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시조, 정형성에 대한 새로운 이해 : 민병도 시조 평론집 / 지은이 : 민병도
시조, 정형성에 대한 새로운 이해 : 민병도 시조 평론집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시조, 정형성에 대한 새로운 이해 : 민병도 시조 평론집 / 지은이 : 민병도
  • ·발행사항 청도군 : 목언예원, 2019
  • ·형태사항 479 p. ;21 cm
  • ·총서사항 (시조 21 평론총서 ;04)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94733777  03810: \15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811.3609  듀이십진분류법-> 895.71509  
  • ·주제명 한국 현대 시조[韓國現代時調]시 평론[詩評論]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지은이: 민병도 2019 SE0000514229 811.3609-19-4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지은이: 민병도 2019 SE0000514230 811.3609-19-4=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목차

PART 00|지은이의 말-4

PART 01|존재론적 성찰과 극기克己를 위한 기도문-8
         식물성 언어와 간결한 율격미로 빚은 한ㆍ일 정형시-10
         존재론적 성찰과 극기克己를 위한 기도문-20
         유심唯心으로 다가선 그리움, 혹은 시간의 행간읽기-46
         응시를 통한 세상읽기와 마음에서 길 찾기-67
         시대의 변방에서 울리는 서슬 퍼런 북소리-88
         가슴으로 세상읽기, 혹은 정신의 만행卍行-97
         마음의 눈으로 읽은 시간의 숨은 그림-119
         천품과 신명이 부른 뜨거운 노래-136

PART 02|시대에 대한 진단과 견성見性에 이르는 길-154
         동심童心의 재발견, 혹은 자기 응시凝視의 시-156
         사려 깊은 일상의 시, 혹은 무반주의 노래-176
         견성을 꿈꾸는 완미한 역사읽기-195
         부르다만 사모곡思母曲, 또는 못다 새긴 목판화-203
         모토母土에의 회귀, 혹은 신 '귀거래사'-220
         물상에 비친 자아의 발견과 정관적 지평의 모색-241
         답이 없는 질문과 질문 없는 대답 사이-260
         시대에 대한 진단과 견성見性에 이르는 길-278
         삶의 성찰을 위한 고뇌, 혹은 자가진단-299
         시간의 숨은 그림 찾기, 혹은 눈부신 성채-320

PART 03|왜 시조의 그릇을 깨는가-344
         대구시조의 위상과 과제-346
         오류, 시조에 대한 10년간의 짝사랑-360
         일본 민족시 기행에서 얻은 교훈-371
         "새 시조인의 기적적인 출현"은 멀었는가-374
         <2016, 청도국제시조대회>를 마치고-376
         이제 시조의 꽃을 피울 때가 되었다-379
         왜 시조의 그릇을 깨는가-382
         왜 시조인가-385

PART 04|종장이 살아야 시조가 산다-388
         종장이 살아야 시조가 산다-390
         시조의 넓이와 깊이-396
         한 미국인이 시조사랑-404
         누가 무정란을 품어라 하는가-412
         문학, 그리고 수확의 계절-419
         왜 시조인가-426
         시조는 정형시다-434
         시조와 독자에 대한 예의-441
         '잡초론'을 다시 읽으며-448
         지켜져야 할 '시조에 대한 예의'-457
         시조의 위의威義는 형식질서에 있다-465
         건강한 대구시조의 숲을 기대하며-4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