 여성을 향한 두 시선-233
1. 들머리-234
2. 사설시조 속 대담한 여성들-236
3. '여성'을 향한 두 가지 엇갈린 시선-241
3.1. 조선 후기 문화론적 과 욕망 주체로서의 여성-242
3.2. 권력 담론과 저항 주체로서의 여성-247
4. 연행, 그 축제의 미학: 저항ㆍ욕망의 대립을 넘어서-257
4.1. '유흥, 통속성, 일상성'과 '근대-전근대'의 문제-257
4.2. 연행과 축제의 미학: 저항과 욕망의 뒤섞임-260
5. 남은 말: 잉여적 존재로서 주변부 여성들-264

제9장 고전 시가 속 권력,그 양상과 문화론적 함의-267
1. 권력을 바라보는 시각들-268
2. 고전 시가에 나타난 권력의 한 양상-272
2.1. 고대가요: 절대 권력과 흔들리는 권력-272
2.2. 향가: 절대 권력과 흔들리는, 흔들려 버린 권력-276
2.3. 고려속요: 절대 권력과 시선에 의해 흔들린 권력-282
3. 권력의 시가사적 과 문화론적 함의-286
3.1. 절대 권력의 다변화와 중심부 인물(남성)의 담론-288
3.2. 저항 권력의 다변화와 주변부 인물들의 담론-291
3.3. 서정-서사, 단성성-다성성, 그리고 일상의 권력-296
4. 마무리-299

제10장 조선 후기 시가 속 혐오,그 양상과 문화론적 함의-301
1. 서론-302
2. 혐오의 개념적 정의와 범주-304
3. 조선 후기 시가에 나타난 혐오의 흔적들-308
3.1. 사설시조의 경우-308
3.2. 가사의 경우-314
4. 혐오에 담긴 문화론적 의미망들-319
4.1. 여성 혐오와 여혐 혐오-319
4.2. 일상 속의 혐오, 혐오 속의 일상-326
5. 요약 및 남은 과제-330

참고문헌-335
1. 기본 자료-335
2. 국내 논저-337
3. 국외 논저-351
 
● 색인-3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