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4차 산업혁명과 미래사회변혁 : 포스트휴먼 시대의 사회변혁 = Fourth scientific technical revolution : post human time and political economy / 황태연 지음 ;황세연,허상수 엮음
4차 산업혁명과 미래사회변혁 : 포스트휴먼 시대의 사회변혁 = Fourth scientific technical revolution : post human time and political economy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4차 산업혁명과 미래사회변혁 : 포스트휴먼 시대의 사회변혁 = Fourth scientific technical revolution : post human time and political economy / 황태연 지음 ;황세연,허상수 엮음
  • ·판사항 개정판
  • ·발행사항 서울 : 중원문화, 2019
  • ·형태사항 530 p. :삽화 ;23 cm
  • ·주기사항 참고문헌 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77285668  03300: \28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31.54  듀이십진분류법-> 303.4  
  • ·주제명 4차 산업 혁명[四次産業革命]미래 사회[未來社會]사회 변동[社會變動]사회 개혁[社會改革]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황태연 지음 ;황세연,허상수 엮음 2019 SE0000513759 331.54-19-15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목차

제2차 편자 서문―4차 과학기술혁명에 대한 시론 
제1차 편자 서문―새로운 현대사회, 새로운 변혁 

제1부 4차 산업혁명과 새로운 사회 

제1장 과학기술혁명과 사회변혁―계급구조의 급변과 새로운 변혁 전략의 모색-42 

1. 머리말-42 
2. 신산업화 과정과 노동기능 변동의 객관적 추세-43 
(1) 새로운 과학기술의 혁명적 성격 
(2) 자동화 단계와 노동기능의 변화 

3. 지식 프롤레타리아 개념과 중간 계층론-51 
(1) 노동계급 개념과 프롤레타리아 개념은 같은 개념인가 
(2) 지식 프롤레타리아트냐, ‘새로운 계급’이냐 

4. 변혁 전략의 모색-66 
(1) 지식 프롤레타리아의 수적 증가추세 
(2) 미래 개방적 변혁전략의 모색 

5. 맺음말-77 

제2장 생산과정의 발전과 지식 프롤레타리아트의 출현-78 

1. 자본에 의한 노동 포섭의 두 가지 형태-78 
(1) 형식적 포섭과 절대주의적 국가형태 
(2) 실질적 포섭과 부르주아적 국가형태 

2. 생산과정의 두 가지 근본형태와 그 특성-83 
(1) 유기적 생산과정과 이종적 생산과정 
(2) 이종적 생산과정과 ‘노동귀족’의 출현 

3. 생산과정의 변화와 지식프롤레타리아트의 출현-88 
(1) 문제를 보는 관점 
(2) 반봉건적 통제체제와 병영적 통제체제 
(3) 관료체제적 통제체제 
1) 상업분야에서의 관료체제의 관철 
2) 생산과정에서의 관료체제의 관철-테일러리즘과 포디즘 
3) 지식 프롤레타리아트의 출현 
(4) 독점기업 내의 계급관계와 지식 프롤레타리아트 

4. 과학기술혁명(극소전자자동화)과 지식프롤레타리아트의 발전전망-109 
(1) 자동화논쟁(50년대 말~80년대 초)의 경과와 귀결 
(2) 과학기술혁명과 지식 프롤레타리아트의 발전전망 

제3장 자본관계와 기업지배구조의 변동-120 

제1절 소유ㆍ지배 관계의 이중화와 자본관계의 중복적 이중구조-120 

1. 자본소유와 소재적 관리기능으로부터 자본기능의 분리 : 
 독점적 자본관계와 매니저의 신용이론적 규정-120 

2. 지배의 이중화의 다섯 가지 유형과 역사적 경향-140 

제2절 기업관료체제, 테크노크라트, 지식 프롤레타리아트-163 

1. 관료체제 일반-163 
(1) 맑스주의적 관료체제 개념을 위한 투쟁 
(2) 자본주의 기업과 관료체제의 관계 

2. 기업행정 관료체제-193 
(1) 관료화 이전의 가부장제적 경리실 
(2) 독점자본주의적 기업행정 관료체제 
(3) 대공간 사무실의 궁극적 관철 
(4) “체계적 합리화”와 기업지도부의 지배강권의 강화 

3. 생산과정의 관료체제―포드시스템, 테일러리즘, 자동화-217 
(1) 병영적 통제체제와 가부장제적 직장체제 
(2) 포디즘과 테일러리즘―작업장의 관료화 
(3) 자동화와 지식프롤레타리아트의 대중화 경향 

제3절 물리적 폭력기구로서의 기업체제의 새로운 기능 및 
 사적 기업경비대의 합법적 정착과 국가적 폭력독점의 침식-253

제4절 현대 자본주의적 계급구조의 개략적 조망-273 

제4장 맑스주의의 ‘위기’와 계급이론의 재건-296 

1. 머리말-296 
2. 즉자적 계급과 대자적 계급의 대립ㆍ긴장의 문제-297 
3. 노동귀족과 이론적 계급의식-306 
4. 프롤레타리아 주력개념-322
5. 반비판-329 
6. 맺음말-339 

제2부 4차 산업혁명과 사회주의에 대한 재고찰 

제1장‘더 많은 사회주의’로서의 페레스트로이카―그 전략의 과학적 기초 및 본질적 내용에 관하여-342 

1. 머리글-342 
2. 소유관계의 혁명으로서의 페레스트로이카-345 
3. 맑스, 엥겔스, 레닌의 기업민주주의 이념359 
4. 소련 국영기업법과 기업민주주의-376
5. 정치권력구조의 근본적 민주화-381 
6. 맺음말-387 

제2장 소ㆍ동구권의 사회주의에 대한 재고찰―소련 페레스트로이카의 경제이론적 고찰-389 

1. 머리말-389 

2. 사회주의 구축과 맑스-레닌주의의 불가피한 유예ㆍ왜곡-390 
(1) 자본의 외연적 확대재생산과 내포적 확대재생산 
(2) 사회주의의 외연적 축적체제의 역사적 불가피성과 그 성과 및 한계 
(3) 맑스-레닌주의의 유예와 왜곡―관료체제와 봉록관적 점유관계의 구축 

3. 외연적 축적체제의 진보적 잠재력의 쇠진-421
(1) 경제적 위기 징후들 
(2) 원인 

4. 내포적 축적노선과 맑스-레닌주의의 역사 필연성-429
(1) 사회주의의 ‘건설’로부터 사회주의의 ‘자기발전’으로 
(2) 새로운 경제 메커니즘의 창출 
(3) 완전히 자유로운 생산주체의 창출 

5. 맺음말-457 

제3장 프롤레타리아 독재론-460 

1. 머리글-460 
2. 맑스.엥겔스.레닌의 국가론-461
 ―프롤레타리아 독재국가 → 사멸중의 국가 → 비정치적 국가 
3. 프롤레타리아 독재론의 성격-474 
4. 스탈린의 프롤레타리아 독재론과 그 오류-481 
5. ‘전인민국가론’과 ‘선진사회주의론’의 문제점-494 
6. ‘죽음의 도약’으로서의 혁명적 체제개혁-498 
7. 프롤레타리아 독재론의 현재적 타당성 검토-508 

제4장 맑스주의 과연 위기인가?-512 

1. 소ㆍ동구 개혁에 대한 ‘불감증’-512 
2. 맑스주의는 고수되고 있다-514 
3. 네오스탈린주의의 위기=맑스주의 위기?-516 

■ 참고 문헌 ■