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4차 산업혁명 대비 주요국 동향과 직업능력개발 훈련의 방향 / 저자 : 한국산업인력공단
4차 산업혁명 대비 주요국 동향과 직업능력개발 훈련의 방향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4차 산업혁명 대비 주요국 동향과 직업능력개발 훈련의 방향 / 저자 : 한국산업인력공단
  • ·발행사항 서울 : Jinhan M&B(진한엠앤비), 2019
  • ·형태사항 158 p. :삽화 ;26 cm
  • ·주기사항 참고문헌: p. 151-158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29011312  93500: \16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78.6  듀이십진분류법-> 371.42  
  • ·주제명 직업 훈련[職業訓練]직업 교육[職業敎育]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저자: 한국산업인력공단 2019 SE0000540031 378.6-19-3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저자: 한국산업인력공단 2019 SE0000540032 378.6-19-3=2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목차

연구요약-1

Ⅰ. 연구의 개요-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1
2. 연구의 범위-3
3. 연구의 방법-4
4. 주요 용어-5

Ⅱ. 4차 산업혁명과 인재수요 변화-7
1. 4차 산업혁명의 전개-7
2. 인재수요의 변화-9
3. 인재양성 전략에 대한 선행연구-18
4. 시사점-23

Ⅲ. 주요국 직업능력개발 훈련의 4차 산업혁명 대응-25
1. 독일-26
2. 일본-58
3. 시사점-97

Ⅳ. 우리나라의 대응현황과 평가-98
1. 기본배경-98
2. 주요 추진내용-100
3. 평가-105

Ⅴ. 직업능력개발 훈련의 발전방향-110
1. 기본원칙-110
2. 직업능력개발 훈련의 과제: ‘직능(직업능력개발훈련) 4.0’-112
3. 4차 산업혁명 핵심인재양성 시범사업: ‘직능플랫폼 4.0’-127

Ⅵ. 요약 및 결론-147

참고문헌-151

표목차

<표 Ⅰ-1> 4차 산업혁명 관련 주요 용어-5
<표 Ⅱ-1> 각 산업분야별 요구 역량 현황 및 예측(2015-2020)-13
<표 Ⅱ-2> 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재상에 대한 주요 의견-13
<표 Ⅱ-3> 한국정부가 강조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인재상-15
<표 Ⅱ-4> 미래 수요 증가 전망 직업역량 조사 결과(미국, 영국 사례)-16
<표 Ⅱ-5> 국내 100대 기업에서 요구하는 인재역량 순위-17
<표 Ⅱ-6> 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재양성 전략을 제시한 주요 연구들-19
<표 Ⅲ-1> 주요국의 4차 산업혁명 정책 비교-25
<표 Ⅲ-2> 인더스트리 4.0의 잠재성-28
<표 Ⅲ-3> 독일 기업의 교육훈련 사례-45
<표 Ⅲ-4> 미래 스마트공장 근로자의 자질ㆍ숙련-54
<표 Ⅲ-5> 스마트 공장을 위한 직업능력개발 훈련의 방법 및 성과 평가-56
<표 Ⅲ-6> 4차 산업혁명 관련 일본의 주요 정책 문건-60
<표 Ⅲ-7> '신산업구조비전: 제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일본의 전략'구조-62
<표 Ⅲ-8> 제4차 산업혁명을 선점하기 위한 일본의 7대 추진전략-63
<표 Ⅲ-9> 데이터 활용 촉진을 위한 환경정비 전략 내용-63
<표 Ⅲ-10> 인재육성 및 고용시스템의 유연성 향상 전략 내용-65
<표 Ⅲ-11> 이노베이션 및 기술개발의 가속화 전략 내용-66
<표 Ⅲ-12> 금융조달 기능의 강화 전략 내용-67
<표 Ⅲ-13> 산업구조 및 취업구조 전환의 원활화 전략 내용-68
<표 Ⅲ-14> 산업혁명의 중소기업 및 지역경제에의 보급 전략 내용-69
<표 Ⅲ-15> 제4차 산업혁명을 대비한 사회시스템의 고도화 전략 내용-69
<표 Ⅲ-16> 4차 산업혁명의 대응에 관한 일본의 강점과 약점-71
<표 Ⅲ-17> 분야별 인력수요 감소 및 증가 예측-80
<표 Ⅲ-18> 인공지능 기술전략 실행계획-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