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예술교육의 다문화 실천 담론 = A critical discourse for multi-cultural practices through arts education : 철학·예술·문화·교육을 바라보는 시각 / 지은이 : 정옥희
예술교육의 다문화 실천 담론 = A critical discourse for multi-cultural practices through arts education : 철학·예술·문화·교육을 바라보는 시각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예술교육의 다문화 실천 담론 = A critical discourse for multi-cultural practices through arts education : 철학·예술·문화·교육을 바라보는 시각 / 지은이 : 정옥희
  • ·발행사항 파주 : 교육과학사, 2019
  • ·형태사항 269 p. :삽화, 도표 ;26 cm
  • ·주기사항 참고문헌: p. 260-269
    2015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5S1A6A4A01010111)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25413747  93370: \16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600.7  듀이십진분류법-> 700.7  
  • ·주제명 문화 예술 교육[文化藝術敎育]다문화(문화)[多文化]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지은이: 정옥희 2019 SE0000538052 600.7-19-4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지은이: 정옥희 2019 SE0000538053 600.7-19-4=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서문-3

제1장 왜 다문화인가
1. 문화와 의미의 관계-12
1) 문화진화론에 따른 문화의 속성-14
2) 공유된 의미의 생성과 상징체계-16
3) 담론과 이데올로기-20
2. 문화 정체성--25
1) 문화적 다양성-25
2) 문화 이데올로기-29
3) 문화 정체성-31
3. 다문화주의에 대한 새로운 시각-37
1) 다문화주의 등장 배경-37
2) 다문화주의의 다양한 해석-39
3) 한국적 다문화주의-43
4) 포스트모더니즘과 다문화주의-46
4. 다문화주의의 교육적 실천 적용 문제-50
1) 문화교육과 다문화교육의 차이-50
2) ‘나’와 ‘우리’의 상호의존적인 문화교육-53
3) 다문화 감수성과 역량-57
4) 문화예술교육과 다문화교육-61

제2장 예술과 다양성, 다문화 실천 담론
5. 예술의 사회학적 이해-65
1) 예술사회학의 출현-65
2) 취향과 안목으로서의 예술-68
6. 예술교육의 문화재생산 담론-72
1) 교육사회학의 기원-72
2) 교육의 문화재생산 기능-74
3) 예술교육을 통한 문화재생산-76
4) 근대 이후 학교 미술교육의 문화재생산적 담론-80
7. 인간 경험 이해를 위한 문화예술교육-83
1) 세계 인식의 한 방식으로서의 예술-83
2) 삶과 앎의 매개물로서 예술 들여다보기: 존재의 미학-85
3) 예술에 대한 이해의 방식과 문화-88
4) 존재 방식에 대한 이해-91
8. 문화적 다양성과 경험의 내러티브-93
1) 경험과 교육-95
2) 예술과 미적 경험-98
3) 미적 경험과 내러티브-100
4) 예술체험 교육 내러티브-103

제3장 문화예술교육의 다문화 실천 사례
9. 영국의 ‘창의적 파트너십’ 프로그램-113
1) ‘창의적 파트너십’ 문화예술교육 탄생 배경-114
2) ‘존재하기 위한 학습’, 그리고 ‘더불어 살기 위한 학습’-115
3) 다문화 실천 성과-116
10. 미국의 문화예술교육-121
1) 예술교육 재투자를 위한 문화예술교육 정책-122
2) 문화 다양성 교육을 위한 예술통합교육 접근 사례-127
3) 지역사회 연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132
4) 예술교육가로서 교사교육센터 LCI 프로그램 사례-135
5) 지방자치 체제 예술교육 재투자 및 예술교과와 주지교과의 융합 프로그램 구축-137
11. 한국의 학교 예술교육-138
1) 한국의 근대 학교교육이념과 정책-139
2) 교육과정 이데올로기 속의 예술이라는 교과-142
12. 한국의 문화예술교육 실천-146
1) 생활밀착형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146
2) 청년예술가교사에 의한 미적체험 예술교육 프로그램-149
3) 교육청과 문화재단 연계 지역문화예술교육 네트워크 사업-153
4) 대학 인문교양교육에서의 예술을 통한 다문화 실천 사례-156

제4장 문화예술교육 실천 방향
13. 인문학적 접근 예술교육의 필요성-173
1) 인문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예술의 의미와 본질-175
2) 오늘날 우리가 당연시하는 문명에 대한 반문-179
3) 근원적 인간 문제 해결에 관심-182
4) 지금 여기에서의 존재 방식에 대한 성찰-184
14. 예술교육의 다문화 실천 가능성-187
1) 인간에 대한 존재론적 통찰-187
2) 지각적 체험을 통한 앎-190
3) 문화적 존재로서의 인간 발달 교육-192
4) 융?복합적 소양과 유연한 사고 함양-195
15. 인문학적 접근 예술교육의 다문화 실천 사례-197
1) 인문학과 예술의 접목: 통합적 인지-197
2) 예술을 통한 교양교육-201
3) 융?복합 접근 대학 교양교육을 위한 미술감상 콘텐츠 적용 사례-204
16. 한국의 다문화 실천 양상-233
1) 한국 다문화주의의 문화 정체성 이슈-233
2) 한국의 다문화교육-236
3) 한국의 문화예술교육 추진 배경과 다문화 실천 양상-240
17. 문화예술교육 실천: 비판적 논의-243
1) 문화산업 시대 예술-243
2) 세계화 시대 문화예술교육-246
3) 인공지능 시대의 문화예술교육-248
4) 21세기 문화예술교육 실천 담론-251

맺음말-256
참고문헌-2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