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정샘 미술이론 : 교원임용시험 대비 최신개정판 / 정샘 편저
정샘 미술이론 : 교원임용시험 대비 최신개정판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정샘 미술이론 : 교원임용시험 대비 최신개정판 / 정샘 편저
  • ·판사항 최신개정판
  • ·발행사항 서울 : 박문각, 2020
  • ·형태사항 2책 :삽화(일부천연색), 도표, 지도, 초상 ;26 cm
  • ·주기사항 참고문헌 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64443468 (상)  14370: \44000 ISBN: 9791164443475 (하)  14370: \43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607.7  듀이십진분류법-> 707  
  • ·주제명 미술 이론[美術理論]미술 교사[美術敎師]교원 임용 고사[敎員任用考査]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정샘 편저 2020 SE0000483947 607.7-20-1-1 인문예술자료실(1층) 대출 가능 0 - 인쇄자료(책자형) 
정샘 편저 2020 SE0000483948 607.7-20-1-2 인문예술자료실(1층) 대출중 0 2024-07-04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Part 01 미술교육의 이해
Chapter 01 미술교육과 교육론
01 미술교육의 필요성
1. 자아의 표현방법
2. 시지각의 중요성
3. 개성과 창의성 육성
4. 아름다움의 향유
5. 좌·우뇌의 균형 있는 발달
6. 미술활동의 특성
7. 미술교육의 특성

02 미술교육이론의 특성
1. 미적 교육론
2. 정서교육론
3. 창조교육론
4. 생활교육론
5. 개성교육론

03 어린이 미술을 보는 여러 가지 관점
1. 일반적으로 보는 관점
2. 심리학적 구분 관점

04 미술교육에 대한 관점
1. 본질주의적 정당성
2. 맥락주의적 정당성, 사회파

Chapter 02 미술교육 발달 이론
01 어린이 미술에 대한 관심(아동의 그래픽 발달에 대한 이론)
02 어린이 미술표현 및 감상 발달
1. 로웬펠드의 발달단계와 주요 특징
2. 버트의 발달단계
3. 디 프란체스코의 미술표현의 발달단계
4. 게이츠켈, 후르비츠, 데이의 미술표현 발달단계
5. 루켄스의 감상능력 발달단계
6. 파슨스의 발달단계
7. 미술표현의 유형
8. 가드너의 미적 발달체계

Chapter 03 미술교육의 역사
01 미술교육의 역사
1. 서양에서 미술교육의 기원
2. 산업혁명과 미술교육

02 현대 미술교육의 역사
1. 표현기능중심 미술교육
2. 미술교육에서 표현주의와 재건주의 - 제2차 세계대전 이전
3. 이해중심 미술교육
4. Neo-DBAE
5. 다문화 미술교육
6. 구성주의와 미술
7. 다중지능이론 - 아트프로펠
8. 감성지능과 미술교육
9. 뇌 과학과 미술교육
10. 시각문화 미술교육(VCAE)
11. 포스트모더니즘과 미술교육
12. 박물관·미술관 교육

03 우리나라의 미술교육

Chapter 04 미술비평이론
01 비평 교육과 수용미학
02 미술비평의 유형(1) 
03 미술비평의 유형(2)
04 하르트만(N. Hartmann)의 예술작품의 존재구조
05 수용미학(Aesthetics of reception)

Part 02 교육과정(Curriculum)
01 우리나라 미술과 교육과정의 변천
 제7차 교육과정, 2007년 개정 교육과정, 2009년 개정 교육과정, 2015년 개정 교육과정
02 교수-학습방법
03 평가

Part 03 미술표현의 이해
Chapter 01 서양회화
01 회화의 기본
02 회화의 분류
03 회화의 종류

Chapter 02 조소
1. 조소의 기초
2. 조소의 분류
3. 조소의 재료
4. 조소의 표현요소와 원리
5. 소조
6. 조각
7. 구축
8. 현대 조소

Chapter 03 해부학과 인체소묘
 인체 뼈대, 근육, 비례

Chapter 04 판화
1. 판화의 역사와 특징
2. 볼록판화
3. 오목판화
4. 평판화
5. 공판화

Chapter 05 전통회화
1. 전통회화의 특성
2. 전통회화의 국가별 차이
3. 전통회화에 담겨 있는 동양사상
4. 소재에 따른 분류
5. 전통회화의 재료 및 기법
6. 전통회화의 표현기법
7. 산수화 - 산수화의 주요 주제
8. 낙관과 제발, 표구
9. 회화의 품등
10. 기록화

Chapter 06 서예·서각·전각
01 서예 이론
02 서각
03 전각

Chapter 07 사진·영상
01 사진
02 영상

Chapter 08 색채학
01 색채학
02 색의 표시
03 색의 효과
04 색채 조화와 배색
05 색채 조화의 응용
06 예술과 색채

Chapter 09 디자인의 역사
1. 미술공예운동 이전의 디자인
2. 미술공예운동
3. 아르누보
4. 미국 시카고학파
5. 기능주의 디자인(모더니즘, 기계미학)
6. 유기적 디자인
7. 1950년대 이후
8. 반(反)디자인 운동

Chapter 10 시각디자인
01 시각디자인 개요
02 일러스트레이션
03 타이포그래피
04 편집디자인
05 광고디자인
06 포장디자인
07 멀티미디어 디자인
08 아이덴티티 디자인

Chapter 11 전시·환경·새로운 개념·제품 디자인
01 전시·환경 디자인
02 새로운 개념의 디자인
03 제품(산업, 공업) 디자인

Chapter 12 공예
01 금속공예
02 칠보공예
03 도자공예
04 목공예
05 나전칠기
06 화각공예
07 초고공예
08 섬유 공예
09 지공예
10 유리공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