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광고 지성과 철학의 지평선 = The intellectual and philosophical horizons of advertising / 강승구,한은경,류진한,김병희,박재항,마정미,김주영,김영욱,윤태일,박기철 공저
광고 지성과 철학의 지평선 = The intellectual and philosophical horizons of advertising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광고 지성과 철학의 지평선 = The intellectual and philosophical horizons of advertising / 강승구,한은경,류진한,김병희,박재항,마정미,김주영,김영욱,윤태일,박기철 공저
  • ·발행사항 서울 : 학지사, 2020
  • ·형태사항 348 p. :삽화, 초상 ;24 cm
  • ·총서사항 (KAS 광고지성총서 ;10)
  • ·주기사항 참고문헌(p. 327-345)과 색인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99720109  93320: \20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25.7  듀이십진분류법-> 659.1  
  • ·주제명 광고[廣告]철학(사상)[哲學]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강승구,한은경,류진한,김병희,박재항,마정미,김주영,김영욱,윤태일,박기철 공저 2020 SE0000498346 325.7-20-3 일반자료실(2층) 대출 가능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목차

ㆍ발간사-3 
ㆍ머리말-7 

제1장 광고와 철학적 사고의 필요성-15 
1. 감정은 광고의 결정적 요소-17 
2. 광고의 본질은 감정의 해체와 재조립-21 
3. 철학적 사고와 인습적 사고-27 
4. 철학적 사고는 참된 비판력과 창조성의 원천-38 
5. 마치며-43 

제2장 광고 언어 속의 의미와 철학-49 
1. 광고 언어 연구의 개요-52 
2. 서양 철학적 관점에서의 광고 언어-58 
3. 동양 철학적 관점에서의 광고 언어-68 
4. 의미와 철학의 창조적 만남-73 
5. 마치며-75 

제3장 광고 크리에이티브 철학-77 
1. 광고 크리에이티브 철학의 필요성-80 
2. 외국 광고인의 광고 크리에이티브 철학-82 
3. 한국 광고인의 광고 크리에이티브 철학-92 
4. 광고 크리에이티브 철학의 의의-106 

제4장 광고와 시뮬라시옹-109 
1. 들어가며-111 
2. 시뮬라크르와 시뮬라시옹에 대한 개념적 이해-113 
3. 광고와 시뮬라시옹의 사례들과 미디어의 역할-117 
4. 광고의 시뮬라시옹 효과와 소비자의 차이에 대한 의식-122 
5. 고급 명품 브랜드와 시뮬라시옹 효과-128 
6. 마치며-130 

제5장 광고 마케팅과 문화상품의 상호작용-133 
1. 소설의 마케팅 기법 도입과 상업화-137 
2. 영화, TV를 이용한 마케팅과 영화, TV를 위한 마케팅-143 
3. 시와 광고의 마케팅 협력-155 
4. 문화상품과 광고 마케팅 상호작용의 미래-163 

제6장 광고와 테크놀로지 철학-167 
1. 광고와 테크놀로지-170 
2. 테크놀로지 철학의 계보-177 
3.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발터 벤야민)-182 
4. 미디어의 이해에서 뉴미디어의 이해까지(매클루언, 볼터, 그루신)-186 
5. 신혁명가들의 민주적 소통체계 코뮤니콜로기(빌렘 플루서)-192 
6. 인간과 기계의 앙상블(질베르 시몽동)-196 
7. 기억과 기술, 파마콘(스티글레르)-200 
8. 기술 비판과 대안-203 

제7장 광고 노출의 우연성과 필연성-205 
1. 우연적 만남과 필연적 만남-208 
2. 브랜드와 소비자의 만남-210 
3. 우연과 필연의 철학적 의미-212 
4. 시간에 따른 우연성과 필연성의 구분-219 
5. 디지털 광고 노출의 우연성과 필연성-224 
6. 가위바위보를 언제나 이기는 방법-225 
7. 광고 노출은 우연인가 필연인가-228 

제8장 정치경제학적으로 해석한 광고 시청 노동과 
        광고 시민권의 회복-231 
1. 들어가며-233 
2. 광고의 사회적 기능에 대한 논란-235 
3. 광고 정치경제학 논의와 새로운 접근의 필요성-238 
4. 물신주의와 수용자 상품론 그리고 광고 시청 노동-241 
5. 광고 시청의 노동 착취와 논쟁점-246 
6. 디지털 시대 광고를 통한 잉여가치 착취 수단의 변화-250 
7. 정치경제학적 접근에 대한 비판과 사용가치의 결합-255 
8. 새로운 시대의 광고의 의미 탐색-258 

제9장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으로 본 좋은 삶, 좋은 광고, 
        좋은 광고인-263 
1. 왜 광고 윤리인가-266 
2. 좋은 삶이란 무엇인가-269 
3. 좋은 광고란 무엇인가-276 
4. 좋은 광고인은 누구인가-283 
5. ‘신명 나는 광고인’을 위하여-290 

제10장 광고철학의 이해와 실천-295 
1. 광고철학 전에 살필 수 있는 PR철학(起)-298 
2. PR철학 위에 세울 수 있는 광고철학(氶)-303 
3. 광고철학을 이해할 수 있는 열 가지 질문(轉)-309 
4. 광고철학을 실천하게 되는 열두 가지 지침(結)-316 

ㆍ참고문헌-327 
ㆍ찾아보기-3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