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인권과 학교교육 = Human rights and school education / 지은이 : 유성상
인권과 학교교육 = Human rights and school education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인권과 학교교육 = Human rights and school education / 지은이 : 유성상
  • ·발행사항 서울 : 박영story :피와이메이트, 2020
  • ·형태사항 xiii, 214 p. :삽화, 도표 ;23 cm
  • ·주기사항 참고문헌: p. 209-214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65190224  93370: \14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42.107  듀이십진분류법-> 323.07  
  • ·주제명 인권[人權]학교[學校]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지은이: 유성상 2020 SE0000487059 342.107-20-1 일반자료실(2층) 대출 가능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제1부 ┃ 대한민국 학교와 학생인권

제1장 학생인권이란 무엇인가? 3
1. 인권과 인권의식의 개념  3
2. 학생인권의 개념적 논의  6
3. 학생인권 논쟁, 왜 무엇이 문제인가?  8
4. 학생인권담론의 확장  20

제2장 2006년도 중등학생 인권실태분석 25
1. 들어가며  25
2. 2000년대 초기 학생인권 담론의 위치  26
3. 중등학생 인권실태 조사 내용  30
4. 중등학생의 인권의식 수준은 어떠한가?  31
5. 중등학생들은 학교에서 어떤 인권침해를 경험하는가?  37
6. 입시문화 속 중등학생들의 인권 들여다보기  48

제3장 대국민인권의식조사(2011, 2016) 속 학생인권실태 53
1. 들어가며  53
2. 대국민인권실태조사(2011, 2016) 계획 및 실시  55
3. 학생인권의식 및 학생인권실태의 비교  57
4. 학생인권의식 및 실태,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73

제2부 ┃ 학생인권 논쟁 속 대한민국 사회의 구조와 제도

제4장 학생인권침해 제한은 정당화될 수 있는가? 81
1. 학교에서 학생인권은 정당화될 수 있는가?  81
2. 학교교육을 바라보는 두 가지 상반된 기능  83
3. 학생인권을 바라보는 서로 다른 시각  88
4. 학생인권침해, 한국사회가 이를 정당화하는 사회문화적 맥락들  92

제5장 서울시 학생인권조례 추진과정과 주요쟁점 103
1. 학생인권조례는 필요한가?  103
2. 학생인권과 학생인권조례  105
3. 서울시 학생인권조례: 추진과정  114
4. 학생인권조례 정착을 위한 주요 도전 과제  120
5. 학생인권조례 제정을 위한 서울시 의회의 역할은?  128

제3부 ┃ 인성교육을 넘어 인권교육으로

제6장 인권교육의 개념과 인권교육의 실태 145
1. 인권교육의 개념  145
2. 인권교육은 어느 정도로 실시되고 있는가?  146
3. 인권교육, 현실 속 이상을 향한 대화적 몸부림  156
4. 정규 교육과정으로서 인권교육이 중요하다  161

제7장 인권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163
1. 들어가면서  163
2. 학생의 자율성을 키워야 한다  164
3. 학생, 학부모, 교사, 지역민이 참여하는 인권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168
4. 교사의 교육 전문성을 평가하고 제고할 수 있는 제도가 필요하다  170
5. 나가면서  173

제8장 교육의 패러다임 전환: 인성교육을 넘어 인권교육으로 175
1. 인성교육진흥법의 도입배경과 내용  175
2. 목적 및 내용  177
3. 교육과 가치의 문제  179
4. 교육사회학적 관점  183
5. 인성교육진흥법을 둘러싼 비판적 쟁점  188
6. 인성교육 패러다임 vs. 인권교육 패러다임  195
7. 인권교육 패러다임의 실현을 위하여  202

글을 마치며 / 205
참고문헌 / 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